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보리였구나 달팽이 과학동화 1
심조원 글, 차정인 그림 / 보리 / 200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알을 낳은 엄마 무당벌레가 자고 일어나 보니 이상하게 생긴 알이 하나 더 생겼다. 아빠 무당벌레는 자신들의 알이라고 보기에 크기가 큰 그 이상한 물체를 의심하지만 엄마 무당벌레는 알이 갑자기 커진거라 생각하고 열심히 돌본다. 이 이야기에서 자식에 대한 엄마의 사랑이 더 크다는 생각을 하는 것은 너무 단정적일까? 가시고기등과 같이 부성애가 더 강한 생물도 있긴 하지만 대체로 인간이나 동물이나 모성애가 훨신 더 강한 것 같다.

다른 알들에서 다 무당벌레의 애벌레들이 깨어 나왔는데 오히려 하얗고 작은 것이 돋아나는 그 이상한 알을 엄마는 내다 버리지 않고 열심히 돌봐준다. 시간이 흘러 하얀 애벌레들이 번데기로 변한 동안에도 깨어나지 않는 알. 여전히 걱정스러운 마음으로 나뭇잎을 덮여주고 겨울잠을 자러 들어 간 엄마의 마음은 어떠했을까..

봄이 되어서야 무당벌레 부부는 알이라고 여겼던 것이 보리라는 것을 깨닿는다. 하지만 그 존재를 알았다고 본척만척하지 않고 오히려 온가족이 그 보리를 돌보는 것을 보면서 문득 자신의 자식이 있으면서도 아이를 입양한 가정의 이야기가 생각났다. 따지고 보면 생긴 것은 달라도 보리씨앗이 이 무당벌레의 양아이나 마찬가지니까.. 그리고 보리에 이삭이 영글자 아기무당벌레가 '보리가 알을 낳았어요~'라고 말하는데 이 책의 가장 하이라이트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에서는 보리의 한살이와 함께 무당벌레의 일생도 함께 알 수 있습니다. 뒷 부분의 보충설명부분에서는 언급되지 않았지만 본문내용을 통해 무당벌레가 알에서 깨어나고 탈태(?)와 변태를 한다는 것, 겨울잠을 잔다는 것을 알 수 있잖아요. 그리고 저에게는 낳은 정도 중요하지만 기른 정도 중요하다는 느낌을 주는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