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나나가 뭐예유? 네버랜드 꾸러기 문고 8
김기정 지음, 남은미 그림 / 시공주니어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책 속의 '지오'란 마을이 있다면 정말 좋겠다. 지오마을의 수박은 어찌나 큰지 집채만하고, 참외도  아이들이 그 속에 파먹으면서 들어갈 만큼 크다. 같은 시간대의 서울 수박과 참외는 사람이 들고 다니기에 딱 맞는 크기라고 했는데, 우리가 늘 보는 원래의 모습이다. 과일의 크기는 문명과 반비례한다는 말인가. 문명이 아니라 환경오염과 반비례한 것이기도 하단 말도 맞겠다.

삭막한 생활에, 오염된 도시생활에 찌들린 우리가 '지오'마을을 그리워 하듯이 지오마을 사람들이 그리워 하는 것이 있으니-이는 말로만 듣던 바나나이다. 첩첩 산중에 싸여 외국과일 바나나를 한 번도 본 적도 없는 사람들이다.  경험하지 못한 채 막연하게 상상만 하면 병이 날 정도로 사무치는 것이다.

어느날 고속도로가 뚫리더니, 바나나를 싣고 달리던 트럭이 사고가 나면서 꿈에도 그리던 바나나를 손에 넣게 되는 지오마을 사람들. 그토록 먹고 싶어하던 바나나였지만 마을사람들은 제각기 먹는 방법도 다양하다. 과연 두엄더미 속에 넣은 그 바나나를 먹을 수는 있는지. 보면서 쿡쿡 터져나오는 웃음을 참지 못한다. 느긋하면서도 구수한 충청도 사투리를 구사하는 산골사람들의 익살스러운 모습은 읽는 이를 유쾌하게 한다.

엉뚱하고 익살스러운 내용과 그림도 아주 잘 어우러진다. 부모님이나 할머니와 함께 읽으며 예전에 바나나가 귀했던 시절의 이야기를 곁들이며 읽을 수 있는 달콤하고 유쾌한 동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