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꼭 이럴 것 같다. 2049년의 서울특별시는 이럴 가능성이 높다. 물론 과학기술의 발전이 이 정도에 이를지는 모르겠지만.  

소설가 김탁환과 과학자 정재승의 공저, 소설 [눈 먼 시계공]을 재미있게 읽었다. 솔직히 1권 프롤로그부터 턱 막혔다. 이 소설의 중요한 설정인 서울특별시 보안청 소속 일명 '스티머스' 시스템, 혹은 스티머스팀 소개가 나오는데, 이게 과학저널에 실린 리뷰나 기사를 읽는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소설을 기대했는데 과학분야 책을 읽어야 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을 갖게 했다. 어떤 책이든 처음은 낯설고 조심스럽게 익숙해져가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특히 소설의 초반은 그 낯섬을 얼마나 빨리 해소하고 몰입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가느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이 소설에서는 정면돌파를 택한 것 같다. 소설 공학이나 흥미 보다는 뇌과학, 로봇 공학 관련 전문분야의 과거,현재,미래에 대한 사실과 상상을 소개해 보는 게 더 핵심적이었던 기획소설이라고 나는 본다. 과학, 기술진화, 그에 따른 인간과 생활의 변화, 그로 인한 갈등과 고민해야 할 것들, 미래 도시를 상상해 보는 기회로서 읽는다 해도 제법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책이라고 본다. 나쁘지 않다.   

이 책에는 대립 세력 중 하나로 첨단화된 도시문명을 거부하는 자연생태주의자들의 조직이 설정되어 있다. 뭐, 미래를 다룬 소설에 자주 등장하는 반문명주의자들의 모습을 볼 수 있는데, 나는 우리 나라에서 과연 이런 세력이 이 소설에서 다룬 정도의 파워를 갖거나, 도시 테러를 한다거나 뭐 이런 식의 행동이 가능할지 내내 의심스러웠다. 미래일지라도. 극단적인 주장을 펼치는 사람이나 세력에 대해 우리 나라 사람들이 가진 극도의 혐오 또는 무관심의 편향이 심한 편인데, 미래라해서 우리 나라 사람들이 크게 변할 것 같지는 않다. 극단이라고 몰리면 중요 순간마다 연대를 압박하거나 철저히 무시되어 고립시키는 게 우리 나라 상황인 것 같아서 말이다. 에필로그에서 주인공 은석범의 선택이 고질적인 신파적 엔딩 강박의 폐해 아닌가 싶기도 하고... 그랬다.    

또 하나 흥미로운 것 중 하나는 관리 시스템이라고 할까. 도시는 철저히 시스템화하여 될수록 많은 것들을 '관리'하려고 한다. 소설에서 중요한 모티브 중 하나였던 앵거(anger) 클리닉이라든지, 도로에서의 과속이라든지, 위생관련 제어 시스템, 건강상태 관리 및 점검 시스템 등등. 복지와 관련된 것들이 관리될 때 이 또한 얼마나 피곤하게 만들지 생각해보는 것도 재미있었다. 관리에서 벗어난 순간 자유의지로 탈도시화된 삶을 살던지 또는 '보이지 않는' 사람이 되어 탈사회화되던지 어쩌면 양자택일 상황으로 내몰리는 세계가 되지 않을까.   

 

 

 

 

 

 

 

작가의 말에서 정재승 교수는 이 이야기를 영화로 만들어보자며 영화쪽 사람들과 술자리에서 이야기했지만, 진지하게 진행된 적이 한 번도 없었고, '하늘보다 넓은 뇌'를 가진 김탁환을 만나면서 비로소 이 이야기가 세상에 나올 수 있었다고 밝힌다. 당연하다. 영화는 돈이 있어야 하고, 배우든, CG든 어쨌든 카메라로 찍기 위한 온갖 것들이 실제화되야 하는 것이다. 아마도 소설이 나온 후 영화쪽 관계자 10명 중 1 명 정도가 책을 만지작 만지작 거리며 영화화 가능성을 생각은 하겠지만, 그 1명 마저도 머리를 도리도리 흔들 것 같다에 한 표 건다.   

'고뇌하는' 주인공 은석범도 지금 보다 좀더 밝아야 한다. 명랑한 검사 나으리 정도 돼 줘야 한다. 우리 나라 관객 '가오'잡는 주인공 별로 안좋아 한다. 과거 이런 '고뇌하는' 지식인형 주인공이 한 때 주름 잡은 때도 있었지만 이젠 피식 웃음 나온다. 젊은 관객들은 그렇게 생각하는 듯 하다. 코믹 캐릭터들도 만들어줘야 하고.

로봇 격투기대회를 어쩔껴? 뺄껴? 그럴 순 없잖습니까. 로보트태권 V 한 두대도 아니고, 격투기 하는 로봇들이 나와줘야 하지말입니다. 투자대비 시장현황을 생각해도 후덜덜하지 말입니다. 현재 로보트태권 V 영화화(애니메이션 아니지 말입니다.)가 진행중이라서 되는 거 보면서 생각해볼 수는 있겠다. 그나저나 그 영화 진행은 잘 되나 몰러.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