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 로지의 [소설의 기교]의 34장은 '신뢰할 수 없는 서술자'를 다룬다.

추리, 미스터리물에서 이 '신뢰할 수 없는 서술자'를 종종 보곤했다.

독자가 전적으로 서술자에 의지해 따라가지만 어느 순간 독자를 배신하는데 독자들은 이 배신에 아찔한 기쁨을 느끼기도 한다.

가장 먼저 생각나는 건 애거서 크리스티의 [로저 애크로이드 살인사건]이다.

 

데이비드 로지가 이 주제에 예로 든 소설은 두 권이다. 가즈오 이시구로의 [남아있는 나날]과 이에 비교, 대조해 읽어볼 작품으로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창백한 불꽃 Pale Fire]을 꼽았다.

[창백한 불꽃](1962년 출간, 이해에 스탠리 큐브릭의 영화 <롤리타>개봉)은 아직 국내 번역작이 없다. [롤리타] 이후 쓴 작품이라는데, 나보코프 대표작 중 하나로까지 꼽는 이들도 많은데 우리도 머잖아 읽어볼 수 있는 기회가 오지 않을까 싶다.

 

근데, 잉? [남아있는 나날]이 신뢰할 수 없는 서술자의 예로 읽어볼 수 있는 소설이라고?

 

신뢰할 수 없는 서술자를 사용하는 핵심은 외관과 실제 사이의 간격을 흥미롭게 드러내고, 등장인물들이 실제를

어떻게 왜곡하고 감추는가를 보여주는 데에 있다. (250)

 

이시구로 소설의 서술자[스티븐스]는 사악한 인물은 아니지만,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 대한 진실을 억압 혹은 회피하려는 인물이다. 그의 서술은 일종의 고백이지만 솔직하지 못한 자기 정당화와 특유의 항변으로 가득하며 오직 마지막에 가서야 자신에 대한 어떤 이해에 도달하게 되지만, 그때는 이미 그로부터 무언가를 얻기에는 너무 늦은 시간이다. (251)

 

완벽한 하인[집사]이고자 하는 신념 때문에 스티븐스는 함께 일했던 켄턴 양이 보인 애정을 깨닫지 못했고 그에 반응하지도 못했다. 그러나 자신이 그녀를 어떻게 대했는지에 관한 강한 자기검열을 거친 기억이 이야기가 진행됨에 따라서 점차 드러나게 된다. (252) 

 

나는 .... 자기 검열을 거친 스티븐스의 억압된 기억을 제대로 읽었나 싶은데.... 기회가 되면 다시 한번 읽어봐야 할 것 같다.

 

[창백한 불꽃]의 내용은, 가공의 미국 시인 존 셰이드의 시(詩)가 있고, 그 시에 상세한 주석을 다는 유럽의 망명학자인 찰스 킨보트의 이야기라는데, 셰이드는 원고를 킨보트의 손에 넘긴 직후에 살해된 것으로 추측된다.

'신뢰할만한 서술자'의 관점에서 읽어봐야 할 이야기라니까 더 소개하는 건 스포일러일 수도 있고 독서의 기쁨을 앗아갈 수도 있으니 그만하는 게 좋겠다.

나? 알고 있어도 아마 번역되어 나올 때쯤에는 까마득히 잊고 있을 게 분명하기에 걱정없다.

[창백한 불꽃]은 나보코프의 망명 이후 향수병을 치유하기 위한 소설이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한다.

로쟈님의 나보코프와 '예술이라는 피난처'를 연상할 수도 있겠다.

곧 보게되겠지.

 

[소설의 기교]를 읽다보면 우리에겐 대표작 외에 별로 소개되지 않은 일급 작가들의 작품이 많다는 사실을 접하게 된다.  

토마스 하디도 그렇고.... 플로베르의 얘기가 생각난다. 사람들은 말년에 이르기까지 플로베르를 그저 [보바리 부인]의 작가로만 여겼다. 플로베르는 [보바리 부인], 제목만 들어도 짜증난다고 했다. '마치 나한테 다른 작품은 하나도 없는 것처럼....'

그래도 플로베르의 작품은 거의 번역된 듯하니 그나마 다행이다. 플로베르는 읽기만 하면 된다. 읽기만 하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