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인 나라의 난쟁이 마루벌의 좋은 그림책 61
마리오 괴퍼르트 지음, 조쉬에 판 게펠 그림, 안인희 옮김 / 마루벌 / 2006년 1월
평점 :
절판


 남들과 다른 모습으로 살아가는 것은 참으로 쉽지 않은 일이다. 그리고 나와 다르게 생겼다 하더라도 마음도, 생각하는 것도 나와 같을 수 있음을 알아보는 것 또한 쉽지 않은 일이다. 이 그림책은 거인 나라 사람이지만 너무 작아서 난쟁이처럼 여겨지는 골리앗과 난쟁이 나라 사람치고는 지나치게 커서 거인처럼 여겨지는 릴리펏의 이야기이다. 이 책을 보면서 우리가 누군가의 겉모습으로 그 사람을 판단해 버리는 것에 너무 익숙해져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작은 거인 골리앗, 난쟁이 나라의 큰 난쟁이 릴리펏. 거인들이 사는 곳이니 물건들도 엄청나게 크고, 바닥에 있는 틈조차도 조심해야 할 만큼 큰지라 작은 거인인 골리앗으로서는 어딜 다니기도 여의치가 않다. 주위에서도 배려하기 보다는 언제쯤 거인이 될 거냐고 놀리기만 하니 마음의 상처도 클 수밖에 없다. 릴리엇 역시 모든 것이 작은 난쟁이 나라에서 사는 것이 쉽지 않았던 터라 그 둘은 작은 사람은 커지게 하고 큰 사람은 작아지게 해준다는 샘물을 찾아 함께 인간나라로 간다. 그러나 그들이 본 것은 향기로운 풀밭대신 도로가 들어서고, 불도저가 산에 생채기를 내며 돌덩이를 캐내며, 쓰레기 더미로 가득 찬 곳. 인간에 의해 생채기 나버린 지구 환경의 단면을 보는 것 같아 가슴 한 구석이 뜨끔해진다.

 마음으로 자신을 거인이라고 생각하는 골리앗을 알아보는 릴리펏은 “거인이라고 무조건 커야 하는 건 아니야.”라고 말한다. 자신의 마음을 알아주는 누군가가 있다는 것은 가슴 뿌듯한 일이다. 한 쪽은 하늘만큼 솟아오른 큰 집이고, 다른 한 쪽은 장난감 집처럼 작아도 둘은 한 지붕 아래에서 평화롭고 행복한 삶을 산다. 마지막 장면은 릴리엇이 골리앗을 어깨에 올려놓고 앉아 있는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과 그들 마음속의 모습, 거인 골리앗이 난쟁이 릴리엇을 다정하게 껴안아 주는 모습을 한 장면 속에 담고 있다. 꼭 남들과 모습이 같아야만 행복한 것은 아니다. 겉모습이 아니라 서로의 마음을 알아봐주고 이해해 줄 때 진정한 행복이 함께 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그림책이다.  

-2006/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