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광주(光州)에서 성장했다. 다섯살에 이사를 와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로 상경할 때 까지 나는 15년의 성장기를 줄곧 광주에서 보냈다. 3년전 부모님 마저 조상의 터전이었던 남도를 떠나 서울 근교에 자리 잡으시자 그나마 명절때라도 낙향하던 일마저 없어져 버리고 어언 서울에서의 삶의 길이가 광주에서의 그것보다 길어져 버렸을 지라도 여전히 나는 "속살은 광주사람" 이다.

빛고을로 칭해지기도 하고 예향(藝鄕)이라는 애칭을 갖고 있는, 굴곡많은 현대사를 끌어안은 도시 광주가 좋은 또 하나의 이유는 바로 시내 어느곳에 있던지 고개를 들면 넉넉하게 도시를 보듬고 있는 '무등산'이 있어서다.

"무등산 폭격기"라는 별명을 가진 선동렬 선수때문에 더욱 유명해 지기도 한 무등산은 해발 1187 미터의 만만치 않은 높이와 거칠지 않고 포근한 느낌을 주는 유순한 산세를 가진 산이다. 백제 때는 무진악, 고려때는 서석산이라 불리웠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광주에는 지금도 "무진"이나 "서석"을 이름으로 한 고유명사들(학교나 교회 등의 이름으로 많이 쓰인다)이 많이 있다. 그만큼 이 곳 사람들의 일상과 무등산이 맞닿아 있다는 증거이리라.

서울에서 북한산 가기 보다도 도심에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해 있는지라 광주의 중, 고등학교 학생들의 소풍은 늘쌍 무등산행이 되기 일쑤이다. 정말 지겹게도 봄 가을로 무등산을 헤집고 다녔던 그 시절, 지척에 두고 살다 보니 그 산의 고마움을 미처 몰랐지만 서울로 올라온 이후 간혹 찾게 되는 광주에서 무등산은 고향이 주는 안락함의 또 다른 일면이 되었다.

그러나 정상에 미사일 기지가 있다는 이유로 현재까지도 무등산의 정상은 개방되지 않고 있다. 정상 가까이에 있는 우뚝 우뚝 하늘로 치솟은 바위들의 절경인 입석대(立石臺)와 서석대(瑞石臺)가 일반인들에게 다시 개방된 것도 불과 15년 남짓이다. 그때 까지 광주 시민들은 눈 앞에 보이는 산을 두고도 산 중턱까지 밖에 오르지 못했던 아쉬움을 삭여야만 했다. 분단과 냉전은 반도 남단 국민들의 생활에 까지도 이런 저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십수번을 등반한 무등산 이지만 그 중 가장 기억에 남는 등반기 하나.

대학 4학년 추석때로 기억한다. 명절을 맞아 '놀고 대학생'의 신분을 이용해 하루쯤 먼저 귀향한 나는 고향 친구인 K와 P를 만나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다가 의기투합, 거창하게 산악회를 발족 시킨다. 당시 어디선가 들었던 리영희 교수, 고은 시인등이 회원으로 활동한다는 산악회 '거시기'의 영향을 받은 우리는 우리들의 산악회 이름을 '있어'로 명명한다. '있어'산악회의 회 결성 기념 등반 이자 결국 마지막 등반이 되어 버린 무등산 등반은 가을이 무르익어 가던 추석 직전의 어느 날이었다. 다음날 아침 1000원에 두 줄하는 김밥 3인분을 달랑 사들고 우리는 무등산에 올랐다. 서석대 정상(해발 1100 미터로 무등산 개방 구역 중 최정상이다)에서 구름을 품으며 김밥을 먹자던 우리의 포부는 전날의 피로와 술기운으로 인해 중턱부터 흔들리기 시작했다.
'졸업을 앞둔 복잡한 머릿속을 정리도 할겸 가을산에서 호연지기를 함양하리라'던 나의 야심찬 계획은 초가을 남도의 따사로운 햇살에 바람처럼 날아가 버리고 머릿속은 "목말라"와 "배고파"의 원초적 형이하학만이 온통 맴돌뿐이었다.  어찌 비스킷 하나라도 준비를 하지 않았을까라는 회원들의 자책속에 결국 기아 선상에 허덕이던 우리는 서석대 정상을 100여 미터 목전에 두고 "도저히 배고파서 걸을 수가 없다!!"라는 단말마 외침과 함께 바위위에 드러눕고 말았다. 굶주린 청년들은 3인분 김밥 중에 한 개를 아귀처럼 까먹고 나서야 정상에 도달할 수 있었다. 맑은 가을 하늘 아래 또렷하게 한 눈에 내려다 보이던 광주 시내를 품에 안은 채 20대 중반의 젊은 사내들은 무엇을 생각하고 있었을까.

그로부터 딱 10년이 흐른 지금. 그 날의 기억을 아련하게 등에 업은채 다시 한 번 그 산에 오르고 싶다.

눈 내린 무등산, 입석대의 설경


댓글(6)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파란여우 2004-09-07 16: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알라딘의 성철 스님(?)이 무등산에 오르신단 말이죠?^^ 꼭 멋진 등반 끝내시고 후기 기다려보고 싶습니다.

oldhand 2004-09-07 16: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성철 스님이라니요... 저는 용렬한 소인배인걸요. 성철 스님이 눈을 번쩍 뜨시겠습니다. 저의 개인적인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산은 산이고 김밥은 김밥이더라구요. 무등산도 식후경.
그리고 무등산 등반 희망은 아직은 기약없는 희망일 뿐이랍니다. 이제 거의 연고도 없어서 광주에 가는것도 쉽지 않네요. 내려갈 일이 있으면 꼭 올라보고 싶기는 합니다만.

물만두 2004-09-07 19: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산이라면 쳐다보기도 싫은 만두... 한라산 오르다 죽을 뻔했다는...

oldhand 2004-09-08 09: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수학여행 때 한라산 등반이 일정에 있었는데 비가 오는 바람에 못 갔었답니다. 아직도 백록담 구경 못 해 봤어요.

미완성 2004-09-08 21: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있어' 산악회와 1000원에 두줄 준다는 김밥에 눈이 번쩍(!), 그후부턴
'oldhand님은 아, 1000원에 김밥 두줄을 사셨대- 아아, 맛있는 김밥이었을까?'
생각만 머리 속에 가득 차다가 단말마의 외침과 함께 바위 위에 드러눕고 마셨다는 얘기에 또 폭소를..ㅜ_ㅜ
아아, 동네 뒷산도 정상까지 올랐던 게 벌써 몇 년 전이었는지요. 그래두 대단하십니다-

oldhand 2004-09-08 21: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야! 사과님 오셨군요. 그동안 우리가 격조했지요? 흑흑. 댓글은 안남겨도 사과님 글 잘 읽고 있답니다.
지금 생각해봐도 이미테이션이긴 하지만 산악회 이름은 괜찮게 지은것 같단 말이죠. 핫핫. 1000원에 두줄하는 김밥은 당시 광주에서 되게 유명한 "광주김밥"이라는 시내에 있는 김밥집에서 팔던 김밥인데요, 장사가 잘되서 분점도 있고 그랬었지요. 아직까지 그 가게가 남아있는지, 남아 있다면 가격은 얼마나 할까.. 참 궁금합니다. 광주가면 상추튀김도 먹으러 가야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