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월한 사유의 시선 - 우리가 꿈꾸는 시대를 위한 철학의 힘
최진석 지음 / 21세기북스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로나와 신천지가 봄바람을 재치고
온통 이세상을 휘젓고 있다. ㅠ

불과 한 보름전만해도, 내가 사는 곳은 코로나와 가장 먼 지역일것이라고
웃으며 지인들과 얘기했었는데.
그 말끝에 뭔가 쎄...한 기분이 들더라니...
한치앞을 못보는 인간이었다.

처음 무더기 100여명 확진자 나왔을때가 가장 충격이었다. 이제는 날마다 무더기 숫자 갱신을 하니 둔감해 지기까지한다.ㅠ

그저 개인위생 열심히 하면서
가족끼리도 마스크를 쓰고 이야기하며 어서 이시간이 가기를 빌어본다.

나같은 개인이야 나와 가족만 단속하면 되지만 이사태를 수습하는 공적인 사람들이
너무 안쓰럽다.

특히 정은경 본부장의 날로 초췌해져가는 모습은 말로다 할수 없다.ㅠ

당장 피해가 막중한 처지에 있는 사람들도 눈물겹다.ㅠ

온국민을 이토록 꼼짝못하게 하는 기생충 중의 기생충인 두 기생충 부류를 보면서 원래 세상의 주인은 보편 상식 인간이 아니라 이들 기생충들이었나 싶은 생각마저든다.

신천지가 기독교만의 문제가 아닌 온 국민의 삶을 흐트려 놓을줄이야.

이왕 이렇게 된거 우리모두 사이비 이단 공부해서 더이상 그런데 빠지는 국민들이 없었으면 좋겠다.

때문이야말로 저자의 책이 돋보인다.
더이상 초월자를 의지하지말고
이성의 눈으로 세상을 보고 믿음이 아닌
스스로 생각하는 존재로서 이세상을 저마다 살아갔으면 좋겠다.

˝생각의 노예에서 생각의 주인으로 익숙한 나를 버리고 원하는 나로 살아라.˝

‘기존의 가치를 부정해보고 시대의 흐름을 선도하고 익숙한 나를 벗어나 참된나, 진인이‘ 되자는 저자의 외침은 코로나19+신천지 사태에 딱 필요한 처방이라는 생각이 든다.

코로나19와 신천지는 시대를, 또는 뭇사람들의 생각을 바꾸는 불쏘시개로 쓰이다 사라지길.

그러려면 우리가 먼저 생각의 주인이어야 될터.

각 장이 던지는 화두들을 처음부터 끝까지 순서에 따라 일독하고 그다음 행동이 따라준다면 언젠가는 각자의 속도에 따라 제목처럼 뛰어난 사유의 시선을 가질수 있을것이다.


˝덕은 외롭지 않다 . 반드시 이웃이 있다.˝

는 말이 와닿았다.

세종대왕도 울고가게 추수, 새하늘, 새땅, 새누리라는 아름다운 말마저 오염시킨 엄청난 사이비에서 벗어나는 데도
철학하는 마음, 사유하는 자세는 필요하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오지 눈사람
문순태 지음 / 오래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소설이 잘 읽힌다. 읽고 싶어졌다.
문순태의 소설은 젊은날 읽고는 몇십년만에 거의처음이다 .

이책은 소외되고, 늙고, 가난하고, 아프고, 외로운 저마다의 애잔한 사연들이
팔순 작가의 내공으로 잘 그려졌다.

주인공들에 머문 작가의 시선이 참 따뜻하였고 그것은 독자인 내 마음 마져 데워주었다.

소설가가 잘 늙으면 철학자가 되는지
마치 철학자가 소설을 쓴듯 의미깊어 한편한편이 끝날때마다 눈을감고 되새김을 하기도 했다.

소설이야말로 나이가 들면 들수록 더 원숙하고 노련하게 얘기를 풀어낼수 있는 장점이 있을 터.

이책은 작가의 다른 작품들도 한꺼번에 다 읽고 싶게 만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와일드 - 4285km, 이것은 누구나의 삶이자 희망의 기록이다
셰릴 스트레이드 지음, 우진하 옮김 / 나무의철학 / 2012년 10월
평점 :
품절


몇년전 영화로 먼저 접했던 책이다. 리즈 위더스푼이 자기몸무게 두배도 넘어보이는 배낭을 매고 주인공으로 열연했었다.

pct라니! 나로선 제주 올레도 산티아고도 완주는 커녕 반주도 시작도 못한터라 그런 어마어마한 걷기는 꿈속에서도 불가능할터이다.

4285km.... 걷고 걷고 걷고.... 또걸어 4285km의 족적을 남긴 저자는 위더스푼 못지않게 미인이기까지 했다. 이런~!

책이 500 페이지가 넘기에 시작하기 엄두가 안나서 늘 후순위로 미뤄 두었는데 지난해 연말 낙동강길을 30km 걸은것이 계기가 되어 비로소 읽을 기분이 생겼다.

어디 눈으로나마 4285km를 한번 걸어보자.
저자는 어려서부터 책읽를 즐겨하고 또 소설가가 꿈이어서 그런지 두꺼운 책을 술술 읽게 만드는 재주가 있었다.

더이상 길이없던 막막한 26세 청춘. 너무일찍 삶을 놓은 엄마와 너무일찍 결혼해 역시 너무빨리 이혼한 저자, 뿔뿔이 흩어져 방황하던 자매와 남동생, 막막한 생계.... 저자는 정말 죽기전에 한번 걷고 죽자의 심정이었다. 어자피 죽을거 그냥 죽으나 걷다가 죽으나....

