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예민성 : 56 점 행동신속성 : 56 점

 

 

당신은 상황파악이 빠르고 행동도 그만큼 과감하다. 나서야 할 때, 숨어야 할 때를 냉정하게 판단할 줄 안다. 당신 주변에는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데, 그건 당신의 인품이나 지도력 때문이 아니다. 그저 당신을 따르면 살 수 있다는 사실이 은연중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당신은 그렇게 모여든 사람들에게 별로 책임감을 느끼진 않는다. 삶과 죽음은 운명이고 내 운명을 내 마음대로 할 수 없듯, 다른 사람들의 운명도 당신과는 상관없는 곳에서 결정된다는 사실을 누구보다도 잘 알기 때문이다.

 


당신이 생존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상황 파악을 정확하게 하고 그 상황에서 가장 필요한 행동을 즉시 하기 때문이다. 순간의 선택에 목숨을 걸어야 하는 전쟁터는 당신에게 가장 최적화된 환경이다.

 


당신은 순간의 판단에는 능하지만 장기적인 안목은 부족할지 모른다. 상황파악을 제대로 했더라도 그것이 단기적 이익에만 그칠 때 그런 행동들이 모이고 모여 당신을 궁지로 몰고 갈 수도 있다. 개인의 능력으로 어쩔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특히 전쟁터에서는 더욱 그런데, 궁지에 몰린다는 것이 바로 그 어쩔 수 없는 상황이다.

 


당신은 급변하는 환경에 최적화된 사람이다. 빠른 판단과 행동력을 필요로 하는 곳을 찾으라. 그곳에서 당신은 슈퍼맨과 같은 능력을 발휘할 것이다. 당신 곁에 모여드는 동료들을 도와주라. 장기적으로 살아 남기 위해서는 언제나 win-win을 추구하라. 당신이 살린 동료가 당신을 살려줄 수 있다. 당신이 비록 고수이긴 하지만, 당신보다 더 뛰어난 고수도 분명히 존재한다. 그들을 찾아서 그 비결을 배우라.


 

 이순신
1545-1598. 한반도가 낳은 역사상 가장 위대했던 전설의 해군 제독. 그는 영국의 넬슨이나 일본의 도고처럼 전통적으로 발달한 해군력도 없이, 서양으로부터 전수 받은 기술력도 없이, 오직 혼자만의 천재적인 지략과 의지로 동양 최강이던 일본 수군을 섬멸했고 나라를 멸망의 위기에서 구했다. 조정의 지원이나 독려는커녕 가혹한 대접과 방해만 받으면서도 23번의 해전에서 단 한번도 패배하지 않은 기적의 불굴의 용사.

 

 

 

 

 

 살라딘(Saladin)
1138-1193. 아랍어 본명은 살라 아드-딘 유수프 이븐 아유브. 젊은 시절 이집트, 예멘, 시리아, 팔레스타인 등의 이슬람 세계를 통합하고 아유브 왕조를 창시한 술탄. 야만적인 십자군으로부터 예루살렘을 탈환한 이슬람의 영웅이자 이교도와 침략자에게 한없이 너그러웠던 위대한 정복자.

 

 

 

 

 

 

 아라비아의 로렌스
T E Lawrence. 1889-1935. 영국의 고고학자, 작가, 군인. 우리에게 "아라비아의 로렌스"로 잘 알려진, 전투, 학문, 문학, 예술, 운동, 전투 등 모든 분야에 천재적 재능을 보인 인물. 그는 도덕적으로도 완벽했던 인물로 아랍 민족의 독립을 위해 청춘을 바쳤으며, 이후 세속적 명성을 피해 속세에서 고행을 자처하기도 했다.

 

 

 

 

 

 

 한니발 바르카(Hannibal Barca)
기원전 247-183. 북 아프리카에 대제국을 건설했던 카르타고의 흑인 장군. 카르타고가 1차 포에니 전쟁에서 패한 뒤, 총지휘관으로 2차 포에니 전쟁을 이끌었다. 피레네 산맥과 알프스를 넘어 로마를 대패 시킨 최초의 이민족으로 역사적인 전쟁 영웅으로 부각된다. 그러나 카르타고의 본토가 로마에게 침략당하고 이를 돕기 위해 로마의 장군 스키피오와 격전을 벌였으나 분패, 시리아 등지로 피신했다가 자살하고 만다.

 

 

 

 

 알렉산드로스
기원전 356-323. 본명은 알렉산드로스 트리토스 호 마케돈. 나폴레옹과 함께 역사상 가장 뛰어났다고 일컬어지는 전쟁의 천재. 사상 처음으로 그리스 반도를 통일하고 페르시아를 정복한 최강의 정복자였으며, 정치 문화적으로도 매우 성숙한 인물이었다. 그는 자신이 정복한 모든 나라와 민족에 한없는 관용을 베풀었다. 대제국의 왕이 된 그는 모든 속국민들을 평등하게 대우했으며, 모든 문화에 대한 다양성을 존중해 주었다.

