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렌스 맬릭 감독이 필름 위에 새긴 21세기형 '실락원'이랄까. 같은 얘기를 가지고 디즈니 스튜디오에선 애니메이션 [포카혼타스]를, 테렌스 맬릭은 이렇게 사색적인 영화를 만들었다. (디즈니의 [포카혼타스]가 나빴단 얘긴 아니다. 역사 왜곡 논란에도 불구, 나는 [포카혼타스]가 [인어 공주]나 [라이온 킹] 같은 당대 디즈니 애니에 뒤지지 않는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2005년작 [뉴 월드]는 영적 층위와 현상적 층위에서 모두 해독 가능한, 자연과 인간을 그리며 노래하는 영화다.
이 영화가 미국 건국 초기 유럽인들의 신대륙 개척 혹은 식민화에 대한 영화일까? 사실 영화 초반엔 꽤 많은 부분을 영국에서 온 개척자들과 원주민들의 대립과 전투 묘사에 쏟고 있기도 하다. 작품을 정치적 알레고리로 접근해도 별 무리는 없을 성싶다. 예컨대 영국인 스미스 선장(콜린 파렐 扮)이나 존 롤프(크리스찬 베일 扮) 두 남성을 유럽 식민국으로, 원주민 포카혼타스(코리언카 킬쳐 扮)를 미지의 개척지로 환원하는 식의 해석도 합당할 수 있다는 말이다. 허나 아련한 느낌 몇 가닥 쥔 채로 감상을 마친 시점에서 그렇게까지 작품을 난도질해가며 박제하고 싶지 않다. 이건 무엇보다 언어와 문화가 다른, 서로 혼(魂)으로 소통한 두 남녀에 대한 애틋한 전설이다. 그들이 주고받은(혹은 그랬어야 했을) 사랑이라는 의식과 기억에 대한 영화이고 우리가 지니고 있었으나 지금은 잊혀진 태초의 기억, 그 원형에의 노스텔지어에 대한 영화다.
표면적으론 가슴 아픈 사랑 영화이나 그 이전에 자연의 영화다. 테렌스 맬릭 감독의 카메라는 작품 대부분을 인간을 품은 대지와 강, 바다, 나무와 하늘을 담는 데에 할애하고 있다. 여러 서적과 영화들로 전해졌듯, 여기 신대륙 원주민들은 세상만사 모든 것을 자연과 영혼의 맥락에서 생각하고 말하고 행한다. 그런 순수하고 평온한 기운이 포카혼타스라는 여주인공의 시선과 독백을 통해서 영상에 고스란히 배어난다. 그녀가 삶을, 타자를, 세계를 마주하는 태도는 스미스나 존의 그것과 대비되면서 그들을 온전히 품어낸다.
이 영화는 또한 한 여인의 행적보다 그 내면에 치중한 시적인 일대기라고도 할 수 있다. 언어가 통하지 않는 스미스 선장과 마음의 대화로 사랑을 속삭이던 원주민 족장의 딸 포카혼타스에서 다른 남자 존의 아내가 되어 가정을 이룬 영국 부인 레베카로 살다 간 여인. 죽은 줄로만 알았던 스미스와의 재회, '당신과의 사랑이 한낱 꿈인 것 같았는데 그 사랑만이 진실이었다'는 그 앞에서 조용히 아쉬움을 묻고 자신의 자리로 돌아와 모든 주변 사물과 사람들을 포용하며 초연히 죽음을 맞게 되는 그녀를 카메라는 시종 자연의 품성과 연계하여 우리 기억 저편의 잊혀진 대륙, 아메리카 신대륙 아닌 본연의 '신세계'로서 두 시간 넘게 응시하고 있었다.
광활한 대지와 대기의 순환을 고즈넉하게 담아낸 영상이, 심금을 울리는 제임스 오너의 음악이, 배우들의 흔들리던 눈빛과 서로 마음으로 주고받던 대화들이 잊혀지지 않는다. 같은 주제라도 내겐 [트리 오브 라이프]의 고양된 간증보다 [뉴 월드]에서 나지막히 속닥이던 사랑의 넋두리, 아련한 향수(鄕愁)의 읊조림이 더 간절히 와닿았다. 아직도 작품에서 전해지던 감정의 떨림, 그 여진에 가슴 먹먹하다. (★★★★☆)
P.S. 인디언 말로 '포카혼타스'는 작은 장난꾸러기란 뜻을 담고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