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득이
김려령 지음 / 창비 / 2008년 3월
평점 :
품절


 독특한 성장 배경을 지닌 열일곱 살의 완득이가 세상을 향해 자신을 열어가는 이야기를 담은 성장 청춘 소설. 개성이 철철 넘치는 등장인물들의 걸쭉한 입담이 웃음을 선사하고, 그들 앞에 놓인 반갑지 않은 현실에 울컥하는 마음이 이는 질펀하면서도 끈끈한 작품이다. 잠자리에 들어서 책을 잡은 터라 몇 장 읽다 다음날 읽으려고 했는데 결국 그날 새벽에 끝을 보고서야 책장을 덮을 수 있었다. 이처럼 재미있게 읽은 작품이라 큰 아이에게 당장이라도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지만 아직 초등학생(6학년)이고, 욕설도 간간히 등장하는지라 내년쯤에나 내밀 수 있는 것이 아쉽게 여겨진다.

 춤꾼인 난쟁이 아버지, 몸은 짱인데 말은 꽝~인 민구 삼촌, 저쪽(베트남)에서 시집 온 어머니, 혹사당하면서도 보호받지 못하는 이주 노동자들... 상대를 -대놓고 혹은 속으로- 비꼬는 것으로 일관하는 인물들이 상소리를 섞어 가며 툭툭 뱉는 대사가 전해 주는 웃음 뒤에는 나와 다르다는 이유로 배척당하고 무시당하는 이들의 삶의 비애가 녹아 있다. 그래서인지 이 작품은 수시로 웃으면서 읽어나가지만 어느 순간 가슴 한 쪽이 싸해지기도 하고, 코끝이 시큰해지기도 한다. 

 완득이는 자신을 괴롭히는 똥주를 죽여 달라는 기도를 드리기 위해 선생이 다니는 교회에 간다. 기초 수급자인 제자의 수급품을 빼앗아 먹는 담임 똥주가 옥탑방 이웃 간이기도 탓에 인생이 더욱 피곤하다. 자신과 관련 없는 일에는 지독하게 무심한 '싸움꾼' 완득이가 주먹을 쓰는 대상은 자신의 아버지를 놀린 사람이다. 그런 완득이가 격투기를 배우기 시작하면서 조금씩 주변 사람들과 세상을 항해 마음을 열어간다. 십오 년 동안 보지 못하고 살아온, 낯설게 느껴지는 어머니가 찾아와 자신들의 삶에 다가오는 것에 반감을 가지기도 하지만 조금씩 마음을 열어간다. 

 춤꾼으로 살아 온 난쟁이 아버지와 아버지에게 춤을 배운 뒤로는 늘 따라다니는 민구 삼촌은 일하던 곳이 업종변경을 하는 통에 춤꾼 생활을 접고 올라와 지하철 행상으로 나선다. 하지만 그 생활 또한 구역을 지키는 패거리와 순찰하는 공익요원들의 눈을 피해야 하는 탓에 녹녹치가 못하다. 먹고 사는 것이 어찌나 고단한지... 완득이과 똥주, 완득 아버지와 똥주 간에 의사소통을 위해 고성이 오갈 때면 감초처럼 곁들여 들려오는 앞집 아저씨의 "씨불놈"이라는 말이 정겹게 느껴지기까지 한다. 

 개인적으로 똥주 아버지의 등장은, 한정된 등장인물들 간에 과도하게 얽히고설키는 TV드라마의 한계처럼 작위적인 느낌을 주어 작품의 현실감이 반감되어 버린 것이 아쉽게 여겨진다. 대신 완득이가 운동을 시작하자마자 숨은 실력을 발휘하는 것처럼 과장되게 그리지 않은 점은 좋았다. 밤에 책을 읽다가 몇 번이나 쿡쿡~거리며 웃었다. 사내들끼리 친근함을 바탕으로 일상적으로 주고받은 가벼운 욕설처럼 똥주는 시원스레, 완득은 속으로 서로를 갈구며 티격태격하는 장면에서는 웃음이 흘러나올 수밖에 없다. 완득이가 기도하는 내용은 차차 바뀌지만 이러한 작품 분위기가 끝까지 이어진다.

  이 작가의 작품은 처음 읽는데 책날개에 실린 사진이 아니었으면 여자 작가라고 생각을 하지 못했을 것이다. <기억을 가져온 아이/2007>로 마해송문학상, <내 가슴에 해마가 산다/제8회>로 문학동네어린이문학상을 수상한 작가 김려령이번에 <완득이>로 제1회 창비청소년문학상을 수상하여 한 번 더 주목받으면서 독자들에게 자신의 이름을 확실히 인식시키지 않았나 싶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노아 2008-04-08 08: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여자 작가였군요. 저도 으레 남자 작가일 거라고 막연히 생각했는데 말예요. 이 책 두루두루 호평을 받고 있네요. 자꾸자꾸 저도 궁금해져요. ^^

소나무집 2008-04-10 10: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정말 재미나게 신나게 언제 다 읽었는지 모르게 읽었어요.
그리고 4학년 우리 딸도 읽었는 걸요.
엄마의 웃음 소리에 참지 못하고
그냥 읽게 내버려두었네요.
아영이도 읽으라고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