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들 먼로의 친절한 과학 그림책 - 간단한 단어로 설명하는 복잡한 것들
랜들 먼로 지음, 조은영 옮김 / 시공사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번에 이태원 한강진역에 있는 북파크에 다녀왔어요.

과학도서가 많이 있고 자리도 좋아서 가끔 찾아가는 서점 중에 하나랍니다.

당신이랑 가도 정말 재미있을 거 같아요~ 예술과 과학이 한 층에 있거든요. ㅋㅋ

 

저의 지금은 고쳐진 버릇 중 하나는 '전화 먼저 끊지 않기'에요.

이게 무엇이냐면, 전화통화를 하고 끊기 직전 마지막 인사를 하고 나면 상대가 끊지 전까지 전 계속 기다려요. 만약 아직 수화기를 들고 있는데 혹 갑자기 말할 게 생각나서 말을 하려고 입을 떼는 순간 갑자기 '뚝-' 소리가 나면 기분이 나빠지는 것까지는 아니지만 썩 좋지는 않더라구요. 그래서 매번 기다렸어요. 그럼 상대도 기다리다가 제가 안 끊으니깐 먼저 끊더라구요. 어떤 분은 개의치않고 바로 끊기도 하구요. ㅋㅋ

 

근데 어느 날 아는 언니와 통화하고 여느때처럼 기다리니까 저보고 왜 안끊냐고 묻어군요. 그래서 제 생각을 얘기했죠. 근데 그게 더 불편할 수도 있다고 하더라구요. 괜히 전화 오래 끌다가 전화비가 더 나올수도 있고 서로 계속 기다리다가 끊어 뭔가 이상해질 수도 있고 뭐..ㅋㅋㅋㅋ 그 언니의 결론은 오히려 서로 빨리 끊는게 좋다는 식으로 얘기하더라구요. 그때 제가 느낀 건 내가 좋은 의도로 한 행동도 상대에 따라서는 항상 좋지는 않다는 것이었어요.

 

저에겐 이 책이 그랬네요.

이 책이 나쁘다는 게 아니라, 저자가 원하는 독자가 제가 아니라는 것이지요.

우선 이 책은 정말로 친절해요. 너무 친절하게 설명을 해서 과학용어를 사용하지 않죠. 그래서 첫 장을 볼때는 이게 무엇을 설명하는 건가 잠깐 생각했었어요. ㅋㅋㅋㅋㅋㅋㅋㅋ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일상적인 단어들을 쓰면서 제가 참 창의력이 없다는 생각을 했어요. 뭔가 초등 교육에 활용하면 좋겠다는 생각도 했고..ㅋㅋ 나이 어린 친구들은 정말 재미있게 읽을 거란 생각을 했답니다.

 

벌써 가을이네요.

한때 참 친절했던 당신이 떠올라요. 물론 그 잠깐 이후는 뭐 노코멘트.

당신에게 이 책을 추천해요. 당신 닮은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짜 - 과학잡지 에피Epi 1호 과학잡지 에피 1
이음 편집부 지음 / 이음 / 2017년 9월
평점 :
절판


오랜만에 돌아왔지요? (부끄럽군요..)

 

다시 책을 잘 읽어보자는 마음가짐으로 요새는 과학철학이나 비평 등 과학스럽지 않은 과학도서를 주로 선정하여 읽고 있어요. 오늘 리뷰를 쓰게 될 '에피'는 알라딘에서 책 뭐살까~ 고르다가 색깔에 혹해서, 과학비평잡지여서, 창간호여서 도전(?)하게 되었답니다. 읽다가 맘에 안들면 팔아버리려고 접지도 않고 언제봐도 새책인양 깨끗하게 읽었는데 결론은 저와 평생을 함께하기로 했답니다. (저는 책을 사고 무슨 일이 나도 절대 절대 버리지 않을 책만 책장에 넣고 나머지는 팔아버려요.) 조만간 정기구독도 신청할 거에요!(10월은 돈을 많이 써서 11월에...)