 

 

 

 

 

 칭기스칸
1162-1227. 본명은 테무진. 몽골의 군인이자 정복자. 1206년 몽골 부족을 통일하고 칸이 돼 중앙 아시아, 중국, 러시아, 서남 아시아, 동유럽까지 정벌하고 역사상 가장 거대하고 강력한 국가를 건설한다. 그가 이끈 몽골 기마대는 의심할 나위 없이 역사상 가장 강력한 군대였으며, 또한 가장 잔혹했던 군대이기도 했다. 손자 쿠빌라이가 원나라를 세운 후 원의 태조로 추대됨.

 

 

 

 

 

 도요토미 히데요시
1536-1598. 중세 일본의 군인이자 전국시대를 마무리 한 통일 군주. 16세기 오다 노부나가가 시작한 일본 통일의 대업을 완수하고 고양된 국력을 바탕으로 대륙 정벌을 감행한다. (바로 임진왜란.) 그는 천재적인 군인이자 지략가, 그리고 정치가로 일본 내 최고의 실력자로 군림했으나, 무모하게 조선을 침략했다가 엄청난 수의 군대를 잃었고 그의 사후 가문은 몰락의 길을 걷는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1769-1821. Naopleon Bonaparte. 알렉산드로스 대왕 이후 가장 천재적인 군인이었던 프랑스 장군이자 유럽의 정복자. 전쟁에 있어선 완벽할 정도로 뛰어났으나, 정치적으로는 미성숙한 인물이었다. 허영과 욕심에 휩싸여 타인들을 배려할 줄 몰랐으며, 승리에 도취돼 여러 치명적 실수를 저지르곤 했다.

 

 

 


 

http://kr.ring.yahoo.com/WEBZINE/index.html?zine_num=21

 테스트 하고픈분들은 ↑ 주소로 ~


댓글(16)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Laika 2005-11-13 20: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뭐가 문제일까요?
동네 사람들 10% 이신분 없으세요?
그럼 전 그냥 전쟁나면 동건이랑 놀고있을께요...^^

2005-11-13 20:21   URL
비밀 댓글입니다.

물만두 2005-11-13 20: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헉... 대단하십니다~

2005-11-13 20:25   URL
비밀 댓글입니다.

icaru 2005-11-13 20: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극히 정상적이고 자연스러운 두더지형이라는데...
엥...전 꺼뻑하면... 평범...평범함을 면하기 어렵고만요~

플레져 2005-11-13 20: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라이카님, 동건군도 10%  ? 어쩌실라공...ㅎㅎ
속삭이신 아름다운님, 그러세요. 제 뒤만 따라오시면 되어요 ^^ 저도 참고해서 이렇게 되도록 지침서로 삼을까봐요 ㅎㅎ
만두님, 님도 제 뒤로 오세요...ㅎㅎㅎ
이카루님, 평범한 게 제일 좋은거잖아요 ^^

 


mong 2005-11-13 20: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플레져님만 따라가렵니다
느무 훌륭하신 거 아녜요? 버럭~
ㅎㅎㅎ
덧붙이기: 저도 테스트 해보니 플레져님 하고
똑같은거 나왔어요~~풉

2005-11-13 20: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책속에 책 2005-11-13 21: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전 방금 해봤는데, 저도 지극히 정상적이고 소심한 두더지형이 나왔어요 ㅋㅋ
플레져님과 몽님 뒤에 조용히 따라붙을렵니다..ㅎㅎ

가시장미 2005-11-13 21: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머. 이거 어디서 하는거예요? 으흐흐흐 언니. 침착하고 과감하다.......
왠지 언니의 서재에서 느껴지는 분위기랑 사뭇 비슷한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플레져 2005-11-13 21: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몽님, 악수~! 작전회의 잘 하여 다른 님들을 구해보자구요~ ^^
속삭님, 님 서재로 순간 이동하여 말씀 드릴게요~*
드리머님, 환영합니다~ ㅎㅎ
장미, 저 위에 주소 보이지? 거기 클릭하시오~ ^^

이리스 2005-11-13 22: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에헤, 저와 같으시군요. ㅎㅎㅎ

플레져 2005-11-13 22: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구두님, 우리에겐 특별한 무엇이 있을까요? ^^
켈님, 좋아요, 좋아~~

balmas 2005-11-13 22: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10% ... -_-a

플레져 2005-11-14 09: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발마스님, 10% 라는 걸 아는 분들이 더 오래 버틸겁니다. 생존율이 10% 라는 걸 알기 때문이죠...ㅎ

2005-11-14 09:52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