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눈의 여왕 ㅣ 안데르센 걸작그림책 1
한스 크리스찬 안데르센 지음, 키릴 첼루슈킨 그림, 김서정 옮김 / 웅진주니어 / 2005년 1월
평점 :
안데르센 원작의 동화를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게 재해석한 그림책. 김서정씨가 원작의 느낌을 살려 글을 쓰고 러시아 화가 키릴 첼루슈킨가 작품의 분위기를 잘 살려낸 그림을 그렸다. 이 작품은 안데르센의 아버지가 창문에 낀 성에를 바라보며 한 말-봐라, 얼음 아가씨가 나를 데려가려고 와 있구나.-이 모티브가 되어 탄생하였다고 한다. 얼마 전에 두툼한 안데르센 평전을 읽어 보았는데 그는 어린이뿐만 아니라 어른들도 독자로 생각하고 작품 곳곳에 많은 상징과 의미를 부여하여 글을 썼다고 한다. <눈의 여왕>에도 기독교적인 배경과 해석이 작품에 깔려 있지만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이 그림책에서는 그런 의미를 해석하기보다는 이야기 자체에 무게를 싣고 있다.
못된 악마가 만든 거울이 깨지면서 산산조각 난 파편들이 지상으로 떨어져 내리게 되는데 무엇이든 흉하게 보이게 만드는 이 거울 조각이 사람들의 눈과 마음에 박히면 사람들이 차갑고 잔인하게 변해 버린다. 이 이야기의 주인공인 카이와 게르다는 친한 친구 사이로 다락방 장미 정원에서 사이 좋게 함께 놀곤 한다. 그런데 어느 날, 카이의 눈과 마음에 악마의 거울 조각이 박히면서 카이는 차갑게 변해 버린다. 그 후 겨울이 되자 눈의 여왕이 나타나 카이를 데려가 버린다. 우리나라 전래 동화나 서양의 신화에도 여인이 사랑하는 연인을 찾아 고난에 찬 길을 가는 이야기들이 존재하는데 이런 설정처럼 게르다는 카이를 찾기 위해 먼 길을 떠나고 여러 어려움을 이겨내고 눈의 여왕의 성에 다다른다.
이 그림책의 압권은 눈의 여왕의 성에서 카이를 찾아 낸 게르다가 눈의 여왕의 호위병들과 맞서는 장면이다. 호위병들의 기괴한 모습이나 게르다의 사랑이 형상화 된 천사의 모습이 인상 깊게 다가온다. 눈물의 흔히 정화의 상징으로 여겨지는데 이 작품에서도 게르다의 눈물은 얼어붙은 카이를 녹이고, 카이 또한 눈물로서 자신의 안에 박혀 있던 거울 조각을 몰아 내는 요소로 작용한다. 스케치 선의 섬세하면서도 날카로운 느낌을 그대로 살린 화풍이며 붉은 색과 대비되는 백색으로 눈의 여왕의 차가운 이미지를 잘 표현한 작품이다.
- 20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