햄릿 - 청소년과 어른, 그리고 어린이를 위한 그림책
윌리엄 셰익스피어 지음, 프리드리히 카를 베히터 엮음, 김경연 옮김 / 보림 / 2006년 8월
평점 :
절판


 셰익스피어의 고전인 "햄릿"을 지금까지와는 다른 방식으로 접근한 그림책. 독일에서 인정 받는 풍자화가이자 카툰 작가, 일러스트레이터로 그림책 분야에서도 많은 상을 수상한 프리드리히 카를 베히터가 특이한 형식과 해석으로 햄릿을 새롭게 탄생시켰다. 이 작품은 원작에는 등장하지 않는 어릿광대와 곰 인형을 화자로 내세우고 있으며 이야기로 풀어서 들려주는 방식이 아니라 원작처럼 희곡의 형식을 살린 점이 돋보인다. 사각의 테두리 속에 든 그림은 공연 무대의 한 장면처럼 보인다. 앞뒤 속지가 무대를 가린 붉은 커튼 그림으로 채워져 있는 점도 이런 형식을 강조하기 위함인 듯...

 각 장면의 윗부분에 상황 설명을 위한 짤막한 지문이 한 줄 정도 실려 있으며, 두 화자의 대화와 등장 인물들의 대사는 그림 속에-배경과 다른 색으로 줄 처리- 배치했다. 작품에 등장하는 어릿광대와 곰 인형은 독일 아이들에게 매우 친숙한 존재로, 이 둘을 작품 속에 등장시킴으로써 <햄릿>이라는 고전과 아이들의 거리를 좁혀주고 있다.  
 
 카툰 느낌을 주는 간결한 그림으로 등장인물을 묘사하기도 하고 콜라주 기법을 도입한 장면도 있는 이 그림책은 간결한 형식과 최소한의 등장인물들만으로 보여주고 있다. 작품의 화자로 극을 이끌어 가는 어릿광대와 곰은 햄릿의 친구이자, 연극단원, 관찰자, 사랑의 전령 등의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극의 상황을 설명하기도 하고 햄릿의 고뇌와 슬픔, 절망을 대신 말해주기도 하고, 조언을 해주기도 한다.

스치듯 전해지는 사랑하는 사람을 향한 열망,
자식(오필리어)을 염려하여 가로막는 재상의 단호함,
숙부와 결혼한 어머니로 인해 절망감에 휩싸인 햄릿,
자신의 죽음에 대해 밝히는 아버지의 유령,
선왕의 죽음을 재현한 연극과 예기치 않은 살인,
고뇌와 절망에 휩싸인 한 젊은이와 그를 사랑한 한 여인의 어긋난 운명과 사랑...

 프리드리히 카를 베히터의 마지막 작품인 <햄릿>은 초등학생에서 성인을 아우르는 독자층으로 하고 있는데, 그림책 형식의 작품이라고는 하지만 내용면에서는 아이들이 쉽게 받아들일만한 것들이 아니다. 죽음, 배신, 절망, 사랑, 광기, 복수... "햄릿"이라는 작품에 담긴 주제들은 어느 것 하나 쉽지 않은, 아이들에게 선뜻 접해주기가 꺼려지는 주제들이다. 그래서 '과연 아이들에게 보여 줄만한가?' 하는 망설임이 생기고 아이들은 이런 주제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어떤 점을 궁금해 할지, 이것에 대해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할지 염려도 하게 된다.

 아이에게 이 책을 보여주기 전에 나름대로 고민을 안고 몇 번을 보고 또 보았다. 늘 그렇듯 이 책 역시 매번 새로운 것을 발견하고, 새로운 느낌으로 다가왔다. 때로는 한 줄의 문장이 가슴을 울리기도 하고, 햄릿을 두고 너울너울 춤을 추며 떠나가는 오필리어의 모습을 볼 때면 한 쪽 가슴이 아릿하게 아파오기도 한다. 발목에 묶인 쇠사슬은 풀렸으나 보이지 않는 쇠사슬에 묶인 여전히 묶여 있는 햄릿과 현실의 괴리 앞에서 더 이상 견디어 내지 못하고 이성이 무너져 내린 오필리어.. 그 둘의 비극적인 결말은 오래도록 뇌리에 남아 있게 된다. 베히터는 오필리어에게 죽음 대신 잃은 것을 찾아 떠나게 한다. 그 뒤를 따르는 어릿광대와 곰이 진정으로 그녀를 도울 수 있기를!! 커다란 판형의, 묵직한 느낌을 주는 이 그림책은 볼 때마다 다양한 느낌의 조각들을 분출시키는 작품이다.

-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 중 <맥베스/미래M&B>에 이어 두 번째로 접한 비극 작품 <햄릿>. 이 책을 본 아이들과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는데 두 아이 다 연인들의 비극보다는 새 왕이 선왕을 죽인 점이 더 인상 깊게 남은 모양이다. 큰 아이(초등4)는 새 왕이 왕비와 짜고 선왕을 죽인 것인지, 보이지 않는 쇠사슬이 어떤 것인지 궁금해 했다. 작은 아이(초등2) 역시 새 왕이 왕 자리를 차지하고 싶어서 선왕을 죽인 것이냐고 물어오며, 왕비가 선왕에게 '두 번째 남편을 맞는 건 단호히 거부하겠'다고 해놓고 새 왕이랑 결혼한 것이 나쁜 것 같다고 하였다.  

- 2006/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