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먼카인드 (리커버 특별판) - 감춰진 인간 본성에서 찾은 희망의 연대기
뤼트허르 브레흐만 지음, 조현욱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Humankind, all people as a group.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에 대한 오해는 많다. 2-30년 전까지만 해도 네안데르탈인이 호모 에렉투스로 진화한 후 호모 사피엔스를 지나 현생인류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가 되었다고 믿었다. 알고보니 네안데르탈인(=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는 진화가 되지 않은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가 아닌 인간동물 중 하나인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라는 또 다른 종이었다. 호모 에렉투스 또한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에서 호모 사피엔스로 진화하는 과정에 있던 인류의 조상이 아닌 신생대 제4기 홍적세에 살던 멸종된 화석인류이며, 160만 년 전부터 25만 년 전까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던 또 다른 인류라고 추정된다.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와 호모 에렉투스의 멸종에는 여러 가설이 있고 현생인류의 조상 호모 사피엔스에게 멸종당했다는 주요 가설 중 하나였다. 인류는 스스로를 믿지 않고 성악설로서 존재를 설명하고 있었다. 성악설로 인류를 설명하려는 이유는 아마 끊이지 않는 전쟁과 범죄현상 때문이 아닐까 생각된다. 전쟁 시 군인이 직접 사람을 죽인 것보다 비대면으로 공중에서 폭탄 등을 떨어뜨려 죽은 사람의 수가 훨씬 더 많으며, 범죄율과 범죄로 인한 사망자는 사회가 고도로 발달될 수록 줄어들고 있지만 인류는 왜 스스로를 믿지 못 하고 성악설에 빠져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네덜란드의 저널리스트 퀴트허르 브레흐만은 휴먼카이드를 통해 성선설의 역사적 사실을 증명하고 있다. 윌리엄 골딩은 청소년기를 벗어나지 못한 남성 집단을 무인도에 가두었을 때, 야만적이고 폭력적으로 변한다는 내용의 소설, 파리대왕을 집필하고 문학상을 받았지만 그것이 현실 버전은 전혀 다르다. 1965년 태평양 무인도에 표류된 6명의 소년은 매우 평화적인 사회를 구성하며 업무를 체계적으로 나누며 18개월동안 살아남았고 1966년 근처를 지나던 선박에 구출된다. 우리는 현실적인 성선설은 외면하고 상상으로 빚은 성악설인 파리대왕만을 쫒는 이유는 무엇일까?

정말 많은 수의 사람이 인간은 이기적인 동물이기 때문에 경제적 보상 혹은 처벌만이 일을 시킬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이라고 믿는다. 성악설이 진실이라면 경제적 보상이 적더라도 사회적으로 의미있는 직업(사회복지사 등)을 선택하거나 처벌을 받을 수 있음에도 다른 사람을 돕는 행동(미국 노예제 당시 목화를 적게 따면 채찍질을 당할 수 있음에도 자신이 딴 목화를 다른 사람과 나누는 행위 등)을 한 사람에 대해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인간동물은 이기적일 수 있다. 모든 동물은 이기적이어야만 살아남을 수 있지만 인간동물이 간과한 것이 있다. 인간동물이 아니더라고 고도의 지능을 가지고 사회적으로 발달한 동물(코끼리, 돌고래 등)이라면 '이기적'만으로 행동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돌고래는 집단으로 살아가는 동물인데 집단 내 나이가 어린 암컷 돌고래가 처음 출산을 하면 같은 집단 내 이미 출산을 경험해본 다른 암컷 돌고래 무리가 출산을 돕는다. 코끼리 또한 모계사회체제를 갖추고 있으며 공동육아를 하는 현상이 관찰된다. 인간동물 역시 돌고래, 코끼리와 마찬가지로 사회적이며 고도의 지능을 갖춘 동물이니 성악설에 근거한 '이기적'인 선택이 스스로에게 불리한 선택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본능적으로 알고있을 것이다.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가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나 호모 에렉투스와 달리 멸종하지 않고 남아있는 이유는 사회화가 가능하게 스스로를 '길들였기' 때문이라는 주장은 매우 흥미롭다. 인간은 성선설, 성악설이라는 이분법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본능과 별개로 사회적으로 살 수 있는 선택을 한 것 일수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휴먼카인드 (리커버 특별판) - 감춰진 인간 본성에서 찾은 희망의 연대기
뤼트허르 브레흐만 지음, 조현욱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Humankind, all people as a group.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에 대한 오해는 많다. 2-30년 전까지만 해도 네안데르탈인이 호모 에렉투스로 진화한 후 호모 사피엔스를 지나 현생인류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가 되었다고 믿었다. 알고보니 네안데르탈인(=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는 진화가 되지 않은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가 아닌 인간동물 중 하나인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라는 또 다른 종이었다. 호모 에렉투스 또한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에서 호모 사피엔스로 진화하는 과정에 있던 인류의 조상이 아닌 신생대 제4기 홍적세에 살던 멸종된 화석인류이며, 160만 년 전부터 25만 년 전까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던 또 다른 인류라고 추정된다.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와 호모 에렉투스의 멸종에는 여러 가설이 있고 현생인류의 조상 호모 사피엔스에게 멸종당했다는 주요 가설 중 하나였다. 인류는 스스로를 믿지 않고 성악설로서 존재를 설명하고 있었다. 성악설로 인류를 설명하려는 이유는 아마 끊이지 않는 전쟁과 범죄현상 때문이 아닐까 생각된다. 전쟁 시 군인이 직접 사람을 죽인 것보다 비대면으로 공중에서 폭탄 등을 떨어뜨려 죽은 사람의 수가 훨씬 더 많으며, 범죄율과 범죄로 인한 사망자는 사회가 고도로 발달될 수록 줄어들고 있지만 인류는 왜 스스로를 믿지 못 하고 성악설에 빠져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네덜란드의 저널리스트 퀴트허르 브레흐만은 휴먼카이드를 통해 성선설의 역사적 사실을 증명하고 있다. 윌리엄 골딩은 청소년기를 벗어나지 못한 남성 집단을 무인도에 가두었을 때, 야만적이고 폭력적으로 변한다는 내용의 소설, 파리대왕을 집필하고 문학상을 받았지만 그것이 현실 버전은 전혀 다르다. 1965년 태평양 무인도에 표류된 6명의 소년은 매우 평화적인 사회를 구성하며 업무를 체계적으로 나누며 18개월동안 살아남았고 1966년 근처를 지나던 선박에 구출된다. 우리는 현실적인 성선설은 외면하고 상상으로 빚은 성악설인 파리대왕만을 쫒는 이유는 무엇일까?

