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데룰라 I LOVE 그림책
엘렌 잭슨 지음, 케빈 오말리 그림, 이옥용 옮김 / 보물창고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전래동화의 틀을 벗어난 대안동화들이 나오고 있는데 이 그림책도 그런 류에 속하는 작품이다. <신데룰라>는 전래 동화 속의 인물인 신데렐라와 대비되는, 현실에 순응하기보다 자신의 삶을 개척해 나가는 진취적인 현대의 여성상을 등장시키고 있다.

 신데렐라는 어려서 부모님을 잃고요 계모와 언니들에게 놀림을 받았더래요~. 그런데 그 옆 집에 이와 비슷한 환경에서 살아가는 소녀가 있다. 이름도 비슷한 신데룰라, 하지만 이 둘이 살아가는 방식은 전혀 딴 판이다. 신데렐라는 잿더미에 앉아서 몸을 녹이며 걱정을 하고, 신데룰라는 잿더미에 앉아 시간을 보내는 건 바보 같은 짓이라고 생각하며 즐겁게 열심히 일하고, 돈을 벌고, 배우고, 자신이 관심 있는 것을 익힌다. 혼자서는 아무 것도 못하는 신데렐라는 요정할머니의 도움을 받고, 신데룰라는 자신의 힘으로 마련한 드레스를 입고, 버스를 타고 무도회에 간다.

나도 어릴 때 공주 혹은 미모로운 소녀가 고난을 겪다가 왕자의 도움을 받고 결혼해서 행복하게 산다는 해피엔딩식의 전래 동화를 무척 좋아했었다. 그러나 부모가 되고 보니 이런 이야기 구조를 벗어난 책들이 오히려 더 눈에 들어온다. 그 시대의 사회상과 가치관이 반영되어서겠지만 자신이 처한 상황에 순종적이고 백마 탄 왕자님의 구원을 행복의 길로 여기는 여성상은 현대와 맞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어서이다. 부모가 전래 동화책을 사주지 않아도 아이들은 이런 저런 경로로 접하게 되는데 이런 대안동화도 접해주며 아이가 비교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주는 것이 더 좋을 듯 하다.

 태어나서 처음 사랑한 아가씨라면서 이름도 기억 못하는 랜돌프 왕자도, 룰라의 이름을 기억하는 루퍼트 왕자도 사랑하는 사람을 찾기 위해 애쓴다. 마침내 미모로운 렐라는 왕자와 결혼해 궁전에서 살지만 결코 행복하지 않은 모습이다. 롤라도 또 다른 왕자와 결혼을 하긴 하지만 둘이서 자신들만의 행복한 삶을 가꾸어 간다. 마지막 문장은 독자들에게 과연 누가 더 행복하게 살았을지 질문을 던지고 있다.
 
- 아이들은 색다르고 재미있다고 했지만 개인적으로 조금 껄끄럽게 느껴지는 부분들이 있었다. 우선 둘째 왕자가 신데룰라에게 말을 거는 장면은 앞에 '플라스틱' 컵에 관한 설명이 없었는지라 조금 뜬금없이 여겨졌다. 신데룰라가 음료수를 마시던 컵이 플라스틱 재질이라고 유추하여 보면 되겠지만 궁전 무도회에서 플라스틱 컵이라...

 또 한가지는 루퍼트 왕자의 행동 부분에 일관성이 없는 점이다. 신발로 신붓감을 찾겠다는 형에게 말도 안 되는 발상이라고 하고 요리법을 묻고 다니다가, 뒤에는 룰라들에게 모두 구두를 신겨보았다고 나온다. 마지막으로 조금 더 욕심내자면 신데룰라가 요리법 등의 집안일 말고 다른 것의 지식이 더 풍부함을 드러냈더라면.. 하는 생각도 든다. (이런 부분들이 얼마 간의 감점 요인으로 작용하여 별 점 3.6 정도?)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나무집 2008-12-05 07: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울 딸이 룰라가 너무 좋대요. 슬슬 여자가 되어가는 모습이 보여요.
님, 아가랑 두 딸이랑 모두 안녕하죠?
함께 공부하는 아이들 선물하려고 책 두 권 주문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