멧돼지를 잡아라 - 세상을 배우는 작은 책 16 세상을 배우는 작은 책 16
한정기 지음, 황보순희 그림 / 다섯수레 / 2004년 11월
평점 :
품절


 사고로 다리를 다친 후 마음의 문을 닫아 버린 아이와 주인공을 비롯한 반 아이들과의 갈등과 화해에 이르는 과정을 잔잔하게 그린 동화. 작가가 등장인물들의 심리 묘사에 공을 들인 것이 느껴지는 작품으로, 장애를 가진 친구의 모난 행동에 마음이 상해 돌아섰다 다시 마음을 열고 다가가는 모습이 섬세하게 그려져 있다. 등장인물들이 일상에서 쓰는 말투(사투리)를 살린 것도 작품의 재미와 현실감을 높여주고 있다. 
 
 민수네 반에는 사고로 다리를 다친 탓에 걸음이 불편한 아이가 있다. 반 아이들은 도움을 주는 친구에게도 화를 내는 동식이를 '고집불통 멧돼지'이라며 다들 싫어한다. 민수는 인라인을 타다 넘어지는 바람에 팔뼈가 부러져 양쪽 팔에 깁스를 하고 한동안 지내게 된다. 이 때 몸이 불편한 것이 어떤 것인지, 어떤 마음이 드는지 경험하게 되면서 혼자 동떨어진 듯이 지내는 동식이에게 눈길이 가게 된다. 

 그러나 민수가 동식과 가까워져 자주 어울리게 되자 이전에 친하게 지내던 인국이와 반 친구들이 멀어지게 된다. 왕따를 당하는 친구와 가깝게 지낸다고 함께 왕따를 당하는 형국이 되자 결국 이런 상황이 민수와 동식의 사이에 균열을 가져온다. 민수는 야외로 체험 학습을 가서 한 방을 쓰게 된 것을 계기-민수가 세운 계획-로 세 아이는 화해를 하고 서로를 이해하고 감싸줄 줄 아는 진정한 친구가 된다. 

 동식이 왕따를 당하는 이유는 신체적인 불편보다 값싼 동정 따윈 싫다는 식으로 차갑게 구는 그 모난 성격과 까칠함에 있다. 매사에 날카로운 바늘을 잔뜩 곤두세우며 찬바람을 일으키는 사람은 누구도 가깝게 지내고 싶은 생각이 들지 않을 게다. 그렇긴 해도 그 사람이 비틀어진 시선으로 세상을 대하는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입장이 되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주변에 민수처럼 마음을 헤아리려 주는 사람이 있다면 동식이처럼 자신의 상처를 드러내 보이며 세상을 마주할 용기를 얻게 되지 않을까?

- 마음속의 상처나 비밀은 숨기려 들수록 점점 커져서 자신을 꽁꽁 묶는 밧줄이 되는 것 같았다. ... 그러나 그 밧줄은 상처나 비밀을 드러내 놓고 나면 힘을 잃는 법이다. (147쪽)

 아이들이 사소한 문제로 티격태격하는 모습이나, 떡볶이며 슬러시를 사먹기 위해 문방구에 몰려드는 학교 주변의 낯익은 풍경 등을 현실감 있게 그리고 있어 친숙하게 다가온다. 아이가 책을 읽은 후에 민수의 꿈 내용이 재미있었다고 하던데, 나는 처음에 꿈이라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읽어나가서 조금 어리둥절하기도 했었다. (^^)> 개인적으로 삽화에 좀 더 공을 들였더라면 더욱 멋진 작품으로 다가왔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살짝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