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87)만력15년 아무 일도 없었던 해](새물결)의 저자 레이황은 1918년 중국에서 태어났다. 1918년 생이니 현실을 외면하지 않는 한 신산한 생을 살았을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60년대 문화혁명까지 치르고 미국으로 건너갔을 때 막노동으로 먹고 살아야 했고, 그 와중에 공부를 시작했다. “어려움을 벗어났다고 느끼자 이미 중년의 나이가 되었고, 이때부터 나의 역사 연구에는 인생의 의미를 탐구하는 경향도 생겼다”고 그는 자신의 역사관과 이 책의 기본 관점을 담담하게 쓰고 있다.
문득 이 문장을 읽다가 가슴이 먹먹해졌다.
역사란 무엇이며 역사를 읽는다는 것은 무엇일까? 지나간 것은 아직 다가오지 않은 것을 위해 소환된다.
[고양이 대학살] 표지를 넘기니 "96년 10월 19일"이 휘갈겨 있다. 이 책을 샀던 날짜를 써놓은 것이다.
그리고 밑줄도 그어져 있고 빈곳에 메모들도 드문드문 되어 있다. 그러다가 책갈피는 페이지 126과 127 사이에 놓여있다. "제2장 노동자들은 폭동한다 : 생-세브랭 가의 고양이 대학살" 장이었다. 그 뒤로는 깨끗하다. 기억이 가물거리지만 책 제목이 된 '고양이 대학살' 장에 이르기까지 무던히도 애쓰며 읽으려 했던 기억이 있다. 최근에 이 책을 책꽂이에서 다시 뽑아들고 면면을 들여다봤다.
마르크 블로크의 [봉건사회]를 읽으면서 다시 한번 옛 몸살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아날학파 역사가의 저서를 몇 번 만난 적이 있지만 읽기가 언제나 쉽지 않았다. 정치적 사건들, 인물들, 주요 역사적 사건들을 매개로 해서 풀어나가는 역사서술이 놓치는 당대 일반 사람들의 이 소소하게 부딪친 현실, 그로부터 그 시대를 읽는 방법이 주는 보다 총체적 역사인식을 이 아날학파들이 제공해 줄 것이란 기대는 무지막지한 '사소한 것'들 앞에서 기가 꺽인다.
[봉건사회]는 요즘 읽고 있는 유학에 대한 생각들을 보완하고자 선택한 책이었다. 아직 다 읽지 못하고 있다. 봉건사회를 '인격종속관계의 형성' 관점에서 서술한 1권은 200여 페이지를 읽었고 2권 '계급과 통치'는 거의 다 읽어가고 있다. 계속 읽어야 하는지 망설이게 된다.
애초의 질문은 이러했다. "유학은 봉건사회의 사상인가, 그렇다면 이 봉건사회란 정확히 무엇인가, 중국의 봉건제와 서구의 봉건제는 어떤 유사점과 차이를 지니는가, 이들의 사회체제, 물적토대의 차이가 사상적 차이와 어떤 관계가 있을 것인가?"
길을 잘못 든 것은 아닌지 내내 고심하고 있다.
[신주무원록](사계절)은 도서관에서 발견했다. 원대에 왕여란 인물이 정리한 '과학수사'를 위한 지침서이자 법의학서다. 부제가 "억울함을 없게 하라"이다. 좋은 제목이지 않은가? 이 제목만으로 이 책이 무엇을 위하여 그리고 지향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다.
1308년 혹은 1335년 경에 저술된 이 책을 조선 세종 17년(1435)에 주석작업을 하여 1438년에 간행함으로써 조선전기 과학수사를 위한 체계를 잡아나갈 수 있는 길을 마련하였다.
이후 영조때 그 동안의 조선에서의 실제 상황과 경험들을 증수하여 언해를 한 책이 [증수무원록언해]인데 이 역시 도서관에 있었다. [신주무원록]이 의학으로 분류된 반면 [증수무원록언해]는 언어학으로 분류되어 있다. 언해이니 만큼 법의학 뿐 아니라 무엇보다 언어를 연구하는 쪽에서 관심을 기울였던 듯 하다. 연구에 참여한 이들도 언어학자들이었다. 무려 700페이지가 넘는 책을 볼 엄두가 나지 않았다. 한문으로 된 원문, 거기에 현대언어로 해석을 해 두었고, 당시 언문 원문, 그리고 언어에 대한 해설까지. 물론 관심있는 것들만을 죽죽 읽어나간다면 그리 많은 시간을 할애하지 않아도 대략을 알 수 있겠지만 그런 읽기가 무슨 의미가 있으랴?
읽고 싶은 책들은 한가득이다. 생활에 쫓기는 와중에 시간을 아껴가며 읽는다 해도 좀체 진도가 나가지 않는다.
더 막막한 것은 막상 책을 들쳐보면 다가오지 않는 내용들로 난만한 책들일 경우, 이 책을 읽어야 할 의미를 애써 찾아가야 한다는 것도 고역일 때가 있다. 그러면서도 내가 뭔가를 놓치고 있는 것은 아닐지 스스로 의심스러워 하며 붙잡고 있게 된다. 그 땐 방법이 없다. 질문을 명확히 할 것!
지금 나는 무엇을 알고자 이 책을 읽는가, 이 책을 선택한 나의 초심은 무엇이었는지를 자문해 보는 것일 게다.
그런데... 그게 마음대로 되지는 않는다.
post i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