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과 같이 통합을 강제하는 외생적인 힘이 없다면, 오늘날 우리가 보는 분열(혹은 더 나쁜 것)은 규범이고, 20세기 중반 미국의 탈양극화한 정치는 예외임이 입증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내가 생각하듯 우리가 양극화를 되돌릴 수 없다면, 앞으로 나아갈 길은 분명하다. 그것은 양극화 속에서도 기능할 수 있도록 정치 시스템을 개혁하는 것이다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ma2tUd1dRhm9woUn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화당은 자신들의 연합체가 인구 통계상의 역풍과 고령화하는 지지 기반에 시달리며 위험에 처해 있다는 사실을 안다. 그리고 이 위기감은 그들의 전략에 거의 광기에 가까운 긴급함을 주입했다. 공화당의 전술적 극단주의 이면에는 종말론적 불안감이 숨어 있다. 한번 지면 다시는 이기지 못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KbVaHrkbDTbuN6yj9

˝2010년 매사추세츠주의 한 남자가 “나는 내 나라를 되찾고 싶어요!”라고 우리에게 말했다. 다음 해에 한 버지니아 여성은 “우리는 우리의 나라를 되찾을 필요가 있어요”라고 똑같은 말을 했다. 이 애처로운 외침은 아마도 풀뿌리 티파티 운동의 가장 특징적이고 끈질긴 주제일 것이다. 버지니아 티파티 패트리어츠Virginia Tea Party Patriots의 마크 로이드Mark Lloyd가 설명하듯이, 사람들은 “자녀와 손주들에게 남겨주기로 계획했던 나라를, 그들이 사랑하는 국가를 잃는 것”에 대해 고민할 때 티파티에 이끌린다. 다양한 유산의 새 대통령이 “미국을 변혁하겠다”라고 약속하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본질과 관련해서 인식된 위협이 많은 사람, 특히 나이 든 사람들이 티파티에 참여하게 했다.˝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njzNDMrFaYXVFP8c7

민주당은 공화당에 통하는 선거운동과 전술로는 선거에서 이길 수 없다. 그들은 왼쪽으로 움직일 수 있지만(실제로 그렇게 하고 있다), 중도층을(혹은 미국 정치의 지형을 고려할 때 중도 우파를) 버리고서는 권력을 잡을 수 없다. 그리고 민주당은 이를 알고 있다.

완연한 트럼프 시대에 접어든 2018년 12월, 갤럽은 민주당원들과 공화당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당이 더 진보적으로 혹은 더 보수적으로 되기를 바라는지, 아니면 더 온건해지기를 바라는지 물었다. 57% 대 37% 차이로 공화당원들은 당이 더 보수적으로 되기를 원했고, 54% 대 41% 차이로 민주당원들은 당이 더 온건해지기를 원했다.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PAZ1RFbzLVCuKe5X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민주당의 정보 생태계에서는 객관성을 추구하는 주류 소식통들, 편파성을 밀어붙이는 진보 소식통들, 심지어 《이코노미스트》 나 《월스트리트 저널》 처럼 명성이 자자한 일부 중도우파 소식통까지 자리를 차지한다. 어떤 이슈에 있어서 진보주의자들은 그들을 왼편으로 끌어당기는 소식통들과 그들을 가운데로 끌어당기는 소식통들, 확대 지향적인 소식통들과 절제 지향적인 소식통들, 한 정치 운동에 그들의 정체성을 뿌리내리게 하는 소식통들과 정치 운동에 적대적인 경향이 있는 소식통들에 노출된다.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3Ewd99SNZwMEMgwd8

전적으로 보수적인 뉴스 출처들을 중심으로 구축된, 공화당의 신뢰를 받는 정보 생태계에는 이와 유사한 다양성이 없으며, 심지어 이들 중 다수는 선전·홍보 역할을 수행한다. 보수주의자들은 언론이 진보 쪽으로 편향돼 있어 대안적인 미디어 채널을 볼 수밖에 없었다고 항의한다.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v5DFDe6ccKUkHtAZA

