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 퀴리 역사를 만든 사람들 8
브리지뜨 라베.미셸 퓌에크 지음, 신혜정 옮김 / 다섯수레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한 폴란드 소녀가 불시에 학교를 방문한 러시아 장학사 앞에서 러시아 황제 이름을 줄줄이 외워 위기를 모면하였다는 일화. 라듐을 최초로 발견한 여성 과학자 "마리 퀴리"가 바로 이 영리한 소녀이다. 창피한 이야기지만 이 유명한 일화의 주인공이 누구인지 까맣게 잊어버리고 있다가 이 책을 읽고서야 그 소녀가 바로 마리 퀴리임을 새롭게 인식할 수 있었다. (-.-)>

 아이에 앞서 이 책을 읽으며 장학사가 떠난 후에야 울음을 터뜨린 소녀 마리아가 노벨상을 두 번이나 수상하는 과학자가 되고 건강악화로 세상을 떠나기까지의 삶의 행적을 엿볼 수 있었다. 대학에서 여자는 받아주지 않았던 시기였음에도 공부에 대한 열정을 포기하지 않고 학업을 계속하기 위해 프랑스 행을 선택한 마리아. 소르본 대학에서 남편인 피에르 퀴리를 만나 결혼하고 미지의 물질을 찾기 위해 연구에 매진한다. 앞을 가로막는 많은 어려움들을 이겨낸 도전 정신, 한가지 목표를 이루기 위해 기울였던 노력과 끈기, 그리고 연구에 대한 열정을 지녔던 한 사람의 생애는 충분히 감동적이다.

 마리 퀴리는 대학에서 여성으로서 첫 강의를 하고 두 번째 노벨상도 수상하였지만 남성 중심의 과학계와 사회가 그녀를 차가운 시선으로 대한 것은 큰 상처였을 것이다. 마리 퀴리는 자신이 발견한 물질로 인해 큰 병을 얻고 세상을 떠났지만 마리가 이룬 업적과 삶은 과학자를 꿈꾸는 이들에게 커다란 귀감이 되어왔다. 장래희망을 '과학자'라고 이야기 하는 우리 집 아이에게도 마리 퀴리의 뚜렷한 목표의식이 인상 깊게 다가오지 않을까 싶다.

 본문에 이어 "마리 퀴리의 발자취"라는 코너를 통해 그녀의 일생 중에서 기념적인 일이 있었던 연도별로 정리해 놓았다. 얼굴은 실제 모습으로, 나머지 부분들은 그림으로 처리한 삽화가 이색적이며, 3학년 정도의 연령이면 소화해낼 만한 수준의 내용과 분량을 담은, 작은 크기-세로 길이가 어른 손으로 한 뼘 정도-의 인물 도서이다. 초등학교 중학년 이상인 우리 집 아이들에게 아직 위인전류를 많이 접해주질 못했는데 이 시리즈로 시작하면 좋을 듯 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나무집 2007-06-14 00: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영이가 과학자가 되고 싶어하나요?
우리 딸은 과학책이 제일 읽기 싫다는데 님 부러워요!
어떻게 하면 과학책도 재미나게 읽을 수 있나요?

아영엄마 2007-06-16 19: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과학자가 되고 싶다고 말하는(말만 하는...-.-) 아이는 작은 아이구요, 과학 관련 도서도 흥미를 가지고 보는 건 아영이어요. - 그렇긴 하지만 동화책만큼 재미있어 하지는 않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