그러나 삶이란게 묘해서... 4285km 길섶에는 힘겨움만 있는게 아니었다. 죽을거 같던 고행의 끝에는 늘 깨달음과 반짝이는 기쁨들이 존재했다.

결론적으로 저자는 4285km를 걷고 뜻하지 않게 인생역전을 하게 되었다. 온몸의 살점들에 생채기를 내가며 걸은결과는 읽는이들에 충분한 감동을 주었다.

물론 나는 언감생심 그런 도전 안 하고프다.

그런데 4285km 눈으로 걸은 것으로 족하다고 말하려는 순간, 이무슨 망상인지~~4자 떼고 285km거리쯤은
세상 이곳저곳 장소를 바꿔가며 걸어보고 싶다는 꿈이 덜컥 생겨버렸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화영시경 - 배혜경의 스마트에세이 & 포토포에지
배혜경 지음 / 지식과감성#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펼치니 우선 목차가 주는 시각적

아름다움이 있었다.

(),(),(),() 그리고 애()

절묘한 배치!

 

책에는 시와 사진 그리고 저자의 사색이 조화로이

어우러져 있다.

 

영상의 홍수시대, 넘쳐나는 말의 시대이다.

때문이야말로 역으로

활자가 주는 말없는 외침은 여전히 소중하다.

멈추어선 풍경(사진)은 동적인 우리를 잠시 머물게,

쉬어가게 해준다.

 

저자의 세 번째 출산.

매번 으쓰을~쓸한 십일월에 책을 내는 걸 보니

혹시 저자는

, 여름에 태어났나 상상해본다.ㅎㅎ~~

 

저자의 장기기증 사연을 읽자니

언젠가 4명이 탄 차안에서

3명이 사후 장기, 시신기증을 서로 고백한

일화가 떠올랐다.

 

동승자 1.

동생이 카톨릭 신부라서 동생의 정년을 보며

형으로써 무언가를 해야 될 것 같아서...

 

동승자 2

비혼으로 낼모레 환갑인데

 (울어줄 사람이야 없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내 마무리는 이렇게 하는 게 좋을 것 같아

나름 1년 생각한 후 결정했...

 

3

아버지 돌아가고 속죄의 의미와

죽음에 대한 생각을 하다가...

 

저자에 의하면 선진국은

장기기증이

30프로를 넘는데

우리는 5프로가 안된다고.

99일이 장기기증의 날이라니

무거움 속에 해학이~~

 

늦가을,

한해의 임무를 마친 들판의 텅빔과

고즈넉한 풍경처럼

이 계절에 책을 낸 저자에게도

그런

여유가 보인다.

평화가 보인다.

덕분에 책을 읽고 나니

저자의 여유와 평안이

내안에도 고스란히 전해진다.

 

올해의 달력이 어쩌다가 한 장도 채 안남은

이 상태에 도달했는지 비명을

지르고 싶다. (물론 환희의 비명을~~)

 

.....꽃은 역시 저야 아름답다.

.....그것이 슬픔의 것이든 영화의 것이든 내안을 돌아보게 한다.

.....시간은 빨리 갈 때 가장 빛난다.

.....나를 멈추고 저만 바라보라 하네.

.....여전히 도달하지 못한 세계의 신비가 있음이라.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12-28 21:5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1-16 00: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만물이 시작되는 봄이다. 예전부터 나는 유독 봄이라는 계절에서 두근거림을 주체할수 없었다. 올해 봄 또한 예외일 수 없다.3월의 마지막, 동촌 아양교 주변 산책로를 걷자니 강변 양쪽으로 끝도없이 도열해 있는 벚나무들의 자태에 탄성이 절로 났다.

벚꽃의 은은한 향기와 수양버들의 수줍은 새잎, 그리고 살랑이는 따뜻한 바람이 내 마음의 빗장을 열개했다. 봄이 온줄도 모르고 땅만 보고 걸었던 내 무감했던 날들을 부드럽게 꾸짖고 있었다.


 


 

어찌 계절은 나이가 들수록 더 새롭게 느껴지는가. 벚꽃잎도 지난해의 그것보다 훨씬 풍성해진것 같았다. 사람만이 갈수록 볼 품 없어진다. 자연이라는 뭇 생명들은 망설임도 아쉬움도 없이 마구 내달리면서도 늙지 않는다.


 


 

가을이 오고 겨울이 올때면 잠시 늙는것 같다가도 이내 봄 옷을 갈아입고 인간들의 가슴에 불을 댕긴다. 다시 돌아올 기약이 있기에 미련없이 그때그때 퇴장하리라.

잠시 함께 공부한 인연들과 시험을 치르고 해방 된 기분으로 점심을 먹었다. 그리고 십리 꽃길을 정원으로 두고있는 강변둔치의 한 작은 카페에서 차를 마시고 음악을 들었다.

아양교 강변의 풀들과 꽃들로 매번 다른 카페 풍경을 연출하여, 오는 손님마다 놀라게하는 주인장은 이번 봄도 변함없이 동촌 강변의 봄을 카페안에 연출해 놓고 있었다.


 


 

강변의 새소리는 마침 우리가 갔을때는 ' 토셀리의 세레나데'로 대신하고 있었다.

언제 보아도 우아한 첼로들은 카페 한면 바닥에 여전하게 모로 누워 있었다. 카페 '야노쉬'에서 첼로 음악을 들으면 유난히 더 스며드는데 그것은 아마도 스피커에서 흘러나온 소리가 저 누워있는 첼로들의 몸속을 한번 휘감고 나와서 그런것일까.

하여간 놀랍다. 봄도 봄의 카페음악도. 봄은 해마다 와도 매번 새롭다. 이 봄길은 걸어도 걸어도 발이 아프지 않을것 같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