역사를 파헤치는 고고학 탐정 - 동굴 벽화에서 타이태닉호까지
사이먼 애덤스 지음, 장석봉 옮김 / 미래엔아이세움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세계사와 그 이면의 이야기들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큰 아이가 제목 중에 '고고학'이라는 단어를 보더니 자기 관심 분야라며 반긴 책이다. 나 또한 고대 유적에 흥미를 느끼는 터라 아이와 번갈아 가며 관심이 가는 유적을 다룬 부분을 찾아보았다. 고고학은 사라진 문명을 찾아내고 역사 속의 증거물을 조사하여 과거의 모습과 그 시대의 생활양식 등을 연구하며 인간의 역사를 재구성하는 학문이다. 
 
 전시관이나 박물관 같은 곳에 가서 접하는 유물들 중에는 정말 저런 것이 사람이 만들고 사용한 것일까 하는 의구심이 드는 것들도 있고, 이런 유물들을 어떻게 발굴해 냈을까 궁금해지는 것들도 있다. 일반인들이 보았다면 길에 굴러다니는 흔한 돌멩이 정도로 여겼을, 좀 날카로워 보이는 돌이 인공적으로 다듬어진 것임을 알아내고 그것들을 통해 과거에 어떤 문명이 존재했는지를 추측하고 밝혀내는 고고학이라는 분야 자체가 놀랍고 신기하게 여겨진다.
 

 


 이 책은 지난 200년 동안 세계에서 가장 매력적인 고대 유적들의 비밀을 고고학자들이 어떻게 풀어왔는지에 관해 들려주고 있다. 고대 유적에 대한 설명, 유적과 관련된 또 다른 이야기들, 그리고 고고학자들이 어떤 방법으로 시간 속의 증거물을 추적하고 이를 재구성하여 과거의 문명에 대해 알아내는지를 알려준다. 고고학의 정의와 고고학자들이 하는 일 등을 간략하게 설명한데 이어, 기원전 12,000년경의 알타미라 유적에서부터 서기 1912년 타이태닉호에 이르기까지 15가지 유적을 다루고 있다. 몽라수아와 빅스, 오세느, 바사호 같이 조금 낯선 유적도 있으며, 크노소스 궁전 유적과 중국의 진시황릉의 병마용 등 아이들과 함께 가서 보고 싶은 곳도 있다.




 가끔 TV에서 유적이나 공룡 화석 등을 발굴하고 연구하는 조명하는 다큐멘터리를 시청하는데, 고대 유적을 찾고 다각도로 조사하는 고고학에도 과학적인 기법이 도입되어 많은 성과를 얻고 있다고 한다. 이 책에도 X-선과 컴퓨터를 이용하는 방법,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 층서학 등의 과학적인 기법이 소개되어 있는데, 대상연령을 고려해서인지 간략하게 소개된 점이 조금 아쉽게 여겨진다. 그 외에 유물을 보존하는 법, 신전의 연대 측정 등도 알려준다. 
   



 


 차례를 살펴보던 아이가 가장 먼저 관심을 보인 유적은 크노소스 궁전이다. 미노스인의 공예품 중에 유명한 도자기 꽃병 사진을 보니 그 시대에 다양한 문양을 그려서 만들어구나 싶다. '또 다른 이야기'에 의하면 티라 섬의 도시 아크로티리는 화산 폭발(기원전 1626년)로 생긴 재에 묻혀 그대로 보존되었다고 한다. 크노소스 궁전을 발굴하기 위해 애쓴 아서 에번스 경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다. 그 외에도 각 유적별로 발굴지를 격자 형태로 파 들어가는 방법을 개발한 모티머 휠러 경, 로제타석의 암호를 해독한 장 프랑수아 샹폴리옹, 폼페이 발굴 책임자 주세페 피오넬리, 마추픽추를 발견한 하이럼 빙엄 등의 고고학자들을 만날 수 있다. 



 

  이 책에는 실리지 않았으나, 최근에 모 방송 프로그램에서 도망치는 닭을 쫓아 동굴로 들어간 한 농부에 의해 발견된 터키의 유적인 비밀도시(데린쿠유)에 관한 일화를 들려주어 흥미롭게 시청했다. (아이들이 이 일화를 <터키에서 살아남기>에서 본 적이 있다며 얼른 가져와서 보여주었다는~ ^^) 이처럼 고대 유적은 우연하게 발견되기도 하지만 집념어린 발굴 의지를 가진 사람에 의해 세상에 모습을 드러내기도 한다. 하인리히 슐리만의 일화는 널리 알려져 있는데, 그는 자신이 매료된 호메로스의 이야기에 나오는 도시인 트로이가 실제로 존재했음을 증명하기 위해 고고학자가 된 인물이다. 슐리만이 발굴한 유적은 자신이 확신했던 트로이 전쟁에 해당하는 유적이 아니었지만 그의 발견은 고고학의 대중화에 큰 기여를 하였다. 


 

 아즈텍의 유물이 있는 멕시코시티에서는 지하철을 건설하던 일꾼들이 신전의 여러 부분을 발견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도 개발이나 공사 과정에서 종종 유적이 발견되곤 하는데, 특히 경주처럼 역사적인 유적이 많은 지역은 허가 없이 함부로 개발을 하지 못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안다. 아메리카 원주민 마을 오세테 유적에 관한 이야기를 읽으며 우리가 미처 알지 못하는 장소 혹은 현재 내가 살고 있는 이 땅 밑 어딘 가에도 과거의 역사적인 유적이 잠자고 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을 통해 세계 곳곳의 유명한 유적들 유럄하며 유적과 관련된 다양한 역사 지식을 얻을 수 있어 참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