잠깐 읽어야지, 하고 하루만에 다 읽었답니다! 그리고 저는 공부하는 입장이어서 일일이 인상깊은 구절들을 메모하면서 읽느라 반나절동안 읽었어요. 메모 정리한 게 A4용지로 6장정도 되네요. 그럼 저의 소중한 책, 에피를 당신에게 소개해드릴게요~

 

창간호를 펼치며 ; 과학비평을 위하여

5, 에피가 시도하는 과학비평에는 "과학의 이모저모를 따져보고 헤아려본다"정도의 뜻이 담겨 있습니다. 과학 이론을 검증하거나 기술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그 맥락과 의미와 가치를 살피는 작업입니다. ...과학과 기술이라는 인간의 조직적 활동을 이해하는 데에 초점을 둡니다.

네, 에피에 대해 이해가 조금 가시나요? 헤헷

에피, 에피 하다보니 로봇같기도 하고 정이 가네요. ㅋㅋ

 

창간호의 주제는 '가짜'에요. 과학철학을 공부하면서 창조론과 진화론 등에 관심이 가면서 가짜 과학에 대해 계속 궁금하던 상황이어서 그런지 창간호 에피에 푹 빠져서 정기구독까지 이어졌다니...이 센스있는 에피 :) 그럼 에피의 내용 중 창조론과 관련되어 메모한 것 공개합니다!

'창조과학'은 가짜 과학인가?

과학이란 무엇인가?

-포퍼의 반증주의: 반증이 가능해야 과학적 진술, 끊임없는 비판

-쿤의 패러다임: 과학은 비판적 작업임과 동시에 순응적 활동, 과학은 이론에 기반한 활동

-파이어아벤트의 무정부주의: 과학에는 뭔가 특별한 것이 있는 것도 아니며 점성술도 과학이라고 할 수 있다. 가능한 한 다양하고 참신한 가설들을 어떠한 제약도 없이 증식시키는 것이 과학을 과학답게 만드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러커토시의 연구 프로그램: 과학 활동의 독단적 요소는 견고한 핵이고, 보조 가설들의 약간의 수정으로 반례를 해결한다. 하지만 해결이 안될 때는 혁명 비슷한 것이 일어나며 이 과정에서 새로운 사실들도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이정도의 잠재력을 가진 이론이 과학이다.

창조론은 진짜 과학인가?

-파이어아벤트: 참신성과 다양성이 중요! 창조론도 과학이다.

-포퍼: 창조론은 반증가능하지 않다.

-: 창조론은 패러다임을 가지지 않는다.

-러커토시: 진화론은 진보적인 연구 프로그램이다. 반례들을 잘 처리해왔고 새로운 예측도 많이 해냈으며 많은 것들을 입증했다. 하지만 창조론은 새로운 예측이라고 내놓을 수 있는 게 전무하다. 창조론은 사이비 과학이다.

 

모두라고 할 수 없지만, 많은 과학자들이 자신의 과학에 대한 생각을 가지고 창조론은 과학이 아니라고 주장했어요. 저도 창조론이 과학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게 근거없이 '신'으로만 설명해서라고 여겨왔었거든요.

 

그렇다면 가짜는 무조건 배척해야 할까요? 진짜와 가짜를 가르는 역할을 과학이 제대로 수행하는 건가요? 좋은 기준이 될까요? 가짜는 거짓인가요? 지금 가짜일지라도 언젠가는 변하지 않을까요?

 

앞으로 책을 더 많이 읽으면서 저의 복잡하고 어지럽혀져 있는 창고같은 생각을 정리해나가고 싶어요.

 

세상엔 과학같지만 과학이 아닌, 어쩌면 과학일수도 있는..음.. 과학이지만 과학 아닌, 과학 같은 어떤 것들이 있지요. 그게 무엇인지 판단할 때에는 목소리 큰 누군가의 의견을 따르는 것도 좋지만 무엇보다도 자신의 신념을 가지고 주관적인 판단을 하는 것도 나에 대해 표현하는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해요.

 

 

당신은, 진짜인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녕하세요. :)
오늘의 시음기의 대상은 바로 이름도 예쁜 백사계 15년 천량차입니다!
 
20171013_102450.jpg
 
차를 마신 전날, 친구로부터 (다시백이 아닌!)티백을 선물받았어요!
그래서 티백으로도 중국차를 편하게, 맛있게 마실 수 있는지 시험(?)해보았답니다~
 
20171013_102548.jpg
 
이렇게 쏘옥 넣었구요,
 
20171013_102601.jpg
 
20171013_102658.jpg
 
건잎은 줄기와 잎이 다 보이고 약간의 훈향이 느껴져요.
줄을 잘 잡아당기면 저렇게 파우치처럼 닫힌답니다!
꼬리표까지 있으니 완전 고급진 중국차 티백이 되었어요!
 
