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술 호리병박의 비밀 작은거인 11
장톈이 지음, 김택규 옮김, 왕지성 그림 / 국민서관 / 2007년 2월
평점 :
절판


소원을 이루어주는 요술 호리병박을 얻게 된 주인공이 소원을 이루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일들이 벌어지면서 노력의 가치와 주변 사람들의 소중함을 깨닫게 되는 동화. 신비한 힘을 가진 인물이나 물건의 도움으로 행복하게 살게 되었다는 식의 전형적인 옛날 이야기 형식을 벗어난 현대적인 동화이다. 재미와 교훈을 적절하게 전하는 작품으로 신비한 힘을 가진 존재로 인해 겪게 되는 현실 생활의 충돌을 적절하게 묘사하고 있다. - 작가 장톈이는 자국에서 '중국의 안데르센'이라고 일컬어 질만큼 중국 어린이 문학에 큰 영향을 끼진 인물이라고 한다.

  왕바오는 낚시를 하러 갔다가 할머니가 들려주시던 옛날이야기에 등장하던 요술 호리병박을 얻게 된다. 달그락~ 달그락~ 거리는 호리병박이 왕바오가 굳이 말로 하지 않아도 먹고 싶은 것도 재깍 대령~. 갖고 싶은 것도 알아서 척척~ 나타나게 해주는지라 처음에는 마냥 신기하고 신이 난다. 그러나 이런 저런 생각을 할 때마다 호리병박이 수시로 그 생각을 이루어준답시고 끼어 드니 일이 자꾸 꼬여만 간다. 다른 사람들에게 요술 호리병박의 존재를 드러내서는 안되니 벌어진 상황에 대해 변명과 거짓말을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어버린 것이다.

 왕바오는 자신이 다 이루어줄 테니 아무 것도 하지 말고 그저 소원만 말하라는 호리병박의 말이 더 이상 좋게 여겨지질 않는다. 왕바오는 요술의 힘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대해 어느 순간 회의를 느끼고 갈등하고 사색하는 모습을 보인다. 모든 걸 자신에게 맡기고 선생님과 친구들도 모른 척하라며 끈질기게 왕바오를 유혹하는 호리병박의 모습은 달콤한 말로 인간을 유혹하는 악마를 연상시킨다. 호리병박이 왕바오의 소원을 이루어 줄 때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것이 아니었다는 설정은 자신의 노력으로 얻은 것이 아닌 이득은 그만큼 다른 누군가에게 피해를 주는 것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학교에도, 집에도 돌아갈 수 없게 된 주인공은 요술의 힘을 빌어 쉽게 이룬 부와 명예가 행복까지 가져다 주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되는 것이다. 전반적으로 이야기가 조금은 중구난방인 듯 하고, 여러 인물과 사건이 연이어 등장하여 스토리가 늘어지는 감이 있었으나 아이는 재미있게 읽었다고 한다. 소원을 이루는 것에 관한 요술 호리병박과 왕바오의 설전, 고민과 갈등을 거듭하다 선택의 기로에 선 주인공의 심리 묘사 등에 중점을 두고 있어 독자로 하여금 이런 문제에 대해 생각을 해보게 하는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