정말 많은 수의 사람이 인간은 이기적인 동물이기 때문에 경제적 보상 혹은 처벌만이 일을 시킬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이라고 믿는다. 성악설이 진실이라면 경제적 보상이 적더라도 사회적으로 의미있는 직업(사회복지사 등)을 선택하거나 처벌을 받을 수 있음에도 다른 사람을 돕는 행동(미국 노예제 당시 목화를 적게 따면 채찍질을 당할 수 있음에도 자신이 딴 목화를 다른 사람과 나누는 행위 등)을 한 사람에 대해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인간동물은 이기적일 수 있다. 모든 동물은 이기적이어야만 살아남을 수 있지만 인간동물이 간과한 것이 있다. 인간동물이 아니더라고 고도의 지능을 가지고 사회적으로 발달한 동물(코끼리, 돌고래 등)이라면 '이기적'만으로 행동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돌고래는 집단으로 살아가는 동물인데 집단 내 나이가 어린 암컷 돌고래가 처음 출산을 하면 같은 집단 내 이미 출산을 경험해본 다른 암컷 돌고래 무리가 출산을 돕는다. 코끼리 또한 모계사회체제를 갖추고 있으며 공동육아를 하는 현상이 관찰된다. 인간동물 역시 돌고래, 코끼리와 마찬가지로 사회적이며 고도의 지능을 갖춘 동물이니 성악설에 근거한 '이기적'인 선택이 스스로에게 불리한 선택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본능적으로 알고있을 것이다.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가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나 호모 에렉투스와 달리 멸종하지 않고 남아있는 이유는 사회화가 가능하게 스스로를 '길들였기' 때문이라는 주장은 매우 흥미롭다. 인간은 성선설, 성악설이라는 이분법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본능과 별개로 사회적으로 살 수 있는 선택을 한 것 일수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휴먼카인드 (리커버 특별판) - 감춰진 인간 본성에서 찾은 희망의 연대기
뤼트허르 브레흐만 지음, 조현욱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Humankind, all people as a group.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에 대한 오해는 많다. 2-30년 전까지만 해도 네안데르탈인이 호모 에렉투스로 진화한 후 호모 사피엔스를 지나 현생인류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가 되었다고 믿었다. 알고보니 네안데르탈인(=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는 진화가 되지 않은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가 아닌 인간동물 중 하나인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라는 또 다른 종이었다. 호모 에렉투스 또한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에서 호모 사피엔스로 진화하는 과정에 있던 인류의 조상이 아닌 신생대 제4기 홍적세에 살던 멸종된 화석인류이며, 160만 년 전부터 25만 년 전까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던 또 다른 인류라고 추정된다.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와 호모 에렉투스의 멸종에는 여러 가설이 있고 현생인류의 조상 호모 사피엔스에게 멸종당했다는 주요 가설 중 하나였다. 인류는 스스로를 믿지 않고 성악설로서 존재를 설명하고 있었다. 성악설로 인류를 설명하려는 이유는 아마 끊이지 않는 전쟁과 범죄현상 때문이 아닐까 생각된다. 전쟁 시 군인이 직접 사람을 죽인 것보다 비대면으로 공중에서 폭탄 등을 떨어뜨려 죽은 사람의 수가 훨씬 더 많으며, 범죄율과 범죄로 인한 사망자는 사회가 고도로 발달될 수록 줄어들고 있지만 인류는 왜 스스로를 믿지 못 하고 성악설에 빠져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네덜란드의 저널리스트 퀴트허르 브레흐만은 휴먼카이드를 통해 성선설의 역사적 사실을 증명하고 있다. 윌리엄 골딩은 청소년기를 벗어나지 못한 남성 집단을 무인도에 가두었을 때, 야만적이고 폭력적으로 변한다는 내용의 소설, 파리대왕을 집필하고 문학상을 받았지만 그것이 현실 버전은 전혀 다르다. 1965년 태평양 무인도에 표류된 6명의 소년은 매우 평화적인 사회를 구성하며 업무를 체계적으로 나누며 18개월동안 살아남았고 1966년 근처를 지나던 선박에 구출된다. 우리는 현실적인 성선설은 외면하고 상상으로 빚은 성악설인 파리대왕만을 쫒는 이유는 무엇일까?

