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평생 여행하며 살고 싶다 - 학교 대신 세계, 월급 대신 여행을 선택한 1000일의 기록
박 로드리고 세희 글.사진 / 라이팅하우스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착민의 폐해를 눈치챈 사람들이 자발적인 유목 생활을 하는 게 바로 여행 아닐까? 태초의 인류가 식량을 찾아 유랑한 것처럼, 여행은 영혼의 식량을 찾는 문화적 유랑이다. 숙련된 여행자일수록 대단한 것들을 구경하려고 욕심내지 않는다. 유랑하며 만나는 풍경에 마음을 주고, 길에서 만나는 사람들과 만드는 우연한 시간을 사랑한다. 여행은 정신의 유목이다. -106쪽

현대의 등산 방법은 등정주의와 등로주의로 크게 나뉜다. 등정주의는 산을 오르는 방법보다 정상에 오르는 결과를 중요하게 여긴다. 그래서 엄청난 물량과 인력을 동원해 산과 싸움하듯이 정상에 오른다….반면 등로주의는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요하게 여긴다. 무산소등정, 단독등정, 동계등정, 새로운 루트 등 산을 오르는 방법을 따져 물어 등산의 의미를 더욱 값지게 만든다. 등정주의가 산과 싸우는 게 중요하다면 등로주의는 자기 자신과의 싸움에 방점을 둔다. 현대의 산악계는 지나친 경쟁을 유발하는 등정주의보다 등로주의에 더 높은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
등로주의의 시작은 188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알프스의 미답봉들이 마터호른을 마지막으로 등정 완료되자 산악인들은 존재론적인 의미 하나를 잃게 되었다. 그래서 앨버트 머머리가 "의지가 있는 곳에 길이 있다"라며 이미 등정된 봉우리의 다른 루트를 찾아서 오르기 시작했다. 일부러 어려운 길로 산을 오르며 등반의 가치를 부활시킨 것이다. -177~178쪽

여행은 사서 하는 고생이다. 고진감래, 캐나다인 부부가 대답을 아낀 까닭은 여행의 고생 뒤에 오는 낙이 얼마나 큰지, 그것이 남에게 알려주기 싫을 정도로 달콤하기 때문에 그랬을 것이다. 그러고보니 여행(travel)의 어원은 고통, 고난(travail)이다.-21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봄에 나는 없었다 애거사 크리스티 스페셜 컬렉션 1
애거사 크리스티 지음, 공경희 옮김 / 포레 / 2014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이제 특별히 한마디만 더 하겠다. 나태한 사고는 금물이야, 조앤! 사실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면 안 된다. 그게 가장 쉬운 길이라고 해도, 또 그게 고통을 면하는 길이라 해도 그래선 안돼! 인생은 얼렁뚱땅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살아내야 하는 거란다. 그리고 자기만족에 빠지면 안돼!" -115쪽

"언제나, 언제나 쾌활하지요. 인생의 모든 일이 흥미롭고 재미있다고 생각하는 거 같아요." -126쪽

그게 에이버릴이었다. 과장이 없었다. 과거에 머무르지 않았다. 자기연민에 빠지지도 않았다. 인생을 받아들이는 훈련이 되어 있었고, 타인의 도움 없이 삶을 살아낼 능력이 있었다. -25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윗과 골리앗 - 강자를 이기는 약자의 기술
말콤 글래드웰 지음, 선대인 옮김 / 21세기북스 / 2014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거인은 우리가 생각하는 그런 존재가 아니다. 거인에게 힘을 주는 원천인 것처럼 보이는 요소는 종종 커다란 약점을 낳는 원천이기도 하다. 그리고 자신이 약자라는 사실은 때때로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방식으로 사람들을 바꾸어놓을 수도 있다. 약자로 존재한다는 것은 문을 열어 기회를 만들어내고, 자신을 가르치고 일깨우며, 그런 처지가 아니었다면 생각할 수 없었던 것을 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 우리는 거인을 마주하기 위한 더 나은 지침서를 필요로 한다. -20쪽

고대의 군대에는 세 종류의 전사가 있었다. 첫번째 부류는 기병으로 말 또는 전차를 탄 무장 군인이었다. 두번째 부류는 보병으로 갑옷을 입고 칼과 방패를 든 군인이었다. 세번째 부류는 발사병으로 오늘날 개념으로는 포병에 해당하는데, 궁수와 가장 중요한 투석병이 여기에 속했다. 투석병은 긴 밧줄 양쪽 끝에 매어놓은 가죽물매를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물매 안에 돌 또는 납 구슬을 넣고, 이를 휘돌려서 점점 크고 빠른 원을 그렸다. 그리고 밧줄의 한쪽 끝을 놓으면 돌은 앞으로 나아갔다.-24쪽

