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이제 나와는 맞지 않는 세계라는 것, 격리된 공간, 인위적인 설정, 그리고 체스의 말과도 같은 등장인물들...... 다시는 이곳으로 돌아오지 않을 작정이야."
![](http://image.aladin.co.kr/product/1123/51/cover150/8990982421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592/76/cover150/8932909970_1.jpg)
밀실, 트릭, 기이한 구조의 집, 사라진 시체, 암호트릭, 1인 2역 등 본격추리소설에 이용할 수 있는 온갖 요소들을 정교하게 짜맞추며 완성한 소설임에도 작가는 자신에게 이제 그 세계로 다시는 돌아가지 않을 거라고 아련한 추억을 얘기하듯이 말한다.
대신 '리얼리티, 현대적 감각, 사회성'이 큰 축을 이룰 것이다, 고. [명탐정의 저주]는 히가시노 게이고가 자신의 소설세계에 일대 회전을 치르며 전환하는 시점에 쓴 자기반영적 소설이다. 생각해보면 히가시노 게이고는 참으로 어려운 아이디어를 가지고 이 소설을 쓴 것같다. 본격추리소설이라는 형식에 소설의 얘기와 진행을 담아내면서 동시에 그 결점과 한계가 비판적으로 담겨야 하는 이 자해적 글쓰기를 어떻게 봐야 하는건가. 그럼에도 히가시노 게이고는 절묘하게 성취해 낸 것처럼 보인다. 실망시키지 않는 게이고.
[명탐정의 규칙]이 고전적인 추리소설의 규칙들을 하나하나 짚어가며 비록 조롱하듯이 다루고 있지만 쾌활함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면, [명탐정의 저주]는 본격추리소설의 인위적 설정들과 논리(그리고 역시 그것들로 이뤄진 소설'책')를 [장미의 이름]이 다루는 방식처럼 차용하여 다소 비극적이고 애잔한 느낌을 낳게 한다. 앞에서 인용한 말이 작가의 심정을 함축하고 있다. 동시에 본격추리소설에 염증을 느낀 독자들이 할 말이기도 하겠다. 역시 게이고.
![](http://image.aladin.co.kr/product/689/75/cover150/8990982375_1.jpg)
이구용의 [소설파는 남자]를 읽고 발견한 작가 이은. [수상한 미술관]을 먼저 읽었다. 이 작품 말고 [미술관의 쥐]가 일본 고단샤의 아시아 본격 미스터리 선집에 한국대표작으로 선정되어 번역 수록되었다고 한다. 또한 할리우드에서 영화화가 추진되고 있어 개발중인 모양이다. 좋겠다. 며칠 내로 [미술관의 쥐]를 읽어봐야겠다.
[수상한 미술관]은 ....... 표절을 둘러싼 개념들을 가르치기 위한 학습서인가? 대단히 유감스럽게도 기대 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