정말 많은 수의 사람이 인간은 이기적인 동물이기 때문에 경제적 보상 혹은 처벌만이 일을 시킬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이라고 믿는다. 성악설이 진실이라면 경제적 보상이 적더라도 사회적으로 의미있는 직업(사회복지사 등)을 선택하거나 처벌을 받을 수 있음에도 다른 사람을 돕는 행동(미국 노예제 당시 목화를 적게 따면 채찍질을 당할 수 있음에도 자신이 딴 목화를 다른 사람과 나누는 행위 등)을 한 사람에 대해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인간동물은 이기적일 수 있다. 모든 동물은 이기적이어야만 살아남을 수 있지만 인간동물이 간과한 것이 있다. 인간동물이 아니더라고 고도의 지능을 가지고 사회적으로 발달한 동물(코끼리, 돌고래 등)이라면 '이기적'만으로 행동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돌고래는 집단으로 살아가는 동물인데 집단 내 나이가 어린 암컷 돌고래가 처음 출산을 하면 같은 집단 내 이미 출산을 경험해본 다른 암컷 돌고래 무리가 출산을 돕는다. 코끼리 또한 모계사회체제를 갖추고 있으며 공동육아를 하는 현상이 관찰된다. 인간동물 역시 돌고래, 코끼리와 마찬가지로 사회적이며 고도의 지능을 갖춘 동물이니 성악설에 근거한 '이기적'인 선택이 스스로에게 불리한 선택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본능적으로 알고있을 것이다.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가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나 호모 에렉투스와 달리 멸종하지 않고 남아있는 이유는 사회화가 가능하게 스스로를 '길들였기' 때문이라는 주장은 매우 흥미롭다. 인간은 성선설, 성악설이라는 이분법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본능과 별개로 사회적으로 살 수 있는 선택을 한 것 일수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팩트풀니스 - 우리가 세상을 오해하는 10가지 이유와 세상이 생각보다 괜찮은 이유
한스 로슬링.올라 로슬링.안나 로슬링 뢴룬드 지음, 이창신 옮김 / 김영사 / 2019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Factfulness는 제목답게 Fact로 조지는 책이다. Factfulness는 '사실 충실성, 사실 충족성'으로 번역이 되는데 사실에 근거하여 세상 바라본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우리는 사실이 아닌 편협한 시각, 공간지각능력, 인식으로 세상을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저자가 굳이 Factfulness라는 단어를 책 제목으로 선택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한국에서도 공연이 된 적이 있는 오프 브로드웨이 뮤지컬 'SEE WHAT, I WANNA SEE'의 제목처럼 대부분의 사람은 사실에 기반하여 세상을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내가 보고 싶은 것 위주로 정보를 받아들이고 있다. 재미있는 부분은 유럽/북미권 사람 보다 아시아/아프리카 사람이 사실을 기반으로 세상을 인지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이 사실은 여러 이유에서 기반하였다. 저자 한스 로슬링이 관련 내용으로 강의를 할 때 유럽/북미권 사람은 아직도 서구권 중심으로 사고하며, 서구권이 다른 문화권보다 비교적 더 발달하고. 비교적 더 잘 살고 있으며, 비교적 더 우월하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었다. 이런 우월성은 과거 세계 2차대전 이후 서구 문화권이 아시아 문화권이나 아프리카 문화권에 비하여 GDP가 높았으며, 영아사망률이나 경제지표 같은 통계가 더 긍정적으로 나왔다는데서 기반하였다.

