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홉 가지 이야기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 지음, 최승자 옮김 / 문학동네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마 책을 읽는 사람들 중에서 J.D. 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을 모르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읽어 보지는 않았다 하더라도 한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샐린저의 호밀밭은 국내 뿐 아니라 미국에서도 꾸준하게 읽히고 있는 밀리언셀러이고 심지어 교과서에도 실려있는 소설이다. 그런데 이렇게 유명해질 만큼 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은 괜찮은 소설인걸까? 나쁘지는 않다는 것에는 전적으로 동의하지만. 사실 나는 이 책의 명성중 8할은 한 사건에 집중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그 사건이란 마크 채프먼이라는 작자가 비틀즈 멤버인 존 레논을 암살할 당시 손에 들고 있었던 책이 바로 J.D. 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이었다. 그 사건이 있기 전에도 호밀밭이 작품성을 인정받은 좋은 책이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대중적 인기를 얻은데에는 저 사건이 미친 영향이 지대하지 않나 싶다.

사실 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은 (적어도 내 생각에는) 그다지 나쁠것도 좋을것도 없는 소설이다. 문학계에서는 샐린저의 계보를 잇는 작가로 무라카미 하루키를 뽑지만. 내가 보기엔 별로 영향을 받은것 같지도 않고 하루키는 샐린저의 작품이 과대평가되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 중 한 사람이다. 그러니까 하루키가 만약 샐린저의 계보를 이었다고 하더라도 적어도 자기가 좋아하거나 원해서 그렇게 되었다기 보다는 그냥 우연이 아닐까 싶다. 아무튼 내게 있어 호밀밭의 파수꾼은 그렇게까지 칭송받을 만한 작품도 그렇다고 해서 욕을 푸지게 먹을만한 작품도 아닌것 같다.

아홉가지 이야기는 대학때 읽은 호밀밭을 제외하고는 두 번째로 읽는 샐린저의 책이다. 보통 J.D. 샐린저로 표기가 되기 때문에 그의 풀 네임을 몰랐었는데 이 책 덕분에 나는 J.D. 가 제롬 데이비드의 약자인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책에서 내가 건진 유일한 성과라고 하면 좀 과장스러울지 모르겠지만. 아무튼 나는 이 책을 몹시 재미없게 봤다. 아홉가지 단편이 실려 있건만. 어느 하나 '과연 재미있군' 하고 고개를 끄덕일 만한 작품이 하나도 없다. 그나마 아홉가지 중에서 에스키모와의 전쟁 직전은 적어도 무슨 내용의 단편인지 정도는 파악이 가능했으나 나머지 여덟가지 단편은 정말 너무도 형편이 없어서 책값이 다 아까울 지경이었다. 제목도 어째서 저런것들을 붙였을까 싶게 내용과 거의 무관하고 (이건 그중 제일 나았던 단편 에스키모와의 전쟁 직전도 마찬가지다. 거긴 에스키모인도 전쟁도 또 그 전쟁의 직전과도 아무 상관이 없다.) 거의 대화로 이루어진 단편들은 무슨소리를 하고 싶은건지 알 수가 없다. 꼭 남의 메신저를 훔쳐본것 처럼 말이다. (알다시피 메신저는 바로바로 대화를 하면서 봐야 무슨 소리인지 알지. 대화를 다 나누고 난 이후 제3자가 보면 대화처럼 바로바로 피드백이 되지 않기 때문에 다소 엉뚱한 대화로 보이기 쉽상이다.)

호밀밭에 대해 그다지 호의적이지 않았음에도 이 책을 산 이유는 순전히 단편 모음집이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보면 이건 호밀밭보다 훨씬 더 떨어지는 작품들이 실려있다. 뭘 말하고 싶은지는 고사하고라도 어떤 내용인지 정도라도 알았으면 좋겠는데 읽는 내내 머리통만 어지러워졌을 뿐이다. 그렇다고 해서 뭐 교훈적이라던가 재미를 추구했다던가 하는 것도 없다. 이런 글을 주절주절 쓸꺼라면 대체 왜 글을 쓰나 싶을 지경이다. 물론 이건 문학적 소양이 한참이나 부족하고 무식의 구렁텅이에서 허우적거리고 있는 나 이기에 그렇게 느끼는 것일수도 있지만 한가지 확실한건 이 책은 절대로 재미가 없다는 것이다. (다른건 몰라도 재미있고 없고 정도는 나도 안다고 생각한다.) 혹시 J.D. 샐린저라는 이름에 혹해서 이 책을 사서 읽으려는 사람이 있다면 말리고 싶다. 재미가 없어도 이건 좀 너무 심하다 싶게 없기 때문이다. (허나 여기서 뭔가 대단한 문학적 가치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나도 잘 모르겠다.)


