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너]의 존 윌리엄스의 1972년 소설 [아우구스투스]는 로마최초 황제로 등극한 아우구스투스의 전기다. 

연대기적 서술이 아니라 각종 기록물, 서한, 저술 등의 기록을 편집하여 아우구스투스의 삶을 통찰할 수 있도록 한 독특한 전기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책 말미에 붙어 있는 대니얼 멘더슨의 해설에 따르면 1부는 아우구스투스의 대중적, 정치적 무대에서의 성공을, 2부는 사적이고 정서적 무대에서의 실패를 다룬다고 한다. 

나는 아직 1부도 채 읽지 못했다. 

아우구스투스가 제2차 삼두정을 이루던 정적들을 차례차례 물리치고 황제에 오르기전 마지막 결전 BC31년 악티움해전을 앞두고 있는 지점에서, 나는 이 소설을 계속 읽어야할지, 중단하고 차라리 아우구스투스 관련 서적을 읽는 게 나을지 고민하고 있다. 

[스토너] 보다 작품성을 더 인정받고 전미도서협회의 상을 받기도 했다는데 독특하게 전기를 엮어가는 사고의 발상과 집필의 수고로움을 느낄 수는 있지만 아직까지는 차라리 아우구스투스 평전이나 로마 공화정과 제국에 대한 서적을 읽는 게 나은 게 아닐까 흥정하게 된다. 

2부 사적이고 정서적 무대에서의 실패는 [스토너]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을 것 같은데 아우구스투스의 '실패'는 결국 딸 율리아와 관련된 슬픔 때문이기도 하다. 

[스토너]의 딸 그레이스와 [아우구스투스]의 딸 율리아.

결국 이 소설을 계속 읽게 된다면 2부의 궁금증 때문일 것 같지만 아직은 모르겠다. 


아우구스투스에 대해서 짐작할 수 있는 건 편지나 기록물 등 타인의 회상이나, 말, 기록에 의해 부조될 분 정작 아우구스투스 본인의 목소리는 소설 마지막에서야 나온다고 한다.  

아우구스투스에 대해 '제안'할 뿐 ''재현'하지 않는다는 작가의 창작 원칙이 흥미롭긴 하지만. 

결국 내가 쫓는 건 주인공일 수밖에 없는 인물, 아우구스투스는 도대체 어떤 종류의 인물인가.. 일텐데 소설적 부조에 의해서보다는 전기물, 역사서를 읽는 게 빠르지 않을까 싶은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