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각대장 존 비룡소의 그림동화 6
존 버닝햄 지음, 박상희 옮김 / 비룡소 / 199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아이의 상상력을 인정하지 않는, 그리고 아이의 이야기를 믿지 않은 어른들을 위한 책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분명히 등교길의 존에게는 엄청난 일이 일어났는데 완고한 선생님은 전혀 믿으려고 하질 않지요. 존 버닝햄은 이미 상상력의 샘이 말라버린 권위적인 어른들을 대표하는 선생님을 통해 상상력이 풍부한 아이들을 어떻게 억누르고 주눅들게 하는지 보여주고 있지요.

한번에 읽어내기에는 이름도 긴 '존 패트릭 노먼 맥허너시'는 등교길에 매번 황당하고 믿을 수 없는 일을 당합니다. 하수구에서 악어가 나타나질 않나, 덤불에서 사자가 나타나고, 산더미같이 커다란 파도가 덮치질 않나... 그 때마다 존은 지각을 하고 말고 선생님으로부터 꾸중과 함께 반성문을 써야만 하지요. 꾸중을 들을 때마다 작아지는 존의 모습이 안쓰럽게 여겨지기까지 합니다. 그러나 저라도 아이가 존과 같은 이야기를 제게 했다면 거짓말이라고 일축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이미 저 역시 현실적인 것만 믿는 사람이 되어 버린 탓이겠지요.

원어책에는 어떻게 되어 있는지 모르겠지만 이 책의 속표지에는 존이 썼을만한 반성문이 실려 있습니다. '악어가 나온다는 거짓말을 하지 않겠습니다. 또 다시 장갑을 잃어버리지않겠습니다.....' 얼마나 지루했을까요? 300번, 400번, 500번.. 아이가 천편일률적인 문장을 그렇게 반복해서 쓰는 동안 아이의 상상력도 그만큼 줄어드는 것은 아닌지.. 학교다닐 때 글을 익힌답시고 같은 단어를 한 장에 걸쳐서 계속 써내려가는 숙제가 기억나네요. 그렇게 해서 배운 글자나 단어가 좋아질 수는 없었으리라 생각합니다.

한편 어느날 존은 학교 가는 길에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아 지각을 하지 않습니다. 이번에는 선생님에게 황당한 일이 일어난거죠. 커다란 털복숭이 고릴라에게 붙잡혀 천장에 매달린 선생님은 존에게 내려달라고 명령합니다. 그런 선생님에게 존은 일침을 가합니다. 그동안 존의 말을 거짓말로 취급한 댓가라고나 할까요..

대개 아이들은 자신의 주관적인 입장, 그리고 방어적인 입장에서 이야기를 한다고 합니다. 어른에게는 그것이 거짓말로 여겨져 아이의 입장에서 생각하지보다는 그에 따른 꾸중과 체벌을 내리는 때가 많습니다. 저역시 마찬가지구요. 한 번쯤 아이의 입장에서 이야기를 들어보라는 의미에서 존 버닝햄이 이런 책을 내 놓지 않았나 싶습니다.

그의 책들은 의식과 생각이 한 방향으로만 흐르는 어른들의 시각으로 보았을 때 당황스러움과 황당함을 느끼게 만드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온 사방으로 흘러넘치는 아이들의 풍부한 상상력과 의식을 이야기 속에 펼쳐 놓음으로서 책을 읽는 아이들은 호기심을 가지고 재미있어 하지요. 동화책을 읽어줄 때만이라도 아이와 함께 상상력을 펼쳐보는 노력을 해보아야겠다고 생각하게 만드는 책입니다.

이 책의 작가의 그림이 대체로 그렇듯 아기자기하고 예쁜 그림이나 색체가 담겨져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벌을 서는 존이 구석을 보고 서 있는 간단한 스케치 한 장 속에도 참 많은 의미를 담고 있는 것 같습니다. 특히 존이 학교에 갈 때마다 등장하는 풍경 그림들이 매우 독특한 느낌으로 남는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