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신문, <한홍구-서해성의 직설> 코너에서 김선주 전 논설위원은 내년 대선에 김문수와 유시민이 한판 붙는다면 '핫'한 대선이 될 거라고 재미삼아 말했다. 그런가? 난 끔찍한데. 개인적으로 희망하는 인물이 있긴 있지만 앞으로 어떻게 될지 더 두고 봐야할 상황이다. 정세가 성숙되지 않았다는 생각이다.   

설연휴를 보내고와서 마음이 어딘가를 헤매는 와중에도, 오건호의 [대한민국 금고를 열다]와 정원오의 [복지국가]를 읽을 수 있었다. 난 이 두 권 정도는 많은 사람들이 봤으면 좋겠다.   

 

 

 

 

 

 

 

 

정원오의 [복지국가]는 책세상에서 내놓은 '개념사' 시리즈 22번째 책이다. '사회의 역사와 조응해온 개념의 역사를 살펴'보기에 좋은 이 책은 우선 169페이지로 얇아서 손에 들기에 부담이 적다. 책에 나오는 사진들이 꼭 필요했던 건지 좀 의아하긴 하지만(이왕 맞출거면 좀더 적절한 사진들을 택했으면 했다) 복지국가라는 개념의 기원부터 성장, 변화과정, 앞으로의 전망을 핵심적인 사항들을 잘 짚어가며 정리해놓은 책이기에 복지와 복지국가가 지향하는 의미들을 생각해보기엔 좋은 입문서라는 생각이다.  

대체적으로 GDP에서 복지부문에 지출되는 국가재정 규모를 통해 복지국가 수준을 가늠해볼 수 있는데, 현재 한국은 GDP의 약 9% 수준이다. OECD 평균 20%(또는 21%)와 비교해 볼 때 약 11% 부족하고, 이 수준은 여전히 복지지체국으로 분류되는 1960년 미국 수준이라는 것을 참고하면 될 것이다.  

여기서 물론 염두에 둬야 할 것은 1960년과 2010년의 세계정치경제와 사회 변화를 괄호치면 안된다는 건데, 그 동안 세계는 국가간 경쟁이 심해졌고, 경제성장은 불안정하고, 사회는 저출산과 노령화사회로 변화되었다. 앞으로 복지재원 확보는 더 많은 압박을 받을 것이 분명하고 복지국가의 '효율성'에 대해 더 많은 사람들이 의문을 가질지 모른다는 점이다. 복지국가 아젠다를 놓고 이미 한국사회도 치열한 싸움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딱 한가지, 만성적인 삶의 불안감에 시달리고, 절망하고 내팽개쳐져 고독하게 죽어가는 많은 사람들을 배태하면서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 수는 없다는 점을 인식했으면 좋겠다. 

오건호의 [대한민국 금고를 열다]는 귀한 책이다.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성장해나온 재야의 재정분석전문가를 만났다는 점에서, 그를 통해서 대한민국이라는 국가의 재정을 어느 정도, 그것도 아주 쉽지는 않지만 아주 어렵지도 않게 들여다볼 수 있는 교양서라는 점에서.  

"오건호 박사의 [대한민국 금고를 열다]는 한국에서 가장 쉽고 종합적인 재정 문제에 대한 분석서이며 동시에 정책 입문서이기도 하다. 심상정과 함께 진보정치가 경제정책에서 가장 화려한 역할을 하던 시절에 우리가 알게 된 것들에 대한 종합적 기록이며, 최소한 한 분야에서는 수권 능력을 갖추었던 한 정치집단이 다른 시대로 전환하면서 남기는 비망록과 같은 것이기도 하다. 국가가 뭔가 이상하다고 느꼈을 때, 아니면 재정적으로 큰 위기라고 아우성 칠 때, 이 분야 최고의 전문가가 자신이 아는 거의 모든 것을 정리한 이 책을 한 번 손에 집어드시기를 권유한다."(우석훈의 추천사)   

웬만한 정책은 사람들의 이해도가 높은 편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래서 또 많은 사람들에게 이 책은 상식적인 수준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어쨌든 국가재정과 그 재정전략이 가져올 영향을 분석해볼 수 있는 능력을 키울만한 교양서이다. 복지국가를 위해서 그리고 진보적 국가재정을 위해 오건호가 제안하는 전략도 꼼꼼히 점검할 일이다. 지금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문제들이니. 조세정책은 민감하고도 중요한 문제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