하지만 지금은 2023년이다. 전반적으로, 전지구적으로 경제성장이 되었고 그러다보니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소득수준이 높아졌다. 물론 아직도 1달러 미만으로 생계를 유지하고 있는 절대빈곤선에서 살고 있는 사람이 존재하지만 대부분의 나라에서 빈곤문제는 절대빈곤이 아닌 상대빈곤 때문에 나타난다. 개발도상국의 경제 성장으로 인하여 환경오염이 가속화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유럽/북미권의 1인당 탄소 배출량이 개발도상국의 1인당 탄소 배출량보다 더 많은 것도 '사실'이다. 지구온난화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개발도상국의 경제 성장을 완화시키는 것보다 개발도성국이 탄소 배출을 적게 할 수 있는 경제성장모델을 만들면서, 유럽/북미권의 1인당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 또한 중요하다.

우리가 원하는 각종 데이터와 통계는 WHO, UN 등과 같은 기관에서 이미 조사를 하고 매년 통계자료가 나온다. 한 국가의 자료 또한 통계가 나오고 한국의 경우 한국통계진흥원에 들어가면 현재 인구수, 인구변화 추이, 출생률, 사망률에서부터 1년 동안 도축된 가축의 마리 수, 각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유기동물보호소에 버려진 반려동물의 숫자와 종류 또한 알 수 있으며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다. 통계에 오류와 허점이 있을 수 있지만 전반적인 사실에 대한 팩트체크는 가능한 시대인 것이다. 이 글을 읽는 당신이 어떤 사상과 신념으로 세상을 살아가는지 나는 알 수 없지만 한 번 옳다고 믿는 생각을 어떤 근거자료를 가지고 와도 바꾸지 않는 확증편향으로 세상을 바라본다면 세상을 제대로 바라볼 수 없을 것이다. 팩트풀니스는 확증편향이 아닌 사실 충실성으로 세상을 보고 받아들이라고 한다. 사실충실성에 입각해서 세상을 바라보고 일을 한다면 세상은 보다 진보적이고 긍정적인 곳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사랑한 유럽의 도시 - 4가지 키워드로 읽는 유럽의 36개 도시
이주희 지음 / 믹스커피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직까지 유럽여행 계획은 없다. 스페인 발렌시아에서 1년을 살다가 돌아온 후, 코로나로 인하여 외국 여행은커녕 한국 여행도 쉽지 않았는데 유럽여행까지 생각할 겨를조차 없었다. WHO에서 코로나19가 시작되고 나서 3년 4개월만에 비상사태를 해제하고 사실상 종식 선언을 한 이후 외국으로 여행을 나가는 사람이 많아졌다. 국제유가 가격이 올라가고 경제가 나쁘다고는 말을 하지만 드디어 코로나19가 끝나고 자유를 느끼고 싶다는 사람의 심리는 어디나 비슷한다보다. 한국에도 지난 3-4년간 만나기 힘들었던 외국인 관광객이 부쩍 늘어난 느낌이니까.

'내가 사랑한 유럽의 도시'는 역사, 예술, 책, 휘게 라이프 스타일이라는 4가지 주제로 유렵의 도시를 소개한 책이다. 소개되어있는 도시 중 스페인 도시는 이미 가본적이 있지만 스페인 외 유럽지역은 여행으로 방문한 적이 거의 없어서 낯선 곳이었다. 사실상 나는 유럽여행이 아닌 스페인 여행을 했던 사람이니까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유럽여행'을 한 경험이 없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책에 소개되어있는 스페인 도시인 바르셀로나, 그라나다, 빌바오에 대한 글을 읽을 때, 여행 당시 느꼈던 공기의 향, 길바닥의 촉감이 생각나서 다시 여행을 가고 싶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였다. 스페인 외 갔었던 나라와 도시가 있는지 꼼꼼히 읽어보니 프랑스의 파리와 이탈리아의 베로나가 소개되어 있었다. 베로나에서는 2박 3일간 머물었는데 사실 하루면 둘러볼 수 있는 관광지보다는 루마니아 사람인 알렉산드로와 함께 사진을 찍으며 돌아다녔던 몇 시간의 기억이 더 좋았던 곳이었다. 로미오와 줄리엣의 도시 베로나지만 관광코스로 소개되어있는 줄리엣의 집에서 줄리엣의 오른쪽 가슴을 만지는 행동 대신 비가 오던 베로나의 거리를 걷는 것이 더 좋았다.

유럽여행 계획은 없어도 유럽여행 에세이는 읽을 수 있다. 다른 사람의 기억과 추억이 아닌 나의 기억과 추억으로 하나의 도시를 다르게 기억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