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읽고 있는 책은 강준만 교수의 [한국현대사 산책 2000년대 편-노무현시대의 명암]이다. 1권부터 차례대로 읽지는 못했고, 2권의 DJ에서 노무현으로의 정권 교체기와 4권의 노무현에서 MB로의 정권 교체기를 특히 관심있게 들여다보았다. 아직 5권은 읽지 못했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298/19/cover150/8959061913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298/20/cover150/8959061921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298/21/cover150/895906193x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298/21/cover150/8959061948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298/22/cover150/8959061956_1.jpg)
강준만 교수 특유의 정보 인용신공을 발휘하여 편집본좌의 실력을 유감없이 보여주시는데, 지난 시기에 있었던 일들과 인물들이 했던 말들, 그리고 시대의 트랜드를 되돌아보는 데 아주 유용하다.
돌아보면, 가깝게는 2006년 이맘 때쯤, 그러니까 노 대통령 임기 1년 여를 남겨둔 시기에 사람들은 지금과 마찬가지로 대통령과 정치권을 지긋지긋해 했었다. 비록 MB 정권 하에서 그마저 열려있던 자유가 얼마나 쉽게 닫힌 사회로 역행할 수 있는가를 처절히 느끼게 됐지만, 어쨌든 대통령 임기 1년 여를 앞두고 사람들은 신물을 냈다.
강준만 교수는 노무현을 '약자의 원한 가진 아웃사이더'로 규정한 적이 있다. 노무현과 MB를
'-기성정치를 혐오하고,
-자신의 오류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며,
-지지를 못받아도 시대를 앞서가는 게 낫다', 고 생각하는 면에서 공통점을 지녔다고 봤다.
2000년대를 노무현의 시대로 읽으면서 '노무현'이라는 키워드에 담긴 '한국인의 숨은 얼굴'을 들여다보는 게 강준만의 저술 의도다.
[강남좌파]를 읽으면서도 느낀 거지만 강준만은 한국의 과도한 정치 집중이 문제라고 본다. 정치에 무관심하고 투표율도 낮고 그렇게 되는 게 바람직한 것이지 싶기도 하다. 뭐, 맡겨놔도 상식 이하의 수준으로 떨어지지 않는다는 믿음만 있어도 사람들이 이 정도로 정치에 민감하지 않을 수도 있겠다 싶다. 근데 이건 뭐 여전히 너무나 다른 세력들이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수준에서 투표를 해야 하는 이 처지는 뭐냐 말이다.
강준만은 한국사회의 각개약진 측면에도 주목하는데, "심심하면 벌어지는 집단적 열광이나 분노의 또 다른 비밀"도 각개약진에 '지친 심신을 위한 집단주의 축제"라고 푼다. 2002 월드컵 열광이나 혹은 '한국인 특유의 인물중심주의'와 만난 정치와 정치인에 대한 쏠림도 어쩌면 유사한 맥락에서 읽을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한다.
현 정권과 정치권에 대한 염증이 2007년과는 정확히 반대로 기울어 또 다시 어떤 인물이 지닌 외적 매력 혹은 애티튜드만 바라보며 정권교체를 할 수는 없지 않은가.
그래도 인물을 들여다보는 재미를 무시할 순 없다. 강준만식으로 각 인물들이 쏟아낸 말만 잘 좇아도 흥미로운 얘기를 쓸 수 있을 것 같다. 고종석의 말들은 많이 언급되지만 진중권의 언급은 별로 없었던 것 같고, 지금 같다면, 김어준과 진중권, 노자, 김규항 그리고 박원순 서울시장에 대한 평을 내놓았던 강준만까지 입들의 말이 흥미로운 시기이기도 하다.
노무현의 탄핵, 탄핵정국, 열린우리당. 다시 한 번 돌아보게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