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인권위원회 전 위원장이었던 안경환 서울대 법대 교수의 번역으로 나온 [지혜의 아홉기둥]은 워터게이트 탐사보도로 유명한 밥우드워드와 스콧 암스트롱의 공저로, 워렌 버거가 원장으로 취임한 후 최초 7년(1969~1976 개정기) 동안의 연방대법원 내부 업무를 다룬 책이다. 당시 개정기 동안 재판한 7가지 사안에 대한 판결 얘기를 다룬 듯하다. 무겁고 900페이지에 달하는 분량을 제대로 읽을 수 있을런지 자신은 없지만, 뭐... 최선을 다해서.
이상돈 중앙대 법대 교수는 이 책이 '기자들이 써서' 미국헌법이나 대법원사를 알지 못한 채 읽으면 단편적인 '휴먼스토리'로만 받아들여질 위험이 있다고 염려했다. 미국헌법에 대한 몇 권의 책도 볼 수 있으면 좋으련만 이 중 한 권 정도라도 보도록 노력하련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52/56/cover150/8990106079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92/64/cover150/8991510493_1.jpg)
![](http://image.aladin.co.kr/coveretc/book/cover150/8957690549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373/72/cover150/893648558X_2.jpg)
김두식의 [불멸의 신성가족]을 통해 잘 몰랐던 법조계의 구조와 법기관의 직제 등에 대한 정보를 조금 알 수 있었는데,
![](http://image.aladin.co.kr/product/65/99/cover150/8952205200_1.jpg)
우리의 헌법재판소에 대한 얘기들을 다룬 책들이 몇 권 되는 듯하다. [헌법재판소 - 한국현대사를 말하다]는 388페이지로 헌법재판소의 탄생과 과거, 그리고 근래의 몇 가지 재판에 대한 취재를 바탕으로 저술된 책인 모양이다. 저자 이범준은 법조 출입기자였으며 이제는 법조전문 취재작가로서 헌법 관련 4부작 역작을 기획하고 있다니 전문 저술가로 기대해볼만할 듯하다. 아직 책을 보지 못해서 잘은 모르지만... .
이범준이 참고한 책들도 보면 정말 좋을텐데, [The Nine]은 아직 번역본이 없는지라 읽는 건 더 요원하겠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81/22/cover150/1400096790_1.jpg)
[일본 최고재판소 이야기]는 마이니치 신문 기자인 야마모토 유지의 1997년 저작이고, <<뉴요커>>기자인 제프리 투빈의 [The Nine](2007)은 이론을 바탕으로 법률과 사회를 분석한 책이라 한다. 미연방대법원 9명의 법관 개인과 법과의 상관관계에 중점을 두면서 객관성과 흥미 사이에서 주목받은 모양이다. 궁금해지는군.
![](http://image.aladin.co.kr/product/319/8/cover150/8962890305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403/83/cover150/8992958544_1.jpg)
헌법재판소 판례집의 사진이다. 사법시험을 준비하는 이들에게 문제은행집 형태로 판례집들이 나오는 모양인데, 김훈 작가의 취미처럼, 들여다보고 있자면 이 나라의 정신세계가 잡히는 게 있지 않을까? 뭐, 그걸 볼 수 있는 눈도 눈이지만, 내가 두려운 건, 그 놈의 문장일 듯 싶다. 김훈이 말했듯이, 법문을 들여다보고 있으면 조사외엔 온통 한자어 투성인 그 말들이,과연 전달 가능한 말들인지, 외국어를 대하는 자세로 사전 옆에 끼고 깊은 독서를 해야 할 것 같다.