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쥐 팥쥐 옛이야기 그림책 까치호랑이 13
정차준 글, 정대영 그림 / 보림 / 1997년 6월
평점 :
절판


이 책의 그림들은 손으로 그려지지 않고 한지를 구겨서 만들어져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먼저 겉표지를 보면 다른 인물이나 배경은 흑백처리를 하고, 중요한 세 인물인 새엄마, 팥쥐, 콩쥐만 종이의 색감를 살려 놓아서 더욱 두드러져 보입니다. 나무와 덤불이 있는, 노란 지붕과 자그마한 돌담이 잘 어울리는 속표지의 집은 매우 아담하고 소담스러운 느낌을 주지요. 한지를 구겨서 만들었어도 새엄마와 팥쥐의 외모와 성격이 매우 잘 표현되어 잇다고 해야 할까, 정말 심술이 뚝뚝 흐르게 묘사해 놓았네요.

엄마가 일찍 돌아가신 착한 콩쥐네 집에 새엄마가 오셨는데 같이 온 팥쥐만 이뻐하고 콩쥐는 천덕꾸러기, 찬밥 신세가 되었습니다. 일을 시켜도 콩쥐에게 더 많이 시키고, 더 많이 잘해도 콩쥐는 그저 야단만 맞습니다. 팥쥐에게는 일을 시킨다는 생색만 나는거죠..

다만 이 책의 이야기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잔치집에 가면서 새엄가가 세가지 일을 시켰는데 누구 누구가 도와주었다는 이야기와 조금 다릅니다. 검은 암소가 나타나 나무호미가 부러져 울고 있는 콩쥐를 도와주는 일이 먼저 일어나거든요. 그 후에 잔치에 새엄마와 팥쥐가 가면서 세가지 일을 시키는데, 밀린 빨래를 몽땅하라는 일이 새로운 일거리입니다. 이것 역시 검은 암소가 나타나 해결해 주지만요...

엄마의 입장에서의 이야기지만 콩쥐 팥쥐 이야기중에서 콩쥐가 새엄마가 시킨 일을 해결하지 못해서 우는 잘면들이 계속 반복되는 것이 가장 마음에 걸리는 부분입니다. 그 때마다 누군가 나타나서 콩쥐의 일을 해결해 준다는 방식을 아이가 행여 자신의 생활에도 받아들이지는 않을까 싶어서요. 아이가 자가기 맡은 일을 해결하지 못할 때 울면서 누군가 나타나서 자기를 도와주기를 기대하고 꿈꾸는 사람이 되지는 않을까..

그렇더라도 착한 사람은 복을 받고 나쁜 사람은 벌을 받는다는 권선징악의 이야기들은 우리 아이들이 착한 심성을 지니고 자랄수 있도록 해줄 것이라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