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어도 괜찮아 책읽는 가족 49
명창순 지음, 최정인 그림 / 푸른책들 / 200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모간의 다툼이나 가출로 인해 아무 잘못도 없는 아이들이 부모의 폭력과 학대에 상처 받고, 무관심 속에 방치된 채 힘들고 어려운 생활을 해나가는 아이들이 늘어나는 추세라고 한다. 이 작품은 폭력을 일삼는 아버지와 집을 나간 엄마를 둔 한 준서가 하루하루를 힘겹게 살아가는 모습을 그린 동화이다. 지저분한 옷차림에 학교 준비물도 챙겨가지 못하고, 끼니조차 제대로 먹지 못하는 준서의 모습 속에 어른들에게 보살핌을 받지 못하고 방치된 채 어렵게 살아가고 있는 아이들의 모습이 배여 있다.

준서네는 집 안의 가장인 아버지가 사고로 몸을 다치면서 살림도 어려워지고, 일자리를 구하기 어려워지자 아버지가 가족에게 자꾸 화풀이를 하면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아버지의 울분을 받아내던 엄마마저 집을 나가버리면서 이제 그 화살이 준서에게로 향하게 되고, 아버지가 행하는 폭력을 피하기 위해 집 밖으로 도망 나가 아버지가 잠들기를 기다리는 것만이 준서가 할 수 있는 최소한의 방편이다. 준서 아버지 역시 부모에게 버림받은 큰 상처가 가슴에 응어리로 남아 있는 사람으로, 사랑하고 돌보지는 않아도 자신은 아이를 버리지 않고 있음을 내세우는, 아버지 노릇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사람이다.

 그리고 또 한 사람, 선생님을 찾아가 짝(준서)을 바꿔달라고 부탁하는 혜지 엄마는 자기 자식만을 염려하는 이기적인 부모의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그런 혜지 엄마를 비난하지 못하는 것은 나 또한 내 자식부터 챙기고 걱정하는 이기적인 부모이기 때문이리라... 슈퍼를 지키는 눈이 보이지 않는 깜깜 할머니와 중국집 배달원 번개 형은 그런 준서를 감싸 안아주는 이웃으로, 배려와 애정으로 대해주는 두 사람이 있기에 그나마 준서가 세상으로부터 완전히 마음을 닫지 않고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살아갈 힘을 놓지 않았으리라.

  힘든 삶에 작별을 고하며 옥상에 올라갔던 준서를 내려오게 만든 강아지 도돌이는 동네 여기저기를 돌아다니는 버림받은 개로 준서가 자신이 받지 못하는 애정과 관심을 베푸는 대상이다. 아이들에게 괴롭힘을 당하고 있던 도돌이를 준서가 도우려 하다 상처를 입는 일이 발생하고, 작가는 이 장면에서 대물림되는 폭력의 모습을 드러내 보인다. 그러나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도돌이를 책임지고 돌보려는 준서의 모습에서 애정과 책임감이 결여된 준서 아버지와는 다른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이제 준서 곁에는 넘어지려 할 때 어깨를 단단히 잡아 줄 엄마가 있고, 가슴 속에 누군가를 사랑하고 책임질 줄 아는 마음이 싹을 틔우기 시작했으니 준서에게 더 이상의 눈물은 없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아니 울고 싶을 때 소리 내어 마음껏 울 수 있기를 바란다. 

 - 2006/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