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바다] 완독. 

몇 페이지 남지 않았는데도 잘 넘어가지 않더니 마지막 부분은 이야기가 전개되면서 그나마 읽을 수 있었다. 

'그날'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는지가 마지막에서야 드러난다. 

사건으로만 보면 그다지 반전답다고 할 수 없고, 밋밋하지만, 역시 '스타일'로는 꽤나 인상에 남을만하다. 

그날 독서를 마감했던 한 문장, "삶 자체를 졸인 듯한 향기"를 읽은 후로 고단하다고 느껴질 때 허공에서 내 삶의 향기라도 흩어져있을까 킁킁거려 보기도 했다. 

어린 시절의 '그 일' 때문일까, 주인공 맥스에게 드리워진 삶의 비애감은 결국 '익사가 가장 부드러운 죽음이라는 사실'(235)을 늘 마음속에 그리며 살게 했던 것 같다. 

<올드보이>를 떠올릴 수 있는 부분이 있다. <올드보이>에서 최민식은 자기의 말이 가져올 결과에 대해 무책임했던 반면 맥스에게는 평생 떨쳐버리지 못한 그림자로 늘러붙어 있다. 드러나진 않았지만 숨겨진 맥락속에 읽히는 것은 그렇다.  

최민식은 본것을 전했고, 맥스는 들리는 말한마디를 전했다. 


바다로 바다로 헤엄쳐 가는거야, 더 깊은 곳, 더 깊은 곳으로. 

어린 시절에 구경하듯 목격한 두 아이가 헤엄쳐 사라져간 장면과 아내 애나의 암투병, 결국 병원 침상에서 마감하는 삶.

맥스는 아내의 마지막을 목격하지 못한다. 그 시각 바다에 있었기 때문에.


소설과 무관하게 엉뚱하게 두 장면을 떠올리며, 만일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을 선택할 수 있다면 병으로 병원 응급실이나 중환자실에서 마감하는 마지막은 꿈꾸고 싶지 않다. 

내가 꿈꿨던 마지막도 바다였는데 ... 뭐든 장담하지 않아야 한다. 


















2005년 줄리언 반스는 [용감한 친구들](원제는 아서와 조지)로 가즈오 이시구로는 [나를 보내지마]로 각각 후보에 올랐던 모양이다. 스코틀랜드 작가 알리 스미스는 내겐 낯선 작가라서 잘 모르겠다.

줄리언 반스는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로 2011년에 맨부커상을 탄다. 

만일 [플로베르 앵무새]라든지, [남아있는 나날]이 그해 [바다]와 붙었다면 수상내역이 달라지지 않았을까? 


그리고 묻는다. 

이 소설들이 100년 200년이 흐른 뒤에도 여전히 읽힐까. 

많은 독서인들의 서가에 꽂혀 있을까. 그런 소설일까. 































2017년 1월 9일

한차례 완독 후 다시 읽어가고 있는데 이 소설은 순서가 묘하게 배열되어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맥스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맥스가 어떤 인물로 다가오는지를 가늠하는데 중요할 수도 있겠다 싶다.  

그러니까 이야기 순서상으로 보면, 시작은, 신들이 떠난 날, 자신도 죽어 무덤에 있는 것같은 삶을 살았음이 프롤로그처럼 나온다. 다음이 50년전의 어린시절의 휴양지이자 고향같은 시더스로 돌아온 맥스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아내 애나를 보내고 왜 맥스는 시더스로 왔을까, '참회의 시간'(53)을 보내기 위해서라고 맥스 스스로 생각한다. 

맥스는 결국 과거속에 살아왔던 남자였다. '그날' 무슨 일이 있었던가, 애나와의 결혼생활, 딸 클레어의 얘기가 끼어들고, 11세 맥스에게 신들로 다가온 그레이스 가족과 로즈의 얘기. 그리고 절정처럼 맥스가 멀리서 보고 들었던 그일. 

그일까지 밝혀진 후, 시더스에서 망가져 가던 맥스는 술에 취해 바다에 쓰러진다. 

쓰러진 맥스는 발견되고, 딸 클레어(약혼한 사위까지)와 집으로 돌아갈 것이고, 아마 지지부진했던 자신의 일, 책을 쓰는 일을 쓰면서 나이들어갈 수도 있을 거라는, "인생은 많은 가능성들을 잉태하고 있다"(240)고 인정하며 노후를 살 수도 있을 것이다. 자신이 잘못알고 있던 일의 전말을 알게 되고, 

소설의 마지막은 애나가 죽음을 맞던날 맥스는 바다에 있었고, 아내의 사망소식을 듣고 병원으로 돌아가는 맥스로 끝난다. 


그러니까, 소설의 마지막 다음이 소설의 처음으로 이어지는 순으로 되는 것이다. 

도돌이표같은 순서다. 

이 반복에서 맥스의 "인생의 많은 가능성"은 어떻게 되는가. 

마지막 문장. "마치 바닷속으로 걸어들어가는 것 같았다."

그럼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마치 바닷속으로 걸어들어가는 것 같은 삶을 사는 것인가. 마지막 문장이 참 좋다. 


[바다]를 몇번 다뤘더니 졸지에 [바다]의 매니아가 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