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운 꿀은 없나요 달팽이 과학동화 1
김용란 글, 서은영 그림 / 보리 / 2000년 2월
평점 :
절판


음식의 맛을 알 수 있는 신체 기관은? 아이들은 무엇이라고 대답할까? 혀? 입? 코? 아무래도 입이라고 생각하기 쉬울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을 읽어주면서 혀라는 존재를 아이에게 인식시킬 수 있었다. 우리의 혀가 모든 맛을 알아내는 것은 아니다. 생물시간에 배웠듯이 4가지 맛을 인지한다.

혀는 짠 맛, 신 맛, 단 맛, 매운 맛 등을 알 수 있지만 눈을 감고 음식을 알아맞추기 위해서는 또 다른 기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바로 코이다. 혀가 특정한 맛을 감지할 수 있을지라도 코로 냄새를 맞지 못하면 아무리 유능한 음식감별사가라도 알아맞출 수가 없다.

우리가 감기에 걸리면 음식을 먹어도 무얼 먹는지 잘 모르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물론 이 것은 보충설명에서도 나와 있다. 그리고 맛에 따른 우리말의 표현과 씹는 것의 의성어 표현을 배워보는 것도 재미있다. 아이에게 말을 재미를 가르쳐 줄 수 있는 책이라는 생각도 든다.

책 내용을 살펴보면 짠 음식(소금기 가득한 바닷속이니 당연하겠지만)만 먹던 거북이 무엇인가 색다른 음식을 먹고 싶어 세상에 나왔다. 그러나 약삭빠른 여우에게 속아 엉뚱한 표현을 배워 버린다. 토끼로부터 성찬을 대접받지만 여우가 가르쳐준 엉뚱한 표현때문에 웃음거리가 되고 만다.

나중에 거북이 '달콤한 꿀떡'이라고 말한 걸 믿고 그만 매운 음식을 먹고 마는 여우. 이럴 때 제 발등 제가 찍는다고 해야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