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인간 - 제155회 아쿠타가와상 수상작
무라타 사야카 지음, 김석희 옮김 / 살림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추웠다. 바싹 말라버린 낙엽처럼 물기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주인공의 감정선을 따라가자니 으스스 한기가 스며드는 것만 같았다. 한편으로는 무서웠다. 소설 속에서 그려지는 감성이 소설 밖으로 튀어나와 우리 사회의 바탕으로 채색될 것만 같아서.

 

무채색을 연상케 하는 소설에서 나는 무성 영화 한 편을 떠올렸다. 처음에는 그냥 웃겼던, 우스꽝스러운 몸짓으로 뒤뚱거리며 눈에 띄는 무엇이든 두 손으로 조이는 모습에 가벼운 코미디 영화려니 여겼던 영화 <모던 타임즈>. 영화가 전하려 한 메시지를 깨닫게 된 것은 그로부터 한참을 지나서였다. 제대로 된 해석과 함께 듣게 된 의미는 전혀 다른 영화를 접한 듯 강렬한 인상으로 다가왔다. 공장 노동자로 나사 조이는 일을 하며 거대한 기계의 한 부품으로 전락해버린 주인공 채플린은 자본주의의 체제 안에서 소외되는 인간의 대표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이 영화가 제작된 시기는 1936년이다. 그로부터 80여년이 지났건만 상황은 별반 달라지지 않은 듯하다. 인공 지능을 가진 새로운 로봇이 등장한다는 기사들이 쏟아지는 세상이다. 인간이 설 자리가 점점 좁아져간다는 조바심을 지울 수가 없다. 과학과 체제의 발달 속에 인간의 존재는 하나의 부속품으로 함몰되어가는 것은 아닐까 염려스럽다.

 

소설이 주는 느낌 역시 영화와 비슷한 패턴을 그린다. 처음에는 술술 읽히고 주인공의 엉뚱한 생각에 피식 웃음이 담겼던 책장이 후반부로 갈수록 느리고 무겁게 넘어간다.

편의점 알바로 살아가는 서른여섯의 주인공 후루쿠라. 그녀의 신체 리듬부터 모든 생활 패턴은 편의점의 시스템에 최적화되어 버린다. 편의점의 일부가 되어버린 듯 그녀에게 인간으로서 지녀야 할 감성은 찾아보기 어렵다. 식사를 먹이라고 표현하는 모습이 날카롭게 아프다.

 

틈만 나면 우리 시대가 조몬 시대와 다를 바 없다고 말하는 시라하 씨와 함께 그녀는 소위 비주류에 속하는 인물이다. '정상 세계는 대단히 강제적이라서 이물질은 조용히 삭제된다. 정통을 따르지 않는 인간은 처리된다.'(p98) 섬뜩한 문장이다. 주류는 옳고, 비주류는 그렇지 않은 것인가. 바람직한 삶이란, 보통의 삶이란 무엇인가. 나와는 다른 삶이라고 타인의 삶을 배재하고 비난하고 간섭할 권리가 있는가. 나는 주류일까, 비주류일까. 안정적이라고 믿어왔던 삶에 대한 기준이 살짝 흔들린다.

 

인간의 ()’이란, 서로 기댈 수 있는 존재여야 하고, ‘()’이란, 그 사이에 흐르는 따스한 감성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나의 삶은 인간다움으로부터 얼마나 가까이 근접하여 나아가고 있는가? 이 질문에 대해 자신 있고 경쾌하게 답변하지 못하겠다. 인간다운 삶을 살아가야 한다고, 다른 사람들의 삶 역시 소중한 것임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되는 책이다. 의미 있는 무거움을 준다. 인간은 무거운 존재라는.


댓글(9)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장소] 2016-12-26 21: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누가 세운 기준의 세상인지 , 또 뭐가 옳은 삶인지 생각이 많아지더라고요 . 제대로 리뷰 해봐야지 ㅡ 하면서 , 미루고 있어요 . 일단 농담처럼 써놓은걸 괜히 성급하게 정리했다고 ..후회했네요 . 오래 오래 생각하게하는 책였어요. 좋은 리뷰 잘 읽고 갑니다. 12월 남은 날들도 화이팅 하시길 바랍니다. 굿굿하게!^^

나비종 2016-12-26 21:54   좋아요 1 | URL
독서모임에서도 꽤나 많은 생각들이 오고 갔어요. 급하게 감상문을 쓰느라 책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절반 정도만 파악한 듯한 찜찜함이 있지만, 모임 속에서 이야기를 주고 받으면서 제가 내린 결론은 두 가지예요.
시스템과 관계요. 제 감상문에서는 주로 시스템을 말했지만, 편의점 밖에서 주인공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관계들도 많은 생각을 하게 하더라구요. 과연 보통의 삶이란 것이 존재하기는 할까요? 제 삶을 비추어보았을 때, 어떤 면에서는 비주류인 부분도 있는데, 다른 이들은 어떤 걸까 문득 궁금해지기도 하더군요.
님도 행복하고 편안한 날들 보내시길 바랍니다.^^

[그장소] 2016-12-27 08:26   좋아요 0 | URL
그쵸~ 다시 한번 읽어볼까봐요 . 워낙 순식간에 읽히고 그러니..찜찜한 게 뭔지 다시 한번 짚어가며 읽어봐야겠어요. 시스템 ㅡ관계 .
음 ㅡ 그럴듯 해요 . 저도 거기서 많이 벗어나진 못한 생각였던거 같고요 .ㅎㅎㅎ
감사히 잘 읽고 갑니다 . 독서 모임에서 그 얘기들 들어보면 참 좋을것 같아요. 다양흔 생각들이 ..나올텐데~^^

나비종 2016-12-27 19:30   좋아요 1 | URL
같은 책을 읽고 서로 다른 사람들이 공통된, 혹은 다른 생각들을 공유한다는 사실은 언제 생각해도 가슴 뛰는 일입니다.^^

[그장소] 2016-12-27 20:09   좋아요 1 | URL
아..각별한 소통이 될거같아요 . 이 북플위 순기능이 워낙은 그런 시스템 였을텐데 ..싶기도 하고요!^^ 좋은말씀 감사해요!^^

cyrus 2016-12-27 19:2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나비종님이 우직하게 글을 쓰신 회원들 중 한 분으로 생각합니다. 나비종님이 올해 서재의 달인, 북플 마니아에 선정되지 못한 게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너무 조용한 서재는 서재의 달인 선정에 불리하다고 생각됩니다.

감기 조심하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나비종 2016-12-27 19:37   좋아요 2 | URL
서재의 달인에 선정된 것 이상으로 기분 좋아졌는 걸요ㅎㅎ
후반부에 일도 바쁘고, 12월에는 3주 이상 감기로 개고생을 하는 바람에 글쓰기와 책읽기를 다소 게을리했더니ㅋㅋ 올해는 cyrus 마니아로 만족하려고 합니다.선정해주실거죠? ㅎㅎ (이런! 어디서 되도 않는 애교질을^^;)

cyrus 2016-12-27 19:49   좋아요 1 | URL
저는 나비종님의 서재에 댓글을 많이 남긴 나비종 마니아입니다. ^^

나비종 2016-12-27 20:01   좋아요 1 | URL
가.장. 이요~^^ 제 모든 독서 통계의 맨 앞에 계시는 분입니다. 가뭄에 난 콩나물 대가리같으신. .ㅋㅋ=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