맘대로 아빠 맘대로 아들 작은거인 10
오은영 지음, 소윤경 그림 / 국민서관 / 200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옹기를 구우며 살고 싶다는 꿈을 이루기 위해 시골 행을 선택한 아빠와 자신의 의지나 선택과는 상관없이 시골로 가게 된 것이 불만스러운 아들 사이에 생긴 갈등과 반목을 그린 작품. 자신의 생각과 입장만 내세우기보다는 서로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법을 일깨워주는 동화이다. 가족이니까, 친구니까, 사랑하는 사이니까~. 내가 말하지 않아도 알아주겠지,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이해해 주겠지... 하는 생각을 하기 쉽지만 현실에서는 그런 생각이 오해를 낳기도 하고 갈등을 야기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 탓을 나 자신에게보다 그런 것도 알아주지 않고 이해해주지 못하는 상대를 원망하는 마음이 생겨 서로에게 상처를 주곤 한다.

  사람에게는 이루고 싶은 꿈이 있기 마련이고 그 꿈은 살아갈 힘과 힘든 현실을 견디어 나갈 지주가 되어준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이를 실현하기가 쉽지 않은데, 작품 속의 아빠는 사회에서 인정받는 의사라는 직업을 팽개치고 옹기를 굽기 위해 시골로 내려가기로 결정한다. '나'는 그런 아빠의 결정이 이해하기 어렵고, 엄마와 남으려는 자신의 생각이 묵살되자 아빠와 대립하게 된다. 그리고 상대가 나를 이해해 주기를 바라면서 정작 자기 자신은 상대방을 이해하려 들지 않는 태도로 일관하다 보니 부모와도, 친구와도 충돌이 일어나게 된다. '나'는 엄마의 부재와 친구들의 놀림, 부모의 이혼에 대한 두려움 등으로 인해 더욱 심기가 뒤틀어져 가출까지 감행한다.

  저자는 주인공이 박대하는 항아리를 매개로 시공을 달리하여 만난 동자승을 통해 주인공에게 대화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아이 입장에서는 선뜻 받아들이기 어려운 부분들도 있을 텐데 부모 자신의 입장을 먼저 생각하거나, 아이의 입장을 생각해서 결정한 것이라며 아이의 의견이 묵살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이 책에서 말하는 것처럼 맘대로 생각하고 맘대로 행동하기에 앞서 상대방에게 먼저 물어본다면 서로의 거리를 조금이라도 좁힐 수 있지 않을까? 

 "왜 그 사람에게 말을 안(못)하는 거야~."라고 외치게 만드는 드라마 속의 이야기가 아니다. 대화가 없어지면 오해와 갈등은 더욱 크게 자란다. 상대방이 내 생각이나 입장을 모두 이해하고 받아줄 것이라는 생각은 나만의 온전한 착각일 수 있다. 내가 아이 입장이라면, 내가 부모의 입장이라면, 내가 그 친구 입장이라면.... '~이니까'의 함정에 빠지지 전에 아이든 어른이든 저마다의 입장과 생각이 있음을 잊지 말고 '라면 비법'으로 상대방의 입장을 생각해 보자.

 일전에 아이의 말이 채 끝나기도 전에 내 생각을 뱉어내는 바람에 아이가 "엄마는 내 말도 안 들어보고!"라고 질책하며 눈물을 찔끔거린 일이 있었다. 그런 아이의 모습을 보며 나는 아직도 대화와 상대방의 말에 귀를 기울이는 일의 중요성을 수박 겉핥기식으로 실천하고 있음을 깨달았다. 아이에게 "왜 엄마는 엄마 마음대로 하려고만 해!"라는 말을 듣지 않도록 나도 그 맛좋은~ 라면 비법을 실천에 옮기도록 노력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