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할아버지 비룡소의 그림동화 4
존 버닝햄 지음, 박상희 옮김 / 비룡소 / 199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의 아버지, 즉 아이들의 외할아버지가 작년에 돌아가셨다. 병원에서 마지막 가시는 모습을 뵈면서 정말 이것이 마지막인가, 다시는 아버지를 볼 수 없다니 설마... 하는 생각을 했었다. 그 때의 생소한 감정은 오래도록 지속되더니 시간이 제법 흘러서야 빈자리가 느껴진다. 슬픔은 뒤늦게 찾아 오는 것인가 보다. 그런데 같이 살아 본 적이 없이 일 년에 한 두번 본 것이 다인 아이들로서는 할아버지의 죽음이 그리 크게 다가오지는 않는 듯 하다.

이 책에 등장하는 할아버지와 아이는 나이 차이가 많이 나는데서 오는 거리감이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 상대방과 서로 다른 이야기를 주고 받으면서도 혼란스러워 하지 않고, 할아버지나 손녀나 자신의 이야기만을 강요하지 않는다. 할아버지가 노아의 방주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 주는데, 아이가 '그럼 우리 집도 배가 되나요?'라는 질문을 하는 부분은 아이들의 엉뚱한 상상력의 나래가 어디로 펼쳐지는 지를 잘 보여 주고 있는 장면이다.

주목할 점은 작가가 서로 다른 생각을 하고 있는 할아버지와 손녀의 각기 다른 생각을 다른 그림 기법으로 표현하고 있다는 것이다. 펜으로 그려진 그림과 색이 색칠진 다른 한 쪽 그림은 할아버지와 손녀의 서로 다른 면을 잘 나타내고 있는 것 같다. 한편 글 속에는 어떠한 언급도 없음에도 불구하고 덩그라니 비어있는 소파는 할아버지가 더 이상 이 세상에서 존재하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커다란 슬픔은 없다. 아이는 여전히 열심히 뛰어 다니고, 세상은 환하기만 하다. 죽음은 슬픔이라는 공식은 어른들이 만들어 놓은 것일뿐 아이는 할아버지의 죽음을 단순한 부재로 받아 들일 뿐이다. 죽음이 아이에서 어떤 의미로 다가올지는 시간이 흐른 뒤에 알 수 있으리라. 버닝햄이라는 작가의 독특한 작품 세계는 그의 많은 책들을 통해서 조금씩 느껴갈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