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Q84] 3권 80여 페이지 읽었는데 역시 읽는 맛은 좋다. 1~2권은 아오마메와 덴고 두 사람의 병행교차서술로 이뤄졌는데 3권은 여기에 우시카와의 얘기까지, 세 사람의 얘기가 교차로 진행된다. 흥미롭게 전개되기는 하겠다.  

얼마 전에 읽은 빌 S. 벨린저의 소설들이 연상됐다. 장르소설에 이런 식의 병행교차서술은 곧잘 사용되곤 하는데, 대개는 서스펜스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 강한 듯하다. 마이클 코넬리리나 제프리디버의 스릴러 장르에서 쉽게 볼 수 있었다.  

또 한가지, 아오마메에게서 스티그 라르손의 [밀레니엄]에 나오는 잊을 수 없이 매력적인 여주인공 리스베트 살란데르 향기가 난다. 물론 두 사람은 전혀 다른 스타일을 지녔지만. 리스베트는 고딕전사이고, 아오마메는 '준코 시마다 정장에 찰스 주르당 하이힐'(브랜드에 약해~)을 신은 느와르적 쉬크함을 지녔다고 할까. 아오마메는 더 지켜봐야겠지만 아직까지는 리스베트의 매력이 한 수 위다. 얼마전에 영화 <밀레니엄> 3부작을 봤다. 스웨덴.덴마크.독일 합작영화인데 그 길고 복잡한 소설을 영화에 맞게 충실한 각색을 했다는 점은 인정해줄만 했다. 재밌게 봤다. 그러나... 이런 영화는 영화적 환상을 맘껏 채울 수 있게 만드는 게 좋은 것 같다. 우선 가장 아쉬웠던 건 환상을 책임져 줄 두 주연 배우들의 다소 안습적 캐스팅. 나의 취향으로는 보는 내내 아쉬워 해야했다.

 

<밀레니엄>, 리스베트 살란데르 역의 누미 라파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