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어보려 무지 노력했던 [다크 존](기시 유스케), [안주](미야베 미유키)를 결국엔 덮고 주말에 집어든 [차일드44]는 .... 오랫만에 완전히 빠져들며 읽은 소설이면서 아마도 오래 기억될 소설이 될 것 같다. 뛰어난 소설이다.

 

[차일드44]를 읽어봐야겠다고 생각하게 된 계기는 김봉석의 [하드보일드는 나의 힘]에 나온 책 리뷰를 보고서였다.

 

[차일드44]는 연쇄살인범을 쫓는 소련 경찰의 이야기를 통해서 사회주의 국가들이 필연적으로 몰락해갈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보여주는 뛰어난 작품이다.   (38페이지)

 

 

[차일드44]가 의심의 여지없는 걸작인 이유 하나는 의미심장한 사건과 그 시대가 너무나도 잘 얽혀있다는 것이다. ....또 하나는 레오와 라이사의 인물설정과 묘사가 지극히 수려하다.  (42페이지) 

 

'뛰어난', '걸작' 김봉석이 이 정도로 말한다면 믿어볼만하다. 과연 그렇다.

 

 

 

 

 

 

 

 

 

 

 

 

 

 

 

 

 

영국의 작가 톰 롭 스미스는 1980년대 실제로 구소련에서 일어났던 연쇄살인 사건을 1950년대 스탈린 시대 말과 후르시초프 교체기 사이의 절망적인 시절을 배경 삼아 재창조했다. 작가가 29세 때 발표한 데뷔작이라고 한다. 

세계사적으로 중요했던 국가와 시기에 연쇄살인범 추적이라는 장르적 장치를 결합한 영리해 보이는 전략이 단순히 장치 수준에 머무르지 않는다는 점도 이 작품을 걸작이라고 부를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다.

 

250페이지에서 라이사가 레오에게 하는 말은 의미심장하다. 나는 새도 떨어뜨릴 수 있던 비밀경찰조직의 간부에서 모스크바로부터 수천킬로 떨어진 지방의 민병대 경비로 추방당한 레오에게 라이사는 레오가 처한 현실에 대해 직언한다.

 

지금 당신처럼 권력이 없어지면 사람들이 당신에게 진실을 말한다는 문제가 생길거야. 당신은 그런 상태에 익숙하지 않겠지. 당신은 당신이 발산하는 공포로 둘러싸인 세계에 살고 있었으니까.   (250페이지)

 

'당신은 당신이 발산하는 공포로 둘러싸인 세계에 살고 있었'다는 말.

자신의 아버지가 발산하는 공포에 둘러싸인 세계를 살았던 사람들이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자신만은 절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그리고 인식하려 하지 않는 누군가가 생각나는 말이기도 했다.

제발 좀 정리할 건 정리좀 했으면 좋겠다.

그런 의미에서 20대라는 저자 조윤호의 [보수의 나라 대한민국]이 궁금해졌다.

박근혜를 통해 한국사회를 본다는 저자의 의도가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 궁금하다. 20대라니 더 궁금하다.

두배를 더 살아온 나지만 도무지 이 나라가 잘 이해가 안될 때가 많다.  

그러고보니 30대를 분석한 [30대 정치학]도 새겨봐야 할 것 같다.

 

 

 

 

 

 

 

 

 

 

 

 

 

 

 

 

 

이런 장르의 소설에 질문하는 바는 언제나 이렇다. '세월이 흘러 나는 다시 이 책을 읽고 싶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