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접목 / 나무들 비탈에 서다 - 황순원전집 7
황순원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9년 5월
평점 :
품절


  6.25를 겪으며 작가 황순원의 인식은 변하기 시작한다. 시와 단편 소설에서 순수한 아름다움에 관해 천착하던 그가 전쟁을 겪으면서 드디어 인간의 추악함이 무엇인지 생각하기 시작한 것이다.

  <인간접목>, <나무들 비탈에 서다>, <움직이는 성>은 황순원이 인간의 악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으며 악에 대한 관념이 어떻게 변해가는지 잘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세 작품의 공통점은 나무의 속성과 이미지를 사용해 직접적으로 나무와 인간을 대입시키고 있다. (아직 <움직이는 성>은 읽어보지 못했지만 조만간 읽어볼 작정이다)

  <인간접목>에서 작가는 인간의 악이란 거울에 낀 때와 같은 것이라고 말한다. <인간접목>의 원제가 '천사'였다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인간은 원래 천사같은 존재지만 사회에 의해 악이 때처럼 표면에 붙어버린다고 작가는 말한다. 주인공 종호가 소년원 아이들을 씻겨주면서 그 아이들의 때가 벗겨지고 피부가 드러났을 때 작가의 목소리가 그대로 종호의 입장에서 드러난다. 제목이 '인간접목'인 것도 나무를 접목시켜 더 나은 열매를 얻을 수 있듯이 인간도 접목하듯 개량하여 악의 손아귀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을 직접적으로 말하고 있다. 

  하지만 <나무들 비탈에 서다>에서 작가의 악에 대한 인식은 변하기 시작한다. 과연 악이 표면적인 것인지 의문을 품는다. 결국 작가는 악은 내성적일 수도 있다고 본다. 유리조각이 살갗을 뚫고 혈관을 타고 돌아다니는 것, 그것이 악이다. 농업용어로 가지치기를 뜻하는 '전지'라는 단어가 등장하여 인간의 악은 닦아낸다고 되는 것이 아니어서 잘라버려야 한다고 말한다.

 장편 소설로써의 미학적 성취를 이뤄낸 첫 걸음이라고 할 수 있는 <나무들 비탈에 서다>에서 등장 인물들은 모두 가해자이자 피해자다. 전쟁에 의해 누군가를 죽이고 또 전쟁의 폭력성으로 인해 스스로 목숨을 끊거나 자포자기의 상태에 빠진다. 전쟁과 아무런 관련이 없을 것 같은 숙이마저 원치 않는 임신을 하면서 전쟁의 흔적을 고스란히 떠안는다.

  전쟁이란 무엇인가. 이념에 의해 다시 보수주의와 진보주의가 양립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전쟁에 대해, 인간의 악에 대해 우리는 무엇이라고 정의 내릴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