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라진 도시 사라진 아이들 - 1995년 뉴베리 아너 선정도서
낸시 파머 지음, 김경숙 옮김 / 살림Friends / 2010년 4월
평점 :
아프리카를 공간적인 배경으로 삼고, 2194년의 가상의 미래 세계를 설정하여 처음으로 집 밖으로 나간 세 형제가 겪는 모험을 담고 있다. 아이들이 겪는 모험의 과정에서 전통과 관습이 존재하는 '레스트헤이븐'을 통해 아프리카의 정신 세계를, 기계 문명이 보편화된 미래의 세상을 조명하면서 과거와 현재, 미래에 대해 생각해 보는 계기를 마련해주고 있다. <전갈의 아이>의 작가인 낸시 파머가 글을 썼으며 뉴베리 아너(1995년)를 수상한 작품.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05399153555747.jpg)
마치카 장군의 세 아이(텐다이, 리타, 쿠다)는 군인인 아버지로부터 아침마다 식사 시간을 정확하게 지켜야 하고, 용모 검열을 받는 등 엄격한 규율 하에서 생활한다. 더구나 장군 자신과 가족을 노리는 적들이 많기에 위험에 노출시키지 않으려는 의도로 아이들을 바깥 세상에 내보내지 않고 키운다. 그래서 텐다이는 열세 살이나 되었지만 버스를 타본 적조차 없을 정도. 세 아이는 사람보다 기계가 더 많은, 완벽한 시설이 갖추어진 집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철저하게 보호를 받으며 살아간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05399153555748.jpg)
하지만 바깥 세상에 대한 두려움보다는 호기심이 앞서는 아이들이 아닌가. 마치카 장군네 아이들도 보이스카우트 배지를 모으기 위해 멜로워의 교묘한 도움으로 '스카우트 현장 체험'허락을 받아 집 밖으로 길을 나선다. 그런데 시장 통에서 납치되는 사태가 발생하고 암코끼리에게 팔리는 신세가 된다. 그녀를 섬기는 블레어 사람들은 쓰레기 매립지에서 살아가는데, 작가는 플라스틱과 비닐봉지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는, 가난과 암울함으로 가득찬 '죽은 자의 땅'을 통해 사회의 음지에 속하는 쪽과 우리들도 미래에 겪게 될지도 모를 환경오염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아프리카의 심장이라 일컬어지는 '레스트헤이븐'은 현대의 기계 문명을 배제하고 아프리카 부족의 정신과 전통을 이어가는 고립된 곳이다. 그러나 여자인 리타가 남자인 텐다이에 비해 힘든 상황을 겪는 성차별이 존재하는 등 부조리한 인습이 존재하기도 하는 곳. 아이들이 레스트헤이븐에서 겪는 일을 통해 전통이 소중하긴 하지만 과거로부터 이어온 모든 관습을 고수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을 갖게 만든다. '트래시맨'은 한 곳에 머무르는 법 없이 어디든지 가리지 않고 돌아다니는데, 이는 아프리카의 자유로운 정신과 영혼을 상징하지 않나 싶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05399153555749.jpg)
이후 세 아이가 여러 곳을 거치면서 갖가지 일을 겪는 동안 아이들을 찾기 위해 고용된 세 탐정이 등장한다. '밝은 귀'는 귀가 코끼리만하고 '긴 팔'은 긴 다리를 가진 거미처럼 생겼으며, '멀리 보는 눈'은 개구리처럼 눈이 불룩 튀어나온 괴상한 외모를 지녔다. 이들은 사건을 해결하러 다니다 무시로 다치는데 이들을 치료하러 출동한 응급대원의 대사가 종종 웃음을 선사한다. 특이한 외모를 지닌 이 세 탐정의 출생 이력에서도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된다.
작품 곳곳에 기계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미래 세계를 묘사하고 있어 아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있다. 집사 로봇이 시중을 들고, 컴퓨터가 조리한 음식을 제공하고, 홀로폰이 돌아다니기도 하고, 진짜 개 대신에 로봇 개를 키운다. 그리고 버스가 날아다니는 등 소설이나 영화에서나 보던 미래 세상이 언제고 현실에서 실현될 날이 오지 않을까 싶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05399153555750.jpg)
후반부로 접어들면 장군이 가장 염려하던 마스크 일당이 등장하여 아이들을 위험에 빠트린다. 아이들과 세 탐정, 그리고 주변 사람들이 일생일대의 위기를 헤쳐나가는 과정이 흥미진진하게 펼쳐진다. 마지막으로 본문 뒤에는 작품에 등장하는 용어를 설명한 용어사전과 더불어 작품의 이해를 돕는 부록과 독서 퀴즈와 독후활동이 실려 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05399153555751.jpg)
아이들이 걱정되어 되도록이면 위험에 노출시키지 않고자 하는 마음은 어느 부모나 마찬가지일 것이다. 사회적으로나 주변 환경 자체가 점점 더 위험한 세상이 되어가고 있는 터라 사건 소식을 접할 때면 아이들을 집 안에서만 생활하게 할 수는 없나 고민하기도 한다. 하지만 바깥세상이 위험하다고 집 안에서만 키울 수도 없는 노릇이고, 그런 방식이 아이에게도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부모가 자식을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많은 제약들로 인해 아이들은 접하고 겪어보아야 할 세상의 많은 부분들은 놓치게 되는지도 모른다. 텐다이는 집 밖으로의 모험을 감행한 덕분에 자신이 지금껏 얼마나 행복하게 살아왔는지, 그리고 얼마나 슬프게 살아왔는지를 알게 된다. 그리고 모험을 통해 신체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한층 더 강해지고 성숙해진다. 텐다이처럼 우리 아이들도 세상에 나가 어려운 일, 힘든 일들, 위험한 일들을 직접 대면하고 헤쳐 나가면서 성장해 나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