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임금님이 꿈쩍도 안 해요! - 1986년 칼데콧 아너상 수상작 세계의 걸작 그림책 지크 55
돈 우드 그림, 오드리 우드 글, 조은수 옮김 / 보림 / 200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목욕, 아니 물놀이라고 해야 하나? 물 속에서 이런 저런 놀이를 하는 모양이 마치 아이의 행동 같은데 그 주인공은 책장을 넘기면 나타나는 아이가 아니라 바로 나이 드신 임금님이다. 등장하는 어린 소년은 임금님의 목욕 시중을 들어 주는 시종으로 왠지 어른과 아이의 역할이 바뀐 듯한 느낌마저 든다. 이 그림책은 반복되는 말의 묘미도 있지만 그보다는 그림이 주는 흥미로움-우드 부부의 책을 좋아하는 엄마나 아이들이라면 그들의 책의 특징을 잘 알 것이다-이 더 큰 재미를 주는 책이다. 그러니 그림 하나 하나를 세세히 살펴 볼 필요가 있는데 곳곳에 웃음과 흥미와 놀라움을 자아내게 하는 소품들이 등장한다.

책을 펼치면  어린 시종이 수건과 물통을 들고 계단을 힘겹게 올라가는 뒷 편의 탑에 김이 모락모락나는 창으로 누군가 목욕을 하고 있는 모습이 얼핏 보일 것이다. 이 시종이 외치기를 해가 떴는데 임금님은 목욕통 안에서 꼼짝도 안 한단다. 나라를 다스릴 중대한 책무를 지닌 임금님이 나오질 않으니 큰일은 큰일이다. 그러니 누군가 나서서 임금님을 나오시게 해야 하는데, 가장 먼저 갑옷 입은 기사가 나섰다. 그런데 임금님은 거품이 몽실몽실 넘쳐나는 목욕통 안에서 전쟁놀이를 하자고 하지 무엇인가! 임금님은 즐거운 표정인데 비해 기사의 표정은 죽을 상이다. 거기다 마침내 통 밖으로 나온 기사의 모습을 보라. 보슬보슬하던 머리 장식은 축~ 쳐서 버렸고, 맵시 나던 양말은 흘려 내려 다리 털이 다 보일 지경이다.

이번에는 왕비가 들어가지만 마찬가지로 흠뻑 젖어서 나오고, 어린 시종은 그 뒤 치다꺼리를 하느라 힘이 겹기만 하다. 그래도 그림 속의 산해진미를 보니 목욕통 안에서일지라도 이런 음식들을 먹어봤으면 하는 생각이 절로 든다.  음식들을 잘 살펴보면 등장인물 미니어쳐가 음식 여기저기에 세워져 있다.  그 뒤로도 임금님을 나오게 하기 위해 공작과 신하들이 나서지만 밤이 어둑해지도록 아무도 성공하지를 못한다. 하지만 그 모든 시중을 들던 어린 시종이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으니! 과연 임금님을 통 밖으로 뛰쳐나오게 만들 방법은 무엇일까? 일찌감치 이 간단한 방법을 생각해 냈더라면 여러 사람들이 고생을 하지 않아도 되었을텐데.. ^^

우리 아이들도 목욕(물놀이)을 무척 즐기는 편이다. 집에 욕조가 없는 탓에 대야에 물을 받아서 놀게 하는데 그래도 그 속에서 노는 것이 즐거운가 보다. 얼마 전에, 이 무더운 여름에 풀장에도 한 번 데려가 주지 못하는 것이 미안해서 집이 좁아 사용하지 못하고 잇던 볼풀을 꺼내 화장실에 놓고 미지근하게 물을 받아 주었다. 낮이면 두 녀석이 그 속에 들어가서 노는데 도무지 나올 생각을 안 한다. 블록도 가지고 들어가고, 소꿉도 가져다 놓았다. 수달처럼 논다고 튜브도 띄어 놓고 무엇이 그리 재미있는지 웃음소리와 괴성(?)이 끊이질 않는 아이들을 보니 이 책 속의 임금님이 떠오르지 않을 수가 없다. “그런데 임금님이 꿈쩍도 안해요!”는 물놀이에 빠져 있는 여름에 잘 맞는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맨 처음에 아이 아빠가 읽어주었는데 -평소에 아이에게 책을 읽어주지 않다 보니- 다시 읽어달라고 조르는 걸 이해를 못하겠단다. 하지만 재미있는 이야기는 금방 들었어도 또 듣고 싶고, 또 보고 싶은 법이다. 나는 “여러분, 큰일 났어요~ 임금님이 목욕통 안에서 꿈쩍도 안해요!”를 너무 열심히 외쳤더니 이 책 한 번 읽어 주고는 목이 쉬어 버렸다.  자꾸 자꾸 읽어달라는 아이들을 위해 목을 조금 아낄 필요가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