댓글(9)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렌초의시종 2005-01-15 19: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루키가 셀린저의 뒤를 이은 작가라고 평가받는 원인 중의 하나는 아마 그가 일본에서 호밀밭의 파수꾼의 번역자로써 명성을 얻은 것과도 어느정도 관련이 있다고 봅니다. 그의 번역은 제법 훌륭해서 지금도 호평을 받고 있다고 하니까요. 그런 까닭인지 하루키의 작품에서 셀린저의 이름이 가끔 나오기도 하구요. 그나저나 저도 이 책하고 이 책 후속권인 셀린저의 또다른 단편집을 사려고 하고 있었는데, 아무래도 도서관에 주문을 넣어야할까 봅니다.(아무래도 읽기는 해야 할 것도 같아서요,)

perky 2005-01-15 19: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동감입니다. 호밀밭의 파수꾼 명성에 비해 평범하다고 느꼇었구요. 그래도 혹시나 해서 단편 'a perfect day for bananafish' (바나나피시를 위한 완벽한 날?)도 읽었었는데 정말 이해하기 힘들었어요. 비약이 너무 심하다고 할련지..사람들이 너도나도 좋다고 하니까, 제가 이상한가보다 생각했었는데..님 글 읽고나니 좀 위안이 되네요. ^^

칼잡이 2005-01-16 00: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이책은 못봤지만 다른 책을 통해 여기 수록된 바나나피시와 에스메를 위하여는 읽었는데, 특히 에스메를 위하여를 상당히 감명깊게 읽었습니다. 그래서 검토겸 서점에서 이번에 출판된 아홉가지이야기를 펼쳐보았는데 조금 실망이었습니다. 제가 본 장석주의 소설이라는 책에서 감명깊게 읽었던 <에스메를 위하여>의 마지막 문장은 '에스메여 아는가? 정말로 졸리는 잠이 찾아들 때 그 사람은 또다시 몸과 마음이 다같이 온전한 사람이 될 희망이 있다는 사실을.'인데 이책에서는 무슨뜻인지도 모를, 능력 어쩌고 저쩌고 번역됐던데 한참을 이해하려해도 고개가 갸우뚱했습니다. 그리고 차알스가 '안녕 안녕 안녕 안녕' 하는 부분이 이책에서는 '헬로 헬로 헬로 헬로'던데, 원래 그 부분의 순수한 느낌이 잘 살지 않는 듯했습니다. 가장 감명깊은 문장들만 검토하고 전체 적으로 다 읽지는 않아 어떤지 모르겠지만 저 두 문장의 번역만으로도 약간 실망했습니다. 참 재밌게 읽은 소설인데..

LAYLA 2005-01-16 02: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호밀밭의 파수꾼을 아주.......지루하게 읽었던 기억이 나네요. 아주_ 지루했어요.
흠...

플라시보 2005-01-16 10: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로렌초의 시종님. 음..그렇군요. 하루키가 호밀밭을 번역했군요. 그런데 하루키는 왜 호밀밭에 대해 그렇게 호의적이지 못할까요?^^ 이 책 바로 아래에 있는 산문집에 보면 그런 내용이 있거든요. 다소 호밀밭이 과대평가 되었다는 분위기를 풍기는..

perky님. 바나나피시를 위한 완벽한 날. 정말 이해하기 힘들었습니다. 무슨 말을 하려는건지 모르겠더라구요. 전 저만 못 알아듣나 싶었는데 님과 마찬가지라서 저 역시 위안이 됩니다.^^

솜주먹님. 음..번역에따라서도 느낌이 많이 달라지죠. 하지만 누가 번역을 어떻게 했건간에 저는 J.D.샐린저와는 코드가 안맞는것 같습니다. 저에게도 님처럼 재밌었으면 좋으련만...

LAYLA님. 전 뭐 지루한 정도는 아니었는데요. 이 단편집은 정말이지 읽으면서 대체 내가 이걸 왜 읽나 싶었습니다.^^ 호밀밭도 지루하셨다면 이건 안보시는게 좋을것 같아요.^^

seamrh 2005-01-16 13: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호밀밭 최고였다고 생각되는데...세상 참 넓군요...
어떤 작품이 좋으셨는지???? 궁금합니다....

플라시보 2005-01-16 15: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seamrt님. 저도 호밀밭이 아주 나쁜건 아니었습니다만. 최고의 작품이라고 생각될 만큼 대단한건 아니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리고 그건 어디까지나 제 개인적인 기준에서 그런것이고 실제로는 대단한 작품이겠죠. 그러니까 아직까지도 꾸준하게 읽히는거구요. 다만 모두를 만족시키는 완벽한 작품은 없지 않나 싶습니다. 세상은 넓고 취향은 다향하니까요^^ 어떤 작품이 좋았냐구요? 흐흐. 제 서재에 들락거리셨으면 아시겠지만 저는 재밌는 작품들을 좋아합니다.

사사 2005-01-20 16: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과대 평가라기보단, 샐린저효과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전략적이라는 게 대다수로 몰리고 있는 요즘입니다.

플라시보 2005-01-20 17: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류님. 뭐 그럴수도 있겠군요. 그런데 샐린저 효과라는게 정확하게 뭘 말하는거죠? 위에 제가 언급한 사건 말고 다른게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