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타적 유전자
매트 리들리 지음, 신좌섭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0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회는 이성에 의해서 고안된 것이 아니라 인간 본성의 일부로서 진화되어 왔다. 사회는 인체와 마찬가지로 인간 유전자의 진화적 산물이다.  -본문 중에서 -

 

리처드 도킨스의 저작 [이기적 유전자 The Selfish Gene]에 대응되는 제목을 붙인 이 책의 핵심은 무엇인가. 유전자의 이기성 내지 이해관계에 의해 '진화적으로 안정화된 전략(evolutionary stable strategy)'이 추동되어 개체, 군집 단위의 이타주의 성향이 형성된다는 '이기주의적 이타주의'에 다름 아니다. 즉 이기적인 유전자와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현하는 이타적인 인간성의 아이러니를 이미 언급하고 규명한 [이기적 유전자]의 주제에 주류 인문·사회과학적 해제를 덧붙인 동어반복인 셈. 따라서 원제가 '德의 기원(The Origins of Virtue)'인데 '이타적 유전자'로 명명한 번역/출판 의도는 '이기주의'에 대한 또 다른 역설적 표현이어서 흥미로우나 다분히 선정적이며 이기적 유전자론의 본질을 곡해할 수도 있는 위험한 발상이라고 생각된다. 내겐 결정적인 감점 요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