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당탕탕, 할머니 귀가 커졌어요 ㅣ 비룡소의 그림동화 54
엘리자베트 슈티메르트 글, 카를리네 캐르 그림, 유혜자 옮김 / 비룡소 / 1999년 7월
평점 :
이 책은 교육방송에서 방송된 '오렌지 동화나라'에서 보긴 했지만 그 때는 가면을 쓴 연기자들이 너무 어색해 보여서 책 자체도 그다지 마음에 담아두질 않았습니다. 그러나 다른 사이트의 게시판에서 가끔 이 책 제목이 눈에 띄어 서점에 가서 보았더니 생각외로 책이 괜찮더군요.
뛰어다니거나 큰소리를 낼 때마다 막대기로 주의를 주는 아랫층 할머니때문에 우당탕탕거리던 아이들이 점점 생쥐처럼 조용해지고 움직이려 들지 않는 모습을 볼 때는 솔직히 화가 났습니다. 어른들의 말 몇 마디가 얼마나 큰 상처로 작용하여 아이들을 움츠려들게 하는지 잘 나타내 주고 있습니다. 한편 아무소리도 들리지 않는 윗층때문에 소리를 들으려고 애쓰다 점점 더 귀가 커진 할머니.. 엄청나게 늘어난 할머니의 귀가 나을 방법은 과연 무엇일까요? 아래, 윗층이 있는 집에 사는 아이들이나 어른이 읽으면 좋을 책입니다.
그리고 이 책을 보다보니 두아이의 엄마가 되었지만 아직도 기억나는 일이 있습니다. 제가 고등학교 다닐 무렵 아파트에 살던 때의 일인데, 어느날 이사온지 얼마되지 않은 아랫층 아줌마가 올라와서는 쿵쿵거리는 발소리때문에 아기가 잠을 깬다면서 좀 조용히 걸어다니라고 말하더군요. 그래서 한동안 발걸음을 조심할 수 밖에 없었지만, 오빠나 남동생은 그 조심성이 계속 가질 않다보니 아랫층 아줌마가 올라오는 일이 종종 생길 수 밖에 없었습니다.
아파트라는 공간에는 많은 세대가 함께 살다보니 여러가지 소음이 전해질 수 밖에 없는데, 참고 사는 집도 있고, 수시로 올라오거나 전화해서 주의를 주는 경우가 있지요. 제 생각에는 아무래도 더불어 사는 곳이니만치 서로 조심하고, 그래도 어쩔 수 없는 경우에는 참고 사는 것이 이웃이 함께 살아나가는 방법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현재 살고 있는 곳도 삼 층이고, 우리 아이들이 수시로 뛰어다니지만 아랫층에서 뭐라고 주의를 주지는 않습니다. 그 집도 아이가 있으시다보니 다 이해를 하시는 때문이지요. 가끔씩 우리 집 문을 두드렸던 아기 아줌마(새댁)도 아이를 좀 더 키워 보았더라면 그렇게 쫒아 올라오는 일이 없었으리라는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