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글쟁이로 꼽히는 데이비드 세다리스. 데이비드 세다리스의 전설은 시카고의 작은 라디오 방송국에서 자신의 일기를 읽어주는 데서 시작되었다. 어처구니없는 그의 이야기에 사람들은 볼륨을 높이며 빵빵 웃음을 터뜨렸고, 결국 '세다리스 타임'은 전국 방송으로 옮겨가게 된다. 그리고 이제는 전 세계인들에게 웃음을 선사하는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었다.
<나도 말 잘하는 남자가 되고 싶었다>는 20주 동안이나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 자리를 지키고, 전 세계 300만 부가 판매되는 등 가장 큰 사랑을 받은 에세이집이다. 이 작품집에는 일상의 시시콜콜하고 어이없는 상황을 웃음으로 승화시키는 세다리스 특유의 유쾌함이 잘 녹아들어 있다. 뉴요커들과 파리지앵들을 모독하는 즐거움, 위선적 교양을 거부하는 세다리스의 가족 이야기 등이 담겨 있다.
-알라딘 책소개 중
씨네21에서 즐겨보는 이다혜의 도서 소개에서 봤을 때는 시큰둥했다. 화장실 유머는 너무 지독하잖아! 그런데 얼마 전 다시 이 책이 눈에 띄었다. 한겨레21에서 봤던가. (그런데 왜 다 21이지?) 이다혜씨가 다른 동료에게 이 책을 소개했는지 아니면 출판사의 홍보력이 대단했는지는 모르겠다. 그렇지만 잡지에서 다른 것보다 도서 소개를 먼저 보고 요 근래 두개의 잡지를 자주 봤다고 치더라도 두번이나 노출되는건 우연으로만 치부하기엔 뭔가 좀 그렇다. 게다가 에세이 아닌가.
아래

두 책만큼

재미있으면 좋겠다. 재미있는 책이 달랑 두권이라는건 좀 별로다. (
재미있는 책 좀 추천해주세요!)
'지식채널e'가 어떻게 만들어졌고 변화되었는지에 대한 개인적이고 사소한 보고서. 김진혁씨의 책이라 기대했는데 지식채널 시리즈에서 보아온 감성지식 이야기는 없다. 다만 저자가 프로그램을 제작하면서 겪은 일과 깨달아가는 과정이 나온다. 민감한 사안에 대해 각각 다른 입장을 갖고 있지만 보편적인 감성에선 누구나 차이를 뛰어넘어 동의할 수 있다는 점, 진짜 슬픔을 고민하다 소외된 이들을 다룰 때 그들을 대상화하지 않아야겠다는 것 등등. 분노가 문제의식으로 바뀌면서 무기력한 감정에 대해 다룬 다음의 내용에서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느낌'이 불편하다며 '남의 일'에 외면하고 있는 내 모습이 떠올랐다.
 |
|
|
|
분노가 감정적 배설로 끝나지 않고 이성적인 ‘문제의식’으로 자리 잡도록 할 필요가 있었다. 고민 끝에 알게 된 것이, 분노의 대상을 구체적으로 지적하지 않으면 쉽게 배설되지 못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이후 소외를 낳는 배경을 거론할 때 절대로 몇몇 가해자를 직접적으로 지목하지 않았다. 꼭 지목해야 할 경우에도 가해자를 내용의 ‘주인공’ 자리에는 놓지 않았다. 그러다 보니 시청자는 ‘화풀이’의 대상을 명확하게 찾기 어렵게 되고, 그처럼 배설되지 못한 감정과 에너지는 문제를 전반적으로 이해하는 데 쓰인다. 결국 자기가 느낀 감정에 대해 어떻게든 정리를 해야 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문제의식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제작진은 그처럼 시청자가 분노를 문제의식으로 승화시킬 준비가 됐을 때,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한 구조적 문제 한두 가지를 제시했다.
하지만 모든 감정이 다 승화되지는 않는다. 일부 분노는 승화되지도 못하고 배설되지도 못한 채로 내면에 남는데 그건 일종의 ‘무기력함’일 것이다. 아무리 문제의식을 가져봤자 사회구조적인 문제가 바로 해결되지 않는 데서 느끼는 절망 말이다. <지식채널e>를 보고 느끼는 ‘먹먹함’이라는 감정도 바로 이게 아닐까. 그러나 이 ‘무기력함’이야말로 어쩌면 가장 중요한 것일 수도 있다. 이런 느낌은 다름 아닌 소외된 이들이 체험하는 아픔이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시청자는 소외된 이들을 단순히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잠시나마 그 입장에서 그들이 느끼는 고통과 절망, 그리고 무기력함을 마치 자기 일인 것처럼 체험할 수 있다. 소외 문제에 있어서도 백 마디 말보다는 한 번 경험하는 것이 훨씬 나은 법이고, 이는 문제의식이나 비판의식보다 훨씬 더 강렬하고 핵심적이다.
|
|
|
|
 |
'진짜 할바를 찾아서'는 물론이고 근사한 음식보다는 소박하고 추억이 담긴 음식 얘기를 하는
요네하라 마리의 <미식견문록>은 재미있다.
그 중에서 특히 괜찮았던건 동화에서 나온 음식 얘기를 하는 부분이었다. 분명히 어렸을 때 알프스 소녀 하이디를 문고판으로 읽은 것 같은데 아무리 생각해도 하이디가 염소젖을 먹는 부분은 기억이 안 나는거다. 다행히 펭귄문고에서 적은 단어로도 하이디 이야기를 읽을 수 있는 책이 있었다. 나무에서 나는 바람 소리를 듣고, 밤하늘을 보길 바란 하이디. 하지만 눈을 뜨면 할아버지네 집이 아닌 프랑크푸르트였다.
He carried Heidi up to her bedroom and put her on the bed.
"You're all right now." he said.
"Tell me, child, Where did you want to go?"
"I was at home, in grandfather's house" said Heidi
"I could hear the wind in the trees, and I wanted to look at the night sky. So I ran to the door and opened it. I do it every night. But when I wake up, I'm here in Frankfurt"
다시 돌아온 하이디는 염소젖을 먹고 세상에서 이것보다 맛있는건 없다고 했는데, 염소젖을 직접 먹어본 요네하라 마리에 의하면 비린맛이 강해서 그다지 맛있는줄 모르겠다고 했다.
Heidi drank her milk and said, "Nothing in the world is as good as our milk."
이 두 구절이 좋았던건 (얇지만 영어로 된 책을 끝까지 읽은 기념은 예외로 하고) 하이디가 피터네 할머니를 생각해서 흰빵을 몰래 숨긴거며 알프스의 할아버지 집을 그리워하는 맘이 한 단어씩 또박또박 읽혔기 때문이다. 만약 한글로 된 동화를 읽었다면 이만큼 좋지 않았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