역사학자 바루크 할펀은 투석이 고대 전쟁에서 세 종류의 병사들이 서로 물고 물리는 균형의 한 축을 이룰 만큼 중요했다고 주장한다. 마치 가위바위보와도 같다는 것이다. 보병은 긴 창과 갑옷으로 기병에 맞설 수 있었다. 이에 비해 기병은 발사병을 무찌를 수 있었다. 말의 움직임이 빨라서 고대의 포병 부대가 목표를 제대로 조준하기 힘들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발사병은 보병에게 치명적이었는데, 무거운 갑옷 때문에 움직임이 느릿느릿할 수밖에 없는 보병은 약 100미터 거리에서 공격하는 투석병에게는 식은 죽 먹기나 마찬가지인 공격 대상이었기 때문이다. -25쪽

돈은 어느 지점에 이를 때까지는 양육을 더욱 쉽게 만들어준다. 커다란 차이를 더 이상 만들지 않는 지점에 이를 때까지는 말이다. 과연 그 지점은 어디쯤일까? 행복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연 소득이 약 75,000달러 선에 이르면 돈이 사람들을 더 이상 행복하게 만들어주지는 않는다고 한다. 그 이후로는 경제학자들이 ‘한계 수확 체감’이라고 부르는 현상이 등장한다.-67쪽

심리학자 배리 슈워츠와 애덤 그랜트는 공동으로 발표한 훌륭한 논문에서 거의 모든 결과 값은 사실 뒤집힌 U자형을 보인다며 이렇게 주장했다. "심리학의 여러 영역에 걸쳐서 어느 지점까지는 X가 Y를 증가시키지만, 그 뒤로는 Y를 감소시킨다는 사실이 발견된다. 줄지 않는 장점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모든 긍정적인 특성, 상태, 그리고 경험은 일정하게 높은 수준에서는 혜택을 능가하기 시작하는 비용을 치르게 된다." -7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속사회 - 쉴 새 없이 접속하고 끊임없이 차단한다
엄기호 지음 / 창비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 신도의 성지라 할 수 있는 이세신궁은 20년에 한번씩 완전히 새로 짓는다. 멀쩡한 건물을 부수고 아예 장소까지 옮겨 새로 짓는다고 한다. 왜 그렇게 부수고 짓는가에 대해 많은 이들이 다각도로 이야기해왔지만, 그중 나에게 가장 매혹적으로 다가온 설명은 <황천의 개>에 실려있는 후지와라 신야의 말이다. 그에 따르면 일본인들이 생각하기에 그들이 전승해야 하는 것은 건물 그 자체가 아니라 건물을 짓는 기술이다. 이세신궁을 짓는 데 참여한 목수는 혼신의 힘을 다해 가장 멋진 작품을 만들어야 하고 동시에 그 기술을 자신의 후학에게 저수해줘야 한다. 아무리 훌륭한 목수라 하더라도 자기 혼자만 그 기술을 간직하고 후학에게 물려주지 못하면 그 기술은 당대에 소멸하게 되고 마찬가지로 이세신궁 또한 당대로 끝나는 건물이 되고 만다. -21쪽

바우만의 말처럼 "사적인 문제들에 대해 사회적인 해결책을 기대하기보다, 오히려 사회적으로 발생한 문제들에 대해 사적인 해결책을 추구"하게 된 것이다.-8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는 나에게 상처를 줄 수 없다 - 일에서든, 사랑에서든, 인간관계에서든 더 이상 상처받고 싶지 않은 사람들을 위한 관계 심리학 너는 나에게 상처를 줄 수 없다 1
배르벨 바르데츠키 지음, 두행숙 옮김 / 걷는나무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교에서 '두 번째 화살에 맞지 말라'는 말이 있다. 다른 사람이 준 상처에 죄책감과 분노를 얹어 더 큰 상처를 받지 말라는 뜻이다. 첫 번째 화살을 피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 다른 사람이 어떤 말을 하고 어떤 행동을 할지 누가 예측할 수 있겠는가. 그러나 자신을 깎아내리고 엉뚱한 사람에게 분풀이를 하며 또 다른 상처를 만드는 것은 마음 먹기에 따라 얼마든지 피할 수 있다.-17-1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