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왕자 - 마루벌의 좋은 그림책 1 마루벌의 좋은 그림책 1
오스카 와일드 지음, 이지만 옮김, 레인레이 그림 / 마루벌 / 199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행복한 왕자>는 오스카 와일드의 작품으로, 눈물없이 볼 수 없는 동화라고 하면 지나치게 과장된 표현일까? 예전에 읽을 때도 제비가 얼어 죽는 것이 마음 아파서 울었는데, 이제 아이의 그림책으로 다시 보면서 고귀하고 아낌없는 사랑을 행한 왕자와 그의 소망을 외면하지 못한 제비의 슬픈 죽음이 너무 가슴을 아프게 하여 울 수 밖에 없었다.  동상으로 우뚝 선 '행복한 왕자'는 살아 있을 때 어떤 인물이었나. 눈물이 무엇인지도 몰랐지만 사랑 역시 몰랐던, 반 쪽의 행복만을 안 사람이었다. 궁전 문을 나가 보고서야 인간의 생사고락을 알게 된 싯다르타(부처)처럼, 행복한 왕자 역시 궁전에서 살 때 눈과 귀가 보고 들을 수 있는 것은 한정되어 있었을 것이고 가난도, 아픔도, 슬픔도 몰랐을 것이다.  죽어서 다른 사람들에 의해 동상으로 세워진 후에야 도시의 가난한 이들의 모습과 그들의 고통을 보고 가슴으로 느끼면서 비로소 눈물을 흘린다.

 왕자는 온 몸을 금으로 휩싸고, 보석들로 치장을 하였지만 동상이 되어 버려 아무 것도 할 수 없었기에 그저 눈물밖에 흘릴 수 없었던 것이리라. 왕자는 잠자리를 찾아 동상 아래로 날아 든 제비에게 사랑의 전령사가 되주길 요청한다. 눈물 때문이었을까... 따뜻한 나라로 떠나야 할 제비는 금붙이와 보석들을 가난한 이들에게 나누어주라는 왕자의 부탁을 거절하지 못한다. 그리고 마침내  한쪽 눈(보석)마저 뽑아 주는 바람에 아무 것도 볼 수 없게 된 왕자를 위해 언제까지나 곁에 남아 있겠다는 제비의 말에 어찌 감동하지 않을 수 있을까! 자신이 추위에 얼어 죽을 것을 알면서도...왕자도 헐벗은 몸만 남았지만 제비의 헌신과 사랑으로 외롭지 않았을 것이다..

 잘 알려진 이 동화는 제인 레이라는 작가의 그림에 의해 새로운 이미지가 부여된 것 같다.  왕자의 동상의 바탕이 되는 금색과 붉은 색, 초록색을  그림 여기저기- 옷, 담요, 탁자, 장갑, 지붕, 새, 뱀  등- 에 쓰이고 있다.  금색은 손으로  만져 보고 싶게 만드는지라 아이나 나나 한 번씩은 쓰다듬어 보곤 한다.  무엇보다 금색은 제비가 왕자에게 들려주는 이집트의 화려한 그림들에 잘 어울린다. 이집트에 있는 왕의 무덤과 거대한 화강암 왕자, 그리고 황금빛 사자들의 이야기를 왕자에게 들려 주며 그 곳으로 돌아갈 날을 꿈꾸던 제비였지만 결국 "사랑하는 왕자님, 안녕!"이라는 마지막 말을 남긴 채 왕자의 발 아래에서  차디찬 죽음을 맞이하죠. 그와 함께 -납이었을망정- 왕자의 심성이 깃든 심장은 두 조각나고...

 너무나 서글픈 결말이 될 뻔한 이 이야기를 아름답고 흐뭇한 끝맺음으로 이끌어 준 것은 하느님이 왕자와 제비(조각난 납 심장과 죽은 제비)를 그 도시에서 가장 고귀한 것으로 인정하시고, 천국에서 영원한 안식을 갖게 하신 덕분이리라. 감동은 오래도록 여운을 남기고 가슴에 새겨지기에 아무리 어릴 때 본 이야기들이라도 잊혀지지 않는가 보다. 더구나 그림책은 아름다운 색채로 이루어진 한 장면으로 더욱 강하게 기억되지 않겠는가. 우리 아이들에게도 이 동화가 그러한 감동과 여운을 가져다 주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