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두 살에 부자가 된 키라 어린이 경제동화 1
보도 섀퍼 지음, 김준광 옮김, 신지원 그림 / 을파소 / 2001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살림을 하면서 늘 하는 고민, 어떻게 하면 잘살수 있을까? 하지만 현실적으로 부자가 되기는 정말 힘들다. 그렇다면 키라는 어떻게 해서 12살에 부자가 될 수 있었을까? 궁금증을 가지고 읽어보았다. 아직 유치원에 다니는 아이가 읽기에는 부담스러운 책이지만 어른인 나도 어린이가 부자가 된 방법이 무엇일까 하는 궁금증에 먼저 들여다 보게 되었다.

우선 경제동화라는 것을 처음 접해보는데, 주인공인 키라와 개인 머니가 이야기를 나누면서 부자가 되는 길을 찾는 이야기가 매우 신선한 느낌으로 다가왔다. 머니가 제시한 성공일기나, 소원상자 등은 당장 내게 실천하고픈 욕구를 느끼게 해주었다. 커갈수록 점점 많아지는 소원, 욕구들을 단지 꿈으로만 끝내지 않고 실제로 이룰수 있도록 실천방안을 제시해주는 것 같다. 그리고 키라가 용기를 내어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찾아내어 돈을 벌기 시작한 것을 보니 대단하다는 생각도 든다.

물론 거기에 나오는 일거리들- 문 앞까지 우유나 신문을 넣어주는 일, 빵배달을 하는 일, 개 돌보기 등은 외국이니까 가능하다는 생각도 든다. 신문함에서 현관까지의 거리가 20-30m라니, 상상이 가는가.. 하지만 우리나라 어린이들도 주위에서 돈을 벌 수 있는 일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집안 형편이 어려운 아이들이나 신문배달이나 우유배달을 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있는데 이런 편견부터 없어져야 할 것 같다.
이 책을 끝까지 읽고나서 가장 의문스러운 것은 키라의 부모님에 관한 이야기다. 그렇게 돈 문제로 골머리를 앓던 키라의 부모님들이 골트슈테른 아저씨를 만난 후에 어떤 연휴로 갑자기 형편이 나아졌는지 명확하게 나와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나의 이해력과 상상력이 짧은 탓인가..

키라가 머니라는 특별한 개를 만난 것, 그리고 골트슈테른 아저씨나 트룸프 할머니같이 경제에 밝고 카라에게 많은 지원을 해 준 사람을 만난 것이 부럽기만 하다. 책장을 덮으며 내 아이가 조금 더 크면 키라의 이야기를 들려주어 아이가 경제적인 개념을 알도록 도와주어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이제는 사회적으로도 아이들에게 일찍부터 경제개념을 심어주는 추세이니 아마 우리 아이들은 이십대가 되기 전에 다 부자가 되어 있지 않을까 한는 상상도 해 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