 
[백사계 15년 천량차]
 
1포당 300mL / 100/ 티백 사용 / 5g / 윤차 1/ 아리수
 
차를 우린 후, 잎의 냄새를 맡아보면 훈연향에 약간의 바다 냄새가 섞인듯한 느낌이 들어요.
 
45초 / 90초 / 120초 / 180초 / 300초
 
20171013_103144.jpg
 
20171013_111818.jpg
 
20171013_163541.jpg
 
20171013_173017.jpg
 
20171013_173021.jpg
 
 
 이렇게 5회 우려서 마셔보았구요, 1포당 물의 양이 개완보다 많아서 처음부터 오래 우리긴 했지만
제 입맛으로는 조금 더 진하게 마실 때 더 차가 감칠맛이 있었어요.
 
처음 우린 것을 먹어 본 느낌을 얘기해보자면,
약하게 점성이 느껴지고 목넘김 부드러워요.
묵직한 바디감이 느껴지진 않지만 마지막 남는 단맛에 감칠맛이 느껴집니다.
그리고 마시고 나서 사알짝 민트 느낌의 시원함이 있어서 신선했어요!
제가 원래 민트향을 전혀 안좋아하는데 (그 치약 맛을 선호하지 않습니다..)
이 차에서 느껴지는 시원함은 민트라기보다는 약간 쏴~한 느낌이어서 거부감이 들지 않았어요.
 
포다수가 많아질수록 점점 부드러워지고 마무리가 깔끔하게 되어서 신선한 첫느낌에 마지막 느낌까지 너무 좋았답니다. ;)
300mL씩 마시면 제 경우엔 진하게 3번 정도 마시면 딱이에요!
 
이렇게 티백을 사용해도 맛있게 즐길 수 있는 유연함을 가진 중국차, 그리고 백사계 15년 천량차!
꼭 이 차만 즐기는 게 아니라 모든 차를 생활화하는 습관을 가지면 아무리 바쁘고 지치고 힘들어도(ㅠㅠ)
마음은 안정되게 다스릴 수 있게 조절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그걸 느끼고 있구요.
 
다구가 없어서 중국차를 마시기 망설이셨던 분들, 티백 사용을 적극 권장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파인만 씨, 농담도 잘하시네! 1 리처드 파인만 시리즈 4
리처드 파인만 지음, 김희봉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0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고 리처드 파인만은 기꺼이 나의 이상형이 되어 주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의 차는 백사계 16년 천첨차입니다!
연휴가 있어서 여유롭게 차를 마실 수 있어 좋은 시간들이었습니다. :)
20171006_205041.jpg
 
친구의 친구가 직접 만든 앙금쿠키와 함께 하였습니다.
가끔 전 다과 먹기 위해 차를 마시는 것 같기도 하네요 ㅠ
 
20171006_205329.jpg
 
마른 찻잎입니다.
 
수돗물 / 90mL / 찻잎 5g / 개완/ 거름망 없음 / 1회 세차
 
20171006_210302.jpg
 
1~3포차 사진입니다. (4~6차는 사진 수정되는데로 올리겠습니다.)
 
30초 / 40초 / 55초 / 75초 / 90초 / 115초
 
전반적으로 마시면서 훈제향이 나고 약간 짭조롬한 맛이 납니다.
이것도 역시 오래 우린 녹차맛처럼 약간의 씁쓸한 맛으로 마무리됩니다.
포다수가 많아질수록 짠맛은 줄고 구수한 맛이 커집니다.
마실수록 점점 맛있어지는 차라고 생각합니다!
 
20171006_210014.jpg
 
이렇게 다과와 함께 즐겨도 맛있어요!
차 마시는 여러 즐거움 중엔 이런 즐거움도 있지요!*_*
 
 
20171006_211726.jpg
 
그윽한 향이 나는 입저입니다.
 
 
구수한 감칠맛이 돌고 마시고나면 몸이 노곤노곤하고 편해지는 것이
편안하고 건강한 잠을 자는 데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하루 종일 피곤했던 오늘 저녁엔 16년 천첨차 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