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파도가 인기라면서, 그 주인공들의 젊은 시절 사진을 올린 것을 보았다. 김형자, 김수미, 김을동, 여운계. 누구나 젊을 땐 다 이쁘기 때문에 어떻게 곱게 늙을 것인가가 중요한 것이라는 교훈을 준다.
영국 텔레비젼 프로그램들을 보면서 느낀 것은 정말 다양한 연령층을 다 포섭하고 있다는 것이다. 시청자로서가 아니라 출연자로서 말이다. 이렇게 중년, 장년, 노년층이 많이 나오다니 처음에는 그게 무척 낯설었다.
뉴스 진행자나 토크쇼 진행자야 그렇다 치더라도, 아니 왜 드라마에 이쁜 여자가 안나오는 거야. 예를 들어 몇십년을 하고 있다는 Eastender의 경우 1/4 할머니, 할아버지, 1/4 아저씨, 아줌마, 1/4 별로 안이쁜 젊은이, 1/4 어린이. 상황이 이렇다. 내용도 어찌 이리 꿀꿀한지.
근데, 자꾸 보다보니깐 이게 적응이 되면서, 친근감마저 드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다양한 그룹을 다 다룬다는 것에서 일종의 문화적 성숙도를 느꼈다. 소외되는 계층이 없는 것이다. 실제 사회에서 없다는 것이 아니라 드라마에서 말이다.
노인들이 느끼는 외로움 등은 영국도 마찬가지인데, 그것을 한국의 이쁜 드라마들에서처럼 싹뚝 아예 없는 양 하는 것이 아니라 꿀꿀하더라도 그 소외 계층의 애환을 드라마로 그려내고 있다. 일일 드라마에서 매일 매일.
여기도 젊고 아름다운 외모에 대한 갈망이야 남이야기가 아니다. 10년을 젊게 해준다는 프로그램에서는 응모자에게 성형, 화장, 머리손질, 의상 등 네분야에 걸쳐서 전체적인 개혁을 시켜주는 것이 공공연히 나온다. 이뻐지려고 노력하는 것은 자아존중감 회복 차원에서 당연한 것이란 인상을 준다.
그럼에도 특히 여자 연기자들의 경우 나이가 들어도 한국보다는 활약할 공간이 다양해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한국도 마파도의 예처럼 더욱 다양한 무대가 생산되기를 기원해본다. 내공 쌓인 한국 여자 배우님들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