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여자 입장에서 생각해 봅시다. 여자에겐 남자가 계속 자신게 고기를 가지고 오게 하는 것이 이득입니다. 하지만 가임기는 잘해야 한 달에 하루 이틀입니다. 그럼 나머지 날에는 남자가 가져오는고기를 받을 수 없는 걸까요? 여자가 내놓은 해답은 위장 전략입니다. 자신이 항상 가임기인 듯 속여서 계속해서 고기를 받으면 되죠. 가장 확실하게 속이는 방법은 남자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까지 속이는 것압니다. 그래서 여자는 남자를 속일 뿐 아니라, 아예 여성 자신도 자신의 가임기를 모르게 됐습니다. 가임기를 정확히 모르는 인간은 늘 수시로 성교를 해야 했고, 남자는 계속 같은 여자에게 되돌아오게 됐습니니다
이렇게 한 남자와 한 여자가 성과 먹을거리를 매개로 짝을 맺게 돼성별 분업, 핵가족, 직립 보행이 ‘패키지‘로 등장했습니다. 이것이 인간의 기원이라는 주장은 ‘러브조이 가설‘로 불리고 있습니다. 미국 켄트 주립 대학교 사회학 및 인류학과 오언 러브조이(Owen Lovejoy) 교수가1981년 유명한 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에 발표해 사회적 파장을 불러일으킨 가설입니다.
주립 대학교 사회학 및 인류학과 오언 러브조이(Owen Lovejoy) 교수가1981년 유명한 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에 발표해 사회적 파장을 불러일으킨 가설입니다.
러브조이 가설은 사회적으로 엄청난 반응을 일으켰으며, 특히 페미니스트들의 거센 반발을 샀습니다. 이전에 사람들은 핵가족이 자본주의와 시장 경제의 부산물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러브조이 교수의 말이 맞다면 남자와 여자가 결혼을 하고, 남자는 밖에 나가 돈을벌어 오고 여자가 그 돈으로 집을 지키면서 아이들을 키우는 모습이태초부터 인간의 유전자에 새겨진 운명이었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또말을 조금만 바꾸면 수백만 년 전부터 먹을 것을 얻기 위해 여자가 자신의 성을 제공했다는 해설이 생길 수 있습니다. 러브조이 교수의 학설은 인류의 기원에 대한 학설이 아니라, 무한한 성생활을 꿈꾸는 남성들의 환상일 뿐일지도 모릅니다.
지난 30년 동안의 연구 결과를 보면 러브조이 가설이 틀렸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먼저 가임기에 상관없이 성생활을 하는 것은 인간만의특징이 아닙니다. 멀리는 돌고래, 그리고 인간과 가장 가까운 보노보(bonobo, Pan paniscus) 역시 언제나 성생활을 합니다. 하지만 이들에게는는 핵가족이 없습니다. 무엇보다 놀라운 사실은, 러브조이 교수의 설명과 달리 사실은간의 가임기가 숨겨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