그로스먼과 홉킨스는 자신들의 기고문 “정보는 어떻게 이데올로기가 되었는가How Information Became Ideological”에서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오직 공화당만이 우리 사회 내 정보 수집 및 배포 기관들(대학들과 언론 매체들)을 적극적으로 반대해왔다. 반면 민주당은 그것들을 독립적인 중재자와 동맹으로 간주하며 정책적 선택을 정당화하고 정치적 논쟁에 관여하기 위해 의존해왔다. 비록 각 당의 엘리트들, 활동가들, 유권자들이 이제 서로 다른 지식의 원천에 의존하고 그들이 수신하는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해석하지만, 이러한 정보 양극화의 근원은 미국 보수 운동이 구제할 수 없을 정도로 진보적이라고 여겨온 기관들을 대상으로 수십 년 동안 수행해온 싸움이다.13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9DKCmVhZ58dwYfiN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맷 그로스먼Matt Grossmann과 데이비드 홉킨스David Hopkins는 『비대칭적 정치: 이념적인 공화당과 집단 이익의 민주당Asymmetric Politics: Ideological Republicans and Group Interest Democrats』에서 공화당 연합체와 민주당 연합체 사이의 차이점을 세심하게 관찰했다. 그들이 알아낸 내용에 따르면, 민주당은 정책 목표들에 의해 유지되는 다양한 이익집단의 집합체지만, 공화당은 더 추상적인 이념에 헌신함으로써 통합되는 더 동질적인 조직이다.6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CUNytRtJVkJaZkNF8

그들은 위협받는 정체성 집단이었고, 누군가 그들에게 보호와 승리를 약속하기만 하면, 누군가를 따라 지옥이라도 갈 터였다. 어마시는 공화당을 탈당하기 며칠 전 《복스》 의 제인 코스턴Jane Coaston과 진행한 인터뷰에서 이를 잘 표현했다.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zej39zNAwnt1wQKz5

트럼프를 지지하는 많은 공화당원이 좌파와 전면전을 벌여야 한다는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를 위해 큰 정부를 이용해야 한다면, 그들은 완벽히 동의합니다. 내가 트위터에서 과다 지출이나 정부 규모를 말하면 트럼프 지지자들은 “정부가 얼마나 큰지 누가 신경 쓰느냐”, “불법 이민에 맞서 싸우고 좌파를 상대하는 데 얼마나 지출하는지 누가 신경 쓰느냐”는 반응을 보입니다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9SUwS2MRCMgDFTru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저자의 평가와 달리 미국만 유일하지 않다
- 더 혼란스런 선거 일정을 가진 한국이 40년 동안 민주주의를 유지하고 있다




문제는 간단하다. 의원내각제에서 수상은 입법부를 장악하는 연합체의 지도자다. 만약 그 연합체가 선거에서 진다면, 권력을 잃는다. 어떤 순간에도 오직 한 정당이나 연합체만이 권력을 쥔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대통령제에서는 한 정당이 입법부를 장악하고 다른 정당이 대통령직을 장악할 수 있다. 그렇다면 두 정당 모두 민주적 정당성을 주장할 수 있게 된다. 린스는 물었다. “이런 상황에서 누가 국민을 대신해서 더 큰 목소리를 낼 자격이 있는가? 대통령인가 아니면 입법부 내 다수당인가?”

대통령과 의회가 다른 시기에 다른 방식으로 실시된 투표로 뽑힌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sxVpvy7sidcTWoC

경쟁하는 정치적 연합체들이 타협에 열려 있을 때라면 그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시스템은 위기를 부추길 수도 있다. 다른 나라에서는 ‘군부가 중재자로서 정치에 개입하고자 하는 유혹을 느끼는’ 10 종류의 위기다.

이것이 미국을 제외하고는 오래가는 대통령제 민주주의가 없는 이유이며 미국이 다른 나라에 특정한 형태의 정부를 강요하지 않는 이유다.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2opTVgWSu3qdvyQJ8

매코널은 갈런드를 막기 위해 법을 어기지 않았다. 단지 그의 당이 이념적으로 동의하지 않는 대법관을 임명하는 역사적 관행, 즉 정당들이 시스템을 위해 정기적으로 그들의 이데올로기와 유권자들을 배반해온 역사적 관행을 깼을 뿐이다. 그 선례를 깸으로써 그는 정확히 유권자들이 원하는 일을 했고, 유권자들은 다음 선거에서 그에게 보상을 주었다. 그의 후임자들이 다르게 행동할 이유가 뭐가 있겠는가?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VmDMjkHJDEBgT3dt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