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피터팬
제랄딘 맥코린 지음, 조동섭 옮김 / 김영사 / 2006년 10월
평점 :
절판


자라지 않는 소년 피터팬, 네버랜드, 후크 선장, 요정...
100여 년이라는 오랜 세월 동안 전세계 어린이들의 사랑과 믿음, 박수갈채 속에서 생명을 이어 온, 아이들에게도 어른들에게도 친숙한 피터팬들의 등장 인물들이 대를 이어 다시 작품 속에서 되살아 났다. 「피터팬」의 저자 제임스 매튜 배리가 작품의 권리를 기부한 오몬드 아동병원에서 인정한 작가 제랄딘 매커린에 의해 탄생한 「피터팬」의 공식 속편!

 어느 날 나이 든 소년들이 똑같은 꿈을 꾸기 시작한다. 매일 밤 진짜 같은 끔찍한 꿈을 꾸고 깨어나 보면 꿈 속에서 본 이상한 물건들이 침대에 남아 있다. 의사, 박사, 판사 등의 직책을 가진 이 나이 든 소년들과 웬디 부인은 네버랜드가 뭔가 잘못 되었음을 깨닫고 그곳으로 돌아가기로 한다. 요정 가루를 찾는 과정에서 요정 파이어 플라이어(장난기 넘치고 거짓말도 잘하는!)를 만나 네버랜드 여행길에 동행한다. 어른이 되어 살아가면서 빼놓았던 용기와 용맹, 기백을 되찾고 아이가 되어 다시 네버랜드로 날아간 이들은 과연 어떤 상황과 맞닥뜨리게 될까?
 
이 책을 읽다 보니 내가 피터팬 원작(완역본)을 읽은 적이 있던가 하는 생각이 내내 들었다. 내용의 기본적인 뼈대만 기억날 뿐인지라 원작인 「피터팬」의 일부분을 다시 읽어보니 역시나 그 책 또한 낯설게 느껴졌다. 어린 시절에 요약본으로 출간된 동화책으로 접한 탓인가 싶고, 원작인 「피터팬」을 다시 읽어 보아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 피터팬 하면 아이들이 네버랜드에서 즐겁게 놀거나 해적 후크 선장을 골려 주는 모습 정도만 떠오르는 사람은 이 작품에 쉽게 몰입하기 힘들지 싶다. 특히 피터팬이 어른이 되어 다시 네버랜드로 가는 영화 "후크"의 영상이 기억 속에 남아 있어 이 작품에 몰입하는데 방해 요소로 작용하기도 했다. 

 피터팬과 아이들은 올 풀린 털실 사나이, 라벨로와 함께 보물을 찾아 원정을 나서지만 가는 길이 순탄치 않다. 여러가지 역경이 모험을 찾아 떠난 이들을 위협하고 가로막고 지치게 한다. 더구나 언제까지나 어린아이이고, '오직 하나뿐인 아이'인 피터팬은 순수성을 잃고 독선적인 후크처럼 점차 이기적으로 변해간다. 원제에 등장하는 'scarlet'은 피터팬이 걸치게 된 후크 선장의 코트 색을 일컫는 단어이다. 네버랜드에서는 자라는 것, 어른이 된다는 것은 곧 맹세를 깬 벌로 그 곳을 떠나야 한다는 의미이다. 어른이 되었을 때를 상상하는 바람에 자라기 시작한 한 소년은 피터팬에 의해 무리에서 쫓겨난다. 반면 한 명은 친구들과 네버랜드를 떠나야 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피터팬를 위해 스스로 어른이 되는 길을 선택한다.

  자유자재로 하늘을 날아 다니는 영원한 소년 피터팬이야 어린이들의 우상이지만 공식 속편인 이 작품은 어린이 대상의 도서로 보기 어려울듯 하다. 독에 오염된 네버랜드를 배경으로 계략과 음모, 침체, 좌절 등 음울하면서도 어둡고 지친 분위기가 전반적으로 깔려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자들은 이 작품을 통해 성장을 피할 수 없는 우리 인간들이 어른이 되어서도 이기적인 마음 대신 순수함을 잃지 않고 간직한다면 언젠가는 네버랜드로 날아갈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희망을 갖게 된다. 어른이 되어버린 우리의 가슴 속에 웅크리고 있는 동심의 날개에 파닥거릴 힘을 실어주는 피터팬! 피터팬이 날아 들어올 수 있도록 마음의 창문도 열어 두도록 하자.

 명심할것 하나! 글 자체만으로는 이 작품의 매력을 충분히 빠져 들수없다. 상상력이 있어야 피터팬이 만들어낸 문도 열수있고, 음식도 상상력이 있어야 먹을 수 있다. 독자들도 이 작품 속에 빠져들기 위해 상상력을 마음껏 펼쳐야 할것이다. 마지막으로 본문에는 삽화가 없지만 챕터마다 앞으로 나올 내용을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그림자 그림이 근사한 멋을 풍기고 있다. 하나 하나가 너무나 매력적인 실루엣이라 책장을 넘기기 전에 한참을 들여다 보게 된다. 
 
- 2006/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