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 보면 더 재미있는 나무 이야기 - 자연 박사가 되는 이야기 도감, 나무 알고 보면 더 재미있는 시리즈 1
현진오.문혜진 지음, 고상미.권순남 그림 / 뜨인돌어린이 / 200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참 편안한 나무 도감을 만났다. 식물의 사진과 정보만을 담은 일반적인 형태의 도감이 아니라 나무에 관한 설명과 함께 이야기 속에 저자의 경험을 맛깔스럽게 버무려 놓았다. 책에서 다루고 있는 나무 종류의 수가 도감이라고 하기에는 적은 편이긴 하지만 어린시절 산으로 다니며 열매를 주워서도 먹고, 따서도 먹었던 일화나 희귀식물을 발견했을 때의 감동 등이 각 식물의 정보와 어우러져 글을 읽어나가는 것이 쉬우면서도 편안한 느낌을 주고 있다.  

 '드렁드렁 으름덩굴, 사르르 으름열매', '수줍은 얼굴 가득 함박웃음 머금었네'같이 시적인 제목 아래 각 나무에 대한 이야기를 조근조근 들려주고, 다루고 있는 식물의 세밀화 그림과 명칭, 학명, 과명, 형태, 꽃, 열매, 잎의 특징과 원산지를 간략하게 정리해 놓았다(학명이 무엇인지 모르는 독자도 있을 텐데 이에 대한 설명 없이 학명을 실어놓은 점은 조금 아쉬움). 감나무, 은행나무, 산수유나무, 소나무, 무궁화나무 등은 주변에서 접할 수 있는 나무들인지라 이파리를 주워오거나 이 책을 들고 나가서 비교해보게 하면 좋을 듯 하다. 세밀화 그림 외에도 다양한 식물의 모습을 담은 사진들이 설명의 이해를 돕고 있다. 

 우리가 흔히 참나무라고 말을 하지만 실제로 참나무라는 이름을 가진 나무는 없다는 사실을 아시는지...  이 책을 보지 않았다면 아이에게 왕벚나무의 원산지가 일본이라고 우길 뻔 했을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황근을 제외한 무궁화의 원산지가 우리나라가 아니라는 점도 나로서는 처음 안 사실이다. <5장 쓰임새 많은 고마운 나무들>을 보면 열매, 잎, 꽃, 뿌리, 껍질 등이 얼마나 다양한 용도로 쓰이는지 알 수 있다.

<6장 이제는 사라져 가는 우리의 나무들>은 안타까운 마음으로 읽었는데, 저자가 예로 든 미선나무처럼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식물임에도 사람들이 함부로 캐가는 바람에 자생지가 훼손이 되는 경우는 다시없어야 할 것이다. 이미 지구는 환경오염과 온난화로 인해 생태계가 많이 파괴되었는데 거기다 인간이 멸종단계의 귀한 식물에 손을 대 멸종을 앞 당기는 일을 해서야 되겠는가.  저자의 말처럼 "소중한 것은 한 발짝 물러나서 바라 볼 때 더욱 빛나는 법"임을 가슴에 새기자. 

  각 장 사이에 실린 <나무 박사님이 들려주는 나무 이야기>에서는 나무의 나이를 아는 법, 나무와 풀의 차이점, 식물의 생존 경쟁 등에 대해 간략하게 다루고 있으며, <나도 미래의 나무 박사>에서는 모과차 만들기, 퇴비 만들기, 산림욕 등에 관한 방법을 차근차근 설명해 놓았다. 4학년인 큰 아이가 과학 시간에 식물에 대해 배운 덕분에 그 방면으로 관심이 가서인지 내가 권하지도 않았는데 이 책을 학교에 들고 가서는 재미있게 잘 보았다고 한다. (다만 책에 실린 세밀화 그림은 세밀화의 느낌보다는 잘 그린 그림이라는 느낌이 더 강한 듯...) 부록으로 식물의 세밀화 그림을 카드형태로 인쇄하여 첨부해 놓아 잘라서 야외에 들고 나가면 좋을 듯 하다.


* 학명 참고 :http://100.naver.com/100.nhn?docid=185455

------------------------------------------------

- 나는 우리나라 곤충이나 식물의 학명을 접할 때면 속상하고 아쉽다. 보통 학명은 속명 종명 명명자의 이름 순서로 기재되는데 많은 개체의 학명 뒷부분에 일본인의 이름이 붙어 있다. 어째서 우리나라에는 일찌기 이런 분야를 연구하는 학자들이 없었을까.. 왜 나라에서 앞장 서고 뒷받침을 해주지 못해서 우리나라에서만 자생하는 식물에조차 학명에 일본인 이름이 